Anki 2.0 유저 매뉴얼을 블로그 형식으로 보니 과거의 매뉴얼을 찾기가 너무 어렵고 불편하다. 검색으로만 매뉴얼을 찾는 것에 한계가 있다고 판단하여 아래와 같이 매뉴얼을 게재한 블로그 페이지 제목과 주요 키워드를 나열했고 그에 대한 각각의 페이지에 링크를 붙여 색인을 만들었다.

Introduction(개요)
Active Recall Testing(능동적 기억환기)
Use It or Lose It(사용하지 않으면 잊는다.)
Spaced Repetition(간격 반복)
Why Anki?(왜 Anki인가?)

The Basics
Cards(카드들)
Decks(카드뭉치들)
Notes & Fields(노트와 필드)
Card Types(카드유형)
Collection(컬렉션)
Note Types(노트유형)
  1) 기본(Basic)
  2) 기본(역방향 카드 포함)
  3) 기본(선택적 역방향 카드)
  4) 빈칸(Cloze)

Adding Material(학습자료추가)
Downloading Shared Decks(공유 카드뭉치 다운로드 하기)
Adding Cards and Notes(카드와 노트 추가하기)
Adding a Note Type(노트유형 추가하기)
Customizing Fields(필드 입맛대로 사용하기)
Changing Deck / Note Type(카드뭉치와 노트유형 변경하기)
Using Decks Appropriately(카드뭉치를 적절하게 사용하기)

Studying(공부하기)
Decks(카드뭉치)
Study Overview(학습 개요)
Questions(문제들)
Learning(익히기)
Reviewing(복습하기)
Due Counts and Time Estimates(대기 카드수와 학습간격 추정)
Editing and More(편집 및 그 외)
Display Order(표시 순서)
Siblings and Burying(유사카드와 덮기)
Keyboard Shortcuts(단축키)
Falling Behind(학습이 뒤처지는 경우)

Editing(편집하기)
Features (편집기 기능)
Cloze Deletion (빈칸 만들기)
Inputting Foreign Characters and Accents (외국문자 및 액센트 집어넣기)

Cards and Templates(카드와_템플릿)
Reverse Cards(카드 뒤집기)
Basic Templates(기본 템플릿)
Checking Your Answer(답을 입력하여 확인하기)
Newlines(줄바꾸기)
Card Styling(카드 꾸미기)
Field Styling(필드 꾸미기)
Hint Field(힌트 필드)
Special Field(특수 필드)
Card Generation & Deletion(카드의 생성과 삭제)
Selective Card Generation(선택적 카드 생성)
Media & LaTex References(미디어 및 LaTeX 참조)
Conditional Replacement(조건부 대체)
Cloze Templates(빈칸 노트유형 템플릿)
Other HTML(HTML 사용)
Dictionary Links(온라인 사전 링크 만들기)
HTML Stripping(HTML 서식 지우기)
Browser Appearance(탐색기에서 표시할 때)
RTL (right to left) text(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읽는 텍스트)
Platform-Specific CSS(특정 플랫폼별 CSS)
Installing Fonts(글꼴 설치하기)
Javascript(자바스크립트)

Profiles and Preferences(프로필 및 환경설정)
Profiles(프로필)
Preferences(환경 설정)

Deck Options(카드뭉치 옵션)
Introduction(개요)
New Cards(새 카드)
Reviews(복습)
Lapses(실패)
General(일반)
Description(설명)

AnkiWeb and Synchronization(AnkiWeb과 동기화)
Setup(동기화 설정)
Automatic Syncing(자동 동기화)
Media(미디어)
Conflicts(충돌들)
Merging Conflicts(충돌들 통합하기)
Firewalls(방화벽)
Proxies(프록시)

Browser(브라우저)
Introduction(개요)
Sidebar(사이드바)
Searching(검색)
  Simple searches(단순검색)
  Limiting to a field(특정 필드만을 대상으로 검색)
  Tags, decks, cards and notes(태그, 카드뭉치 그리고 노트)
  Card state(카드 상태)
  Card properties(카드 속성)
  Recently added(최근 추가된 카드)
  Recently answered(최근 학습된 카드)
  Object IDs(객체 ID)
Card List(카드 목록)
Current Note(현재 노트 창)
Toolbar(툴바)
Find and Replace(바꾸기)
Find Duplicates(중복된 항목 찾기)
Other Menu Items(다른 메뉴 항목들)
  Reschedule(일정 재조정)
  Reposition(위치 재조정)
  Change Note Type(노트 유형 바꾸기)
  Select Notes(노트 선택)
  Go(이동)

Filtered Decks & Cramming(여과된 뭉치와 벼락치기)
Introduction(도입)
Custom Study(맞춤 공부)
Home Decks(홈 뭉치)
Creating Manually(여과된 카드뭉치 수동으로 생성하기)
Order(선택 기준 순서)
Steps & Returning(익힘 단계 및 카드 복귀)
Counts(카드 수 집계)
Due Reviews(만기에 이른 복습카드)
Reviewing Ahead(앞당겨 복습하기)
Rescheduling(일정조정)
Catching up(뒤처진 학습 따라잡기)

Leeches(거머리)
Waiting(대기)
Deleting(삭제)
Editing(삭제)

Importing(가져오기)
Importing text files(텍스트 파일 가져 오기)
Spreadsheets and UTF-8(스프레드 시트 및 UTF-8)
HTML
Importing Media(미디어 가져오기)
Adding Tags(태그 추가하기)
Duplicates and Updating(중복 및 업데이트)

Exporting(내보내기)
Exporting Text(텍스트 내보내기)
Exporting Packaged Decks(카드뭉치 묶음 내보내기)

Managing Files and Your Collection(파일 및 컬렉션 관리)
Checking Your Collection(컬렉션 검사하기)
File Location(파일 위치)
Startup Options(시작 옵션)
DropBox and File Syncing(DropBox 및 파일 동기화)
Network Filesystems(네트워크 파일 시스템)
Running from a Flash Drive(플래시 드라이브로 실행)
Backups(백업)
Inaccessible Harddisk(접속 권한이 없는 하드 디스크)
Permissions of Temp Folder(Temp 폴더의 사용 권한)
Corrupt Collection(손상된 컬렉션)

Graphs and Statistics(그래프 및 통계)
Card Info(카드 정보)
Statistics(통계)
Types of Cards(카드의 종류)
Today(오늘)
The Graphs(그래프)
Manual Analysis(수동 분석)

Media(미디어)

LaTex Support(LaTex 지원)
Installing and Assumed Knowledge(설치 및 알고 있어야 할 내용들)
LaTex on Web/Mobile(웹 및 모바일에서 LaTex)
Example(사례)
LaTex packages(LaTex 패키지)
LaTex conflicts(LaTex 충돌)

Miscellanea(기타)
Menu Shortcuts(메뉴 바로 가기)
Debug Console(디버그 콘솔)
Add-ons(추가 기능)

Contributing
Sharing Decks Publicly(카드뭉치 공개 공유하기)
Sharing Decks Privately(개인적으로 카드뭉치 공유하기)
Sharing Add-ons(추가 기능 공유하기)
App Translations(앱 번역)
Translating the Manual(매뉴얼 번역하기)
Contributing Code(코드 기여하기)

FAQ(자주 묻는 질문)

Resources
SuperMemo





플래쉬 카드 류 앱은 상당히 많다. 이 중에서 Anki가 아닌 다양한 앱들이 인기가 있는데 그 중 하나가 퀴즐렛(Quizlet)이다. 


개인적으로는 자유롭게 조작할 수 있는 Anki를 선호하지만 퀴즐렛(Quizlet)은 단순 암기 카드를 만드는데 매우 유리하고 클래스를 개설하여 공동 공부를 하기에도 좋기 때문에 많은 사랑을 받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 그러다 보니 퀴즐렛(Quizlet)에서 학습을 했거나 아니면 그 곳의 다양한 학습자료를 원하는 사람들이 퀴즐렛(Quizlet)의 학습 자료를 Anki에 옮기고 싶어하는 경우가 종종 있는 것으로 보인다. 


마침, 어떤 분이 본 블로그에 퀴즐렛(Quizlet)의 자료를 어떻게 Anki로 옮기는지 물어봐 왔기에 그 방법을 찾아본 결과 간단한 추가기능(add-on)의 설치만으로 가능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마침, Anki의 추가기능(add-on)에 대해 소개하는 포스팅을 올려보려던 참이어서 

발견한 내용을 공유하기 위해서 그 추가기능에 대한 포스팅을 해보려고 한다.


그 추가 기능의 이름은 다음과 같다.


Improved Quizlet to Anki Importer


즉, 퀴즐렛(Quizlet)Anki로 가져오게 하는 보다 발전된 추가기능이라는 명칭이다.


관련 설명을 읽어보면 퀴즐렛(Quizlet)Anki로 가져오는 다양한 추가 기능들이 있어왔지만 매번 오류가 있어서 스스로 조금씩 고치다 보니까 어느새 대부분 다시 만들게 되었다고 설명하고 있다. 그리고 아래에 달린 댓글(Reviews)를 보면 많은 사람들이 이 추가기능(add-on)을 써보고 매우 만족해하면서도 여전히 몇가지 문제점이 남아있고 이를 고칠 방법을 제시하는 댓글도 같이 붙어있다. 


제시된 문제점은 모바일 버전에서 퀴즐렛(Quizlet)의 이미지 파일을 다운받을 때 저해상도의 이미지로 다운된다는 문제와 오디오(Audio)가 작동하지 않는다는 점 정도가 제시되고 있다. 이는 앞으로도 계속 추가적인 개선이 이루어질 것이라는 점을 암시한다. 


그렇다면 이제 이 추가 기능(add-on)을 사용해 보자. 


<추가 기능(add-on) 설치>


추가 기능(add-on)의 설치는 Miscellanea(기타)에서 언급한 바가 있지만 Improved Quizlet to Anki Importer 를 기준으로 다시 설명하고자 한다. 


우선, Anki를 실행하고 상단 메인메뉴에서 도구 → 추가 기능(A)  둘러보고 설치하기의 순으로 클릭한다. 





그러면 아래와 같이 추가 기능 설치 창이 나타나는데 이 때, 설치할 코드 번호를 알면 코드를 그대로 기입해서 확인을 눌러서 설치를 하면된다. 하지만 지금의 경우 코드 번호를 모르므로 탐색을 클릭하여 설치할 추가 기능(add-on)을 찾아 코드 번호를 확인해야 한다.






그러면 앙키웹(Ankiweb)의 추가 기능을 보여주는 화면이 아래와 같이 나타난다. 다양한 추가 기능(add-on)들이 레이팅과 함께 나타난다. 즉, 상위에 배치된 추가 기능들은 사람들에게 인정받고 있는 좋은 추가 기능이라는 의미이다. 그 리스트를 주욱 흝어보면 우리가 원하는 Improved Quizlet to Anki Importer 가 보인다. 이를 클릭한다.





Improved Quizlet to Anki Importer 에 대한 소개와 리뷰 그리고 설치 코드가 나타난다. 설치 코드는 590899480이다. 


이번에는 앞서 나타났던 추가 기능 설치 창에 해당 코드를 집어넣고 확인을 클릭한다. 




설치가 진행되고 Anki를 재시작하라는 메시지가 나온다. 확인을 클릭하여 Anki를 재시작한다. 





<Improved Quizlet to Anki Importer 사용>


Anki를 다시 시작하고 도구를 클릭해보면 메뉴 하단에 "Import from Quizlet"이라는 메뉴가 나오는데 이를 클릭한다. 




그러면 아래와 같이 해당 퀴즐렛(Quizlet)의 웹주소(URL)을 넣는 창이 나타난다. 




Anki에 가져오고 싶은 퀴즐렛(Quizlet)의 카드뭉치를 찾아서 이를 넣어보자. 퀴즐렛 홈페이지에 가서 원하는 학습 세트를 클릭하여 해당 페이지로 이동한다. 그리고 그 페이지의 상단 주소를 위의 퀴즐렛(Quizlet)의 웹주소(URL)을 넣는 창에 집어넣고 "Import Deck" 버튼을 누른다.




그러면 가져오기(import) 처리가 이루어지고 성공할 경우 아래와 같이 성공 메시지가 뜬다. 




그리고 카드뭉치 화면으로 돌아오면 아래와 같이 두산2 5-2의 카드 10개가 새로운 카드뭉치로 나타난다.




해당 카드뭉치를 클릭해서 학습을 해보면 아래와 같이 카드의 질문과 해답이 제대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효과적인 학습을 위하여 지식을 구조화하는 20가지 규칙 번역 후기



AnkiSuperMemo를 기반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인지 매뉴얼 중간 중간에 SuperMemo에서 작성한 문건을 참고하라는 말이 자주 나타난다. 효과적인 학습을 위한 20가지 규칙(Effective learning: Twenty rules of formulating knowledge)Anki 매뉴얼에서 카드와 노트를 추가할 때 카드와 노트를 작성하기 위해서 고려할 사항을 정리하는 문건으로 제시되었던 것이다. Anki를 사용한지 2년이 다 되어가면서 학습할 카드를 어떻게 추가하는 것이 가장 최적화된 추가 방법인가에 대한 고민이 계속 있어왔기 때문에 참고하기 위해서 해당 내용을 번역하게 되었다.

 

이 문서를 요약하면 이렇다. 우선 요지는 아무 생각 없이 학습 자료를 추가하지 말라는 것이다. 공부의 정석을 그대로 밟아서 우선 내용을 이해하고 배워 익혀서 최대한 단순하게 내용과 문구를 다듬어야 한다. 그리고 기초부터 차례차례 학습할 내용을 구축하고 학습할 사항을 질문과 답의 형식으로 만들되, 빈칸 만들기(Cloze Deletion)을 이용하면 쉽게 학습 자료를 구축할 수 있다. , 그림을 적극 사용하고, 그림의 일부분을 가리는 방식으로 그림에서도 빈칸 만들기를 이용하면 해부학, 지리학 등의 과목에서 쉽게 학습 자료를 만들고 학습할 수 있다. 이 때, 지식을 어떤 집합으로 정리하거나 열거형으로 정리하는 것을 최대한 피하고 기억들이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최대한 특징을 기억하기 쉬운 사례나 단서들을 제시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그 외에 출처를 명시하여 해당 학습 자료의 신뢰도를 평가할 수 있게 하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서 달라지는 지식을 관리하기 위하여 날짜를 명시하는 것이 좋다. 마지막으로 모든 것을 다 공부할 수 없으니 항상 우선순위를 두어서 배우고 익힐 내용을 추리고 추려야 한다.

 

아마도 가장 중요한 부분은 앞부분의 우선 내용을 이해하고 배워 익혀서 최대한 단순하게 내용과 문구를 다듬고 기초부터 차례차례 학습할 내용을 구축하는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그 뒤에 내용은 이렇게 다듬어진 내용들을 어떻게 카드와 노트로 전환할 것인가 하는 팁에 가깝다는 생각이 든다. 그리고 이 규칙을 완벽하게 지킨다면 아마도 해당 학습 내용을 완벽하게 공부하고 나서 Anki에 카드를 정리할 판이다. 그러니 참고만 하고 너무 이 규칙에 집착하지는 말아야 할 것 같다.

 

마지막으로, 본인의 영어실력으로는 번역이 너무 어려웠다. 이 블로그의 글은 참고만 하시고 영어 실력이 좋으신 분들은 직접 해당 원문을 보시기 바란다.


효과적인 학습을 위하여 지식을 구조화하는 20가지 규칙 원문 링크는 다음과 같다.


https://www.supermemo.com/en/articles/20rules

효과적인 학습을 위하여 지식을 구조화하는 20가지 규칙 원문 링크는 다음과 같다.


https://www.supermemo.com/en/articles/20rules



역자의 자질 부족으로 상당수 의역이 있으니 잘 이해가 가지 않거나 원문이 궁금하신 분은 원문을 참고하시길 바란다.





효과적인 학습을 위하여 지식을 구조화하는 20가지 규칙(18~20번)

(The 20 rules of formulating knowledge in learning)




18. 출처를 명시하라.


수많은 테스트를 통과하고 증명된 지식(가령, 2+2=4와 같은 지식)이 아니라면 공부하려고 여기저기서 모은 지식들의 출처를 기록해둘 것을 이 경우라면 SuperMemo나 Anki의 카드에 기록할 것을 강력하게 추천한다. 일상생활에서 본인이 공부한 지식들은 끊임없는 도전에 직면하게 된다. 이럴 때, 해당 지식의 출처를 알면 그 상황을 벗어날 수 있다. 또한, 출처에 따라서 사실관계나 숫자가 달라지는 경우를 확인할 수도 있다. 괜찮은 평판을 가진 정보 에이전시에서 발표한 숫자들이 다른 평판 좋은 출처들과 얼마나 크게 다른지 알게 되면 매우 놀랄 것이다. SuperMemo(Anki)가 아니라면 이러한 불일치를 발견하기 어려울 것이다. 보통은 기존에 알고 있던 사실과 사실관계나 숫자가 다른 새로운 사실을 만나기 전에 오래된 것을 잊어버리는 경우가 보통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러한 사실들이 서로 상충된다는 것을 파악하고 해당 내용들의 출처를 파악하면, 어떤 정보가 더 신뢰할만한 것인지 여부를 선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라벨을 “주의!, 다른 출처와 내용이 다름같이 붙여 신뢰도를 바로 확인할 수 있게 하는 것도 유용하다.


출처를 학습할 내용의 옆에 명시해야 하지만 이 출처를 외울 필요까지는 없다(물론, 누군가 물어봤을 때 출처를 기억할 필요가 없다면 외울 필요도 없다는 말이다.).



19. 날짜를 명시하라.


기초 수학, 해부학, 분류학, 지리물리학 등의 지식은 그 내용이 잘 변하지 않고 상대적으로 안정적이라고 할 수 있지만 경제 지표, 첨단 기술 지식, 개인의 통계 수치들 등은 휘발성이 강해 매우 쉽게 사라진다. 학습할 내용에 날짜를 기록하거나 태그함으로써 해당 지식이 얼마나 오래된 것인지 파악할 수 있어야 한다. 통계 수치들은 해당 통계수치를 집계한 연도를 기록하면 될 것이다. 소프트웨어 응용 프로그램을 공부할 경우에는 해당 소프트웨어의 버전을 기록하는 것으로 충분할 것이다. 이러면 새로운 수치들이 나타날 경우 이를 갱신(updating)할 수 있게 된다. 아쉽지만 대부분의 경우 이미 유효기간이 지나가버린 지식들은 잊고 새로운 지식들을 다시 외워야 할 것이.


해당 학습 내용의 날짜를 기록하는 것은 지식을 편집하고 확증하는데 유용할 뿐  이러한 날짜 자체를 외우고 싶어하는 경우는 드물 것이다. 그렇지만 수년간 GNP 수치의 변화와 같이 어떤 지표가 시간에 따라서 어떻게 변화했는지를 기억하고 싶다면 이러한 날짜 기록 자체도 배우고 익힐 지식 그 자체가 될 것이다



20. 우선순위를 두어라.


살면서 우리는 많은 지식을 접하게 되고 그러한 지식들을 모두 마스터할 수는 없다. 따라서 우리는 모든 것을 배우고 익힐 수 없으므로 우선순위를 정해서 배움으로써 장기적으로 양질의 지식을 구축해야 한다. 우선순위를 어떻게 매기느냐에 따라서 지식이 유입되는 방식도 같이 변하게 되고 학습 속도도 달라진다. 


우선순위가 결정되는 단계는 아래에 정리해 놓았다. 이중에서 지식을 어떻게 표현할 것인가와 관련된 것은 적지만 모두 중요하다.

 

(아래 부분은 SuperMemo에 특화된 설명이어서 간략하게만 번역함)


A출처에 운선순위 매기기.(prioritizing sources)

각종, 출처가 있다. 교과서와 책, 강의 노트 등이 있을 수 있고, 인터넷과 뉴스, TV, 백과사전, 사전, 등등이 있다. 이렇게 다양한 지식의 출처에서 어디에 어느 정도의 중요도를 할애하는 것이 좋은지 파악해야 한다.

 

B. 지식의 추출(Extracting knowledge)

매우 중요한 시험을 앞두고 있는 것이 아니라면 책을 통째로 외운다거나 모든 학습 자료를 통째로 외운다거나 할 일은 없을 것이다. 따라서 정말 중요하고 필요한 부분을 추출해서 외워야 한다.

 

C. 해당 지식을 SuperMemo(Anki)로 전환

이제까지 언급해온 효율적인 학습을 위한 20가지 규칙을 적용하여 SuperMemo(Anki)에 학습 자료로 전환하여 저장

 

D. 배워 익히기

배우고 학습하면서 해당 학습자료의 우선순위를 평가함

 


 

효과적인 학습을 위하여 지식을 구조화하는 20가지 규칙 원문 링크는 다음과 같다.


https://www.supermemo.com/en/articles/20rules



역자의 자질 부족으로 상당수 의역이 있으니 잘 이해가 가지 않거나 원문이 궁금하신 분은 원문을 참고하시길 바란다.





효과적인 학습을 위하여 지식을 구조화하는 20가지 규칙(17번)

(The 20 rules of formulating knowledge in learning)




17. 여분의 학습(Redundancy)은 최소 정보원칙에 위배되지 않는다.


학습량의 초과, 여분의 학습의 의미는 간단하게 말하면 필요한 양보다 많은 정보량 또는 중복된 정보 등을 말한다. 여기서는 여분의 학습이라고 지칭하겠다(역자주). 이러한 여분의 학습을 하는 것이 앞서 언급한 최소 정보 원칙에 어긋나는 것처럼 보일 수 있지만 그런 것이 아니며 오히려 환영할만한 일일 수 있다. 이 짧은 텍스트에서 여분의 학습이라는 주제를 다루기에는 이 주제가 매우 광범위하고 지면은 너무 협소하다. 그래서 여기 몇 가지 사례만을 제시하려고 한다. 이 사례들은 최소 정보 원칙을 그저 컬렉션이나 학습 내용을 구성하는 문자의 수, 비트의 수로 단순하게 이해되어선 안 된다는 것을 보여주는 사례들이다



<수동적이고 동시에 능동적인 접근>


에스페란토 같은 외국어를 배운다면 종종 phone-telefono, language-lingvo, hope-esperanto와 같은 단어 쌍을 만들게 될 것이다. 이러한 단어 쌍들을 학습하는 방식은 영어를 에스페란토어로 전환하기 위하여 적극적으로 기억을 환기할 것을 요구한다. 하지만 적극적으로 에스페란토어를 환기시키는 훈련이 이루어져서 phonetelefono라고 바로 생각해낼 수 있다는 것이 역으로 telefono라는 단어를 볼 때 바로 phone을 떠올릴 수 있는 것을 보장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telefono-phone, lingvo-language 이나 esperanto-hope와 같이 뒤집힌 단어 쌍들을 인지하는데는 실패할 수 있다. 그러므로 학습 자료를 추가할 때 문제와 답을 뒤집은 항목을 같이 추가하면 이는 좀 중복된 지식이고 최소 정보 원칙에 어긋나 보이지만 실제로는 전혀 그렇지 않다. 학습할 내용들은 여전히 가장 단순한 형태이고 이런 단순한 형태의 학습 내용들을 더 얻게 되었을 뿐이다.


SuperMemo 2000/2002에서는 복제 (Ctrl + Alt + D) 및 스왑 (Ctrl + Shift + S)을 사용하여 스왑 된 단어 쌍 항목을 신속하게 생성 할 수 있다.(Anki에서는 노트 유형을 바꾸거나, 카드 템플릿을 바꿔 간단하게 할 수 있다.)



<추론 단서>


 학습에는 다양한 형태가 있고, 학습을 통하여 기르는 능력도 몇 가지가 있다. 그 중 한 가지는 바로 추론능력이다. 몇 가지 단서를 이용하여 어떤 문제에 대한 해결 방식을 추론하는 방식으로 질의를 함으로써 추론 능력을 올리고 싶을 때가 종종 있게 된다. 아마도 단순히 답을 외우는 것 대신 간단한 수학 방정식을 푸는 것처럼 재빨리 추론의 단계를 밟아서 답을 만들어내는 방식으로 해보고 싶을 것이다. 이러한 경우 해답에다가 추론 과정에 대한 힌트 즉, 추론 단서를 제시해놓으면 반복 학습을 할 때마다 항상 올바른 경로를 따라가는데 도움이 된다.



<유도 단계>


복잡한 수학 문제를 풀 경우와 같이 좀 더 복잡한 문제를 풀고자 할 경우 개별적으로 유도된 추론 단계를 일일이 외우는 것이 최고다. 이걸 단순히 주입식으로 쑤셔 넣는 것이라고 비난할 것은 아니다. 이렇게 하면 그 문제를 풀면서 두뇌가 항상 가장 빠른 길을 따라갈 수 있도록 확실하게 해주는 것이다. 창의력과 지능을 향상시키는 읽기 방법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다음을 참조하기 바란다. Roots of genius and creativity와 좀 더 구체적으로는 Derivation, reasoning and intelligence를 참조하기 바란다.

 


<다양한 의미의 표현>


동일한 지식이 전혀 다른 각도와 관점에서 드러나는 경우가 매주 많다. 기억할만한 가치가 있는 지식이라고 판단되면 동일한 내용에 대하여 다양하게 표현된 것을 기억하기를 권고하는 바이다.



<유연한 반복>


하나의 질문에 대하여 타당한 응답이 여러 개 있을 경우 이러한 다양한 응답들 중에서 다른 응답들과 동일하면서도 가장 높은 성적을 받게 해줄 대표적인 표현을 선택하라. 가령, 언어를 공부할 경우, 어떤 단어와 개념적인 정의가 일치하는 부분이 있는 모든 동의어를 전부 외워야겠다고 생각하는 것과 같은 터무니없는 생각을 하지 말아야 한다. 동의어로써 가장 충분하다고 판단되는 하나의 동의어를 고려해서 학습하는 것이 훨씬 더 적절하다.




효과적인 학습을 위하여 지식을 구조화하는 20가지 규칙 원문 링크는 다음과 같다.


https://www.supermemo.com/en/articles/20rules



역자의 자질 부족으로 상당수 의역이 있으니 잘 이해가 가지 않거나 원문이 궁금하신 분은 원문을 참고하시길 바란다.





효과적인 학습을 위하여 지식을 구조화하는 20가지 규칙(15~16번)

(The 20 rules of formulating knowledge in learning)



15. 감정 상태에 의지하라.


생생하게 살아있는 사례로 묘사하거나 아니 나아가 충격적이기까지 한 사례를 사용하여 학습할 내용을 잘 묘사할 수 있다면 나중에 이 내용을 떠올리는 것은 매우 쉬울 것이다(동일한 사례를 과도하게 사용하여 다른 지식과 간섭이 일어나지 않는 한). 물론 그 내용의 형태는 좀 기괴해질 수도 있다. 그러나 그것이 개인적인 이유로만 사용된다면 목적을 이루는데 제 역할을 하는 것이니 정당한 수단이라고 할 수 있다. 매우 강한 감정을 불러일으키면서 구체적인 것을 이용하라. 사랑, 섹스, 전쟁, 친척, 열중했던 것들, 린다 트립, 넬슨 만델라 등 다양한 것이 있다. 감정 상태로 인하여 회상이 용이해진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그러나 명심해야할 것이, 실제 삶에서 마주치는 상황에서 그 기억을 회상해야할 때, 슬픔과 같은 감정적인 단서를 박탈당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스스로의 상태를 확인해야한다.

 

생생하게 감정 상태를 환기하는 사례가 없어 학습하기 어려운 경우


Q: 가벼운 농담과 같은 대화를 의미하는 영단어

A: banter


영단어가 의미하는 바에 대한 생생한 사례가 있어 학습하기 쉬운 경우


Q: 1992년의 Mandela와 de Klerk과 같은 가벼운 농담과 같은 대화를 의미하는 영단어

A: banter


Nelson MandelaF.W. de Klerk 사이의 만남에 대한 긍정적인 기억이 생생하게 살아있다면, banter라는 단어의 의미를 빨리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사례가 없으면 badinage 또는 chat과 같은 단어의 의미가 banter의 의미에 간섭이 이루어져 고생했을 수 있다. 여기에서는 해당 사례에 대한 감정적인 상태가 우리가 배우고 있는 개념의 의미를 정의하는데 도움이 되고 있으므로 해당 사례와 무관한 감정적 상태로 인하여 기억하는 것을 방해받을 위험은 없다.


좋은 사례는 학습 시간을 매우 짧게 만들어준다. 나는 사례 없이 학습한 내용을 1년에 20번까지 잊어버린 기록을 가지고 있다. 반면, 동일한 내용을 간섭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세밀하게 설계된 사례와 같이 학습한 경우에는 5년 동안 10회 정도만 반복했음에도 해당 내용을 한 번도 잊은 적이 없다. 이것은 20년 기간 동안으로 생각해보면 대략 25배의 시간을 절약한 것이다! 이런 사례들은 드물지 않으니 잘 찾아보길 바란다. 그리고 이러한 사례들은 앞서 언급한 규칙들, 단순하게 하고 간섭을 배제하라는 규칙들에 의해서 그 효과가 가장 극대화된다




16. 맥락에 대한 단서는 문구를 단순하게 해준다.


다양한 학문과 학습할 내용들은 그 맥락에 따라서 다양한 모습을 보이게 된다. 외국어를 학습할 때 한국어의 학생이라는 말을 일본어로 바꿔보라는 것인지, 영어로 바꿔보라는 것인지 그 맥락을 알아야 학습자는 자연스럽게 학습을 진행할 수 있다. 질의 문구에 영어로 전환하시오라는 문구를 포함하면 되지만 이러한 맥락이 길어질수록 그러한 문구를 질의에 포함시키는 것이 귀찮고 힘든일이 될 뿐만 아니라 학습자에게도 부담이 된다. 이러한 경우 맥락을 이해할 수 있도록 간단하게 축약된 라벨을 붙이는 것이 좋다. 참조 라벨(제목, 작성자, 날짜 등)을 사용하고, chemistry에는 chem, mathmatics에는 math와 같은 문자열로 라벨을 부여하는 방식으로 하위 카테고리에 명확한 라벨을 부여하면 질문의 맥락을 일일이 구체적으로 나열할 필요가 없어져 학습할 사항들의 문구를 단순하게 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아래의 예제에서 잘 정의된 접두어 bioch(biochemistry의 라벨) 덕분에 GRE라는 약어와 대학원 시험(Graduate Record Examination)의 약어를 헷갈리지 않고 바로 구별할 수 있다. 이러한 약어를 라벨로 사용하지 않으면 질문에 장황하게 맥락을 기술하고 학습할 때도 그것을 읽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는데 덕분에 이를 피할 수 있게 되었다. 제시된 사례를 보면 알겠지만 해당 학습 내용은 bioch라는 라벨로 서두를 시작하고 있다. 왜냐하면 서두부터 라벨을 제시함으로써 두뇌가 처음부터 올바른 문맥을 파악하고 해당 내용을 학습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이렇게 제시된 사례와 달리 서두를 라벨로 시작하면서 처음부터 맥락을 명확하게 인지하지 않은 채로 해당 내용을 학습할 경우, 우선, 소중한 몇 밀리초(milliseconds)를 GRE의 표준적인 의미인 대학원 시험(Graduate Record Examination)을 떠올리는데 낭비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더 최악인 것은 이렇게 표준적인 의미를 생각함으로써 두뇌에서 잘못된 영역이 활성화되어 잘못된 영역과 제대로 된 영역이 서로 간섭하게 되는 경향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이다.


구구절절한 학습 내용으로 결과적으로 간섭이 발생하고 기억을 환기하는데 실패할 수 있는 사례


Q: What does GRE stand for in biochemistry?

A: glucocorticoid response element


맥락에 대한 라벨을 붙여서 학습 성공률은 높인 사례


Q: bioch: GRE

A: glucocorticoid response element




효과적인 학습을 위하여 지식을 구조화하는 20가지 규칙 원문 링크는 다음과 같다.


https://www.supermemo.com/en/articles/20rules



역자의 자질 부족으로 상당수 의역이 있으니 잘 이해가 가지 않거나 원문이 궁금하신 분은 원문을 참고하시길 바란다.





효과적인 학습을 위하여 지식을 구조화하는 20가지 규칙(13~14번)

(The 20 rules of formulating knowledge in learning)



13. 다른 기억들을 참조하라.


다른 기억들을 참조함으로써 학습할 내용을 좀 더 나은 맥락에 배치하고 문구를 단순하게 다듬고 학습 내용들 간의 간섭을 줄일 수 있다. 아래의 사례에서, 길게 묘사된 애매한 문구를 humblesupplicant라는 단어를 사용하여 학생들이 shamelessly라는 단어에 초점을 맞추게 도와주어 올바른 의미를 강조하였다. 두 번째로, humblesupplicant라는 단어를 사용하여 cringing이라는 단어와의 간섭(interference)을 피할 수 있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개선된 방식에서 제시된 문구가 더 짧고 구체적이다. 기초적인 부분에서 상세한 부분으로 나아가라는 규칙이해하기 전에 배우지 마라라는 규칙을 따라서 humble이라는 단어와 supplicant라는 단어를 그 전에 배우거나 혹은 최소한 동시에 배워야 한다


학습 내용에 대한 고려 없이 사전을 그대로 학습하는 경우


Q: derog: adj: shamelessly conscious of one's failings and asking in a begging way

A: cringing



사전의 의미를 이전에 배운 것을 기초로 하여 단순화하여 보다 쉽고 기억 간에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정리한 사례


Q: derog: adj: shamelessly humble and supplicant

A: cringing




14. 개인적으로 기억에 남는 예제를 사용하라


쉽게 기억하고 오랫동안 기억을 유지시키는 효과적인 가장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는 기억할 내용과 자신의 개인적 삶에서 경험했던 것들을 연결하는 것이다. 아래의 사례에서처럼 질문에서 제시된 문구에 따른 적절한 그림을 그리려고 시도하는 것보다는 개인적인 경험에서 비롯된 단서를 사용하는 편이 훨씬 시간이 덜 들 것이다.

 

단순한 질의 형태로 학습하기 어려운 사례


Q: 팔받침이나 등받이가 없는 부드러운 침대의 이름은?

A: divan(소파베드)


학습할 내용에 개인적인 경험과 기억을 덧붙여 학습이 쉬워진 사례


Q: 팔받침이나 등받이가 없는 부드러운 침대의 이름은?(로버트의 부모님 댁에서 보았던 그것과 비슷한 것)

A: divan(소파베드)



로버트의 부모가 살던 아파트에 있던 부드러운 침대가 어떤 종류였는지 정확하게 기억한다면 굳이 해당 질문의 정의에 따라서 적절한 그림을 찾아보거나 의미론적인 고찰을 할 필요 없이 바로 답을 찾을 수 있다. 이렇게 개인화된 사례들은 기억 간섭이 일어나는 경우도 거의 없으며 배우고 익히는 시간도 대폭 줄여준다

효과적인 학습을 위하여 지식을 구조화하는 20가지 규칙 원문 링크는 다음과 같다.


https://www.supermemo.com/en/articles/20rules



역자의 자질 부족으로 상당수 의역이 있으니 잘 이해가 가지 않거나 원문이 궁금하신 분은 원문을 참고하시길 바란다.





효과적인 학습을 위하여 지식을 구조화하는 20가지 규칙(11~12번)

(The 20 rules of formulating knowledge in learning)



11. 기억 간섭을 적극 배제하라.


배우는 내용들이 유사할 경우 종종 헷갈리는 일이 발생하게 된다. 예를 들어 ‘historic’이라는 단어와 ‘historical’리는 단어의 의미를 구별하는 것이 헷갈릴 수 있다. 다양한 약물들의 최적 투여용량과 같이 비슷한 숫자를 많이 외우는 상황에 처하면 이렇게 헷갈리는 상황이 어떤 것인지 잘 드러난다. 어떤 내용에 대한 지식이 다른 내용을 기억하기 어렵게 하는 경우를 우리는 기억 간섭(interference)이라고 말한다. 수년간 매우 훌륭하게 기억을 유지하고 있는 어떤 지식이 새로운 내용을 외우면서 갑자기 문제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 새롭게 외운 내용은 심지어 과거의 내용뿐만 아니라 새로 배운 내용까지 기억하기 거의 불가능하게 만든다. 예를 들어보자. 지리에서 베네수엘라와 수리남 그리고 브라질 사이에 있는 나라가 가이아나라는 것을 배웠다. 수년간 이 내용을 몇 번 반복하면서 쉽게 기억을 유지할 수 있었다. 그런데 비슷한 학습 내용인 브라질, 베네수엘라, 수리남, 프랑스 가이아나, 콜롬비아 등등의 나라의 위치를 묻는 항목을 학습한 결과 갑자기 강력한 기억 간섭이 일어나는 것을 확인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전혀 예상치 못한 내용에 대해서도 갑자기 기억이 나지 않을 수 있다. 간단하게 말하면 무엇이 무엇인지 헷갈리게 될 것이다.


SuperMemo(Anki)를 숙련되게 사용하는 사람들이 사용자 자신의 컬렉션에서 학습한 내용을 잊게 되는 하나의 가장 큰 원인이 바로 간섭(interference)이다. 그러한 간섭이 언제 일어날지는 전혀 예측할 수 없고, 그저 발생한 간섭을 찾아서 제거하는 것이 유일한 해결책이다. 다른 말로 하면, 간섭이 일어난 많은 경우를 지식을 구조화하는 순간에는 이러한 간섭이 발생할 것인지 예측하여 방어하는 것은 불가능할 것이란 말이다. 간섭은 가이아나, 가이아드, 가이엔, 가이아나, 케이맨, 아스피린과 같이 서로 큰 관련이 없는 내용들 간에도 일어나고 또한, 사람들에게도 어떤 사람에게는 간섭이 일어나고 어떤 사람은 간섭이 없는 등 다르게 작용하기 때문에 간섭이 일어나는 것을 예측하기는 거의 불가능하다.

 

그래도 간섭이 활성화되기 전에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최선을 다해야만 한다. 이래야 학습 과정에서 스트레스를 덜 받고 정신적으로도 견딜 수 있게 된다. 다음은 몇 가지 팁이다.


가능한 한 자료를 모호하지 않게 만든다.

- 최소 정보의 원칙을 고수해라(이 텍스트의 나머지 규칙들은 간섭을 피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규칙들이다.)

간섭이 일어난 지점을 확인하자마자 제거해라. 특히, 그 간섭이 강박처럼 남기 전에 제거해야 한다.


 


12. 문구를 최적화해라


공부할 사항의 문구를 최적화 되어야 한다. 그래서 최단시간에 머릿속에서 해당 내용에 대한 영역이 활성화될 수 있어야 한다. 이렇게 문구가 최적화 되면 오류를 범할 확률이 줄어들고 구체성을 늘리며, 반응 속도를 줄이고, 집중력을 높여준다.

 

너무 구구절절하게 작성된 텍스트에 빈칸 만들기를 적용하여 최적화되지 않은 내용


Q: Aldus invented desktop publishing in 1985 with PageMaker. Aldus had little competition for years, and so failed to improve. Then Denver-based [...] blew past. PageMaker, now owned by Adobe, remains No. 2


A: Quark



문구를 줄여서 효율을 개선하는 방식으로 최적화된 사항


Q: Aldus invented desktop publishing in 1985 with PageMaker but failed to improve. Then [...] blew past (PageMaker remains No. 2)

A: Quark

 

Or better:

 

Q: Aldus invented desktop publishing with PageMaker but failed to improve. It was soon outdistanced by [...]

A: Quark

 

Or better:

 

Q: PageMaker failed to improve and was outdistanced by [...]

A: Quark

 

Or better:

 

Q: PageMaker lost ground to [...]

A: Quark



최적화를 통하여 개선한 학습 항목에서 정보가 손실되었지만 그 정보가 대수롭지 않다는 점을 주의하라. 학습을 반복하는 동안 오직 Quark라는 이름만 배우게 되어 있다. PageMaker의 소유권이나 개발된 연도에 대한 내용들이 기억에 드문드문 남는 것은 그저 부수적인 효과들일 뿐이므로 기대하지 마라. 만일, 다른 정보들을 중요하다고 판단하여 기억하기로 결정했으면 해당 내용을 기억할 다른 항목을 만들어야 한다(아마도 위의 텍스트를 다시 사용해서 새롭게 빈칸을 만들고 새로운 방식으로 문구를 최적화해야할 것이다.). 그렇지 않으면 중복된 정보로 인하여 학습 속도가 느려지게 될 것이다

효과적인 학습을 위하여 지식을 구조화하는 20가지 규칙 원문 링크는 다음과 같다.


https://www.supermemo.com/en/articles/20rules



역자의 자질 부족으로 상당수 의역이 있으니 잘 이해가 가지 않거나 원문이 궁금하신 분은 원문을 참고하시길 바란다.





효과적인 학습을 위하여 지식을 구조화하는 20가지 규칙(10번)

(The 20 rules of formulating knowledge in learning)




10. 열거를 피해라.


집합보다는 낫지만 열거식으로 나열된 지식도 배우기 어려운 고전적인 사례인 것은 마찬가지다. 그러니 열거식으로 나열된 지식을 배우는 것은 가능하다면 피해라. 그리고 피할 수 없다면, 빈칸 만들기(가능하다면 중첩된 빈칸 만들기)를 이용하라. 알파벳을 배우는 것은 중첩된 빈칸 만들기의 좋은 예가 된다 :

 

다음이 알파벳을 열거식으로 단순 나열하여 배우기 어려운 사례이다.


Q: 알파벳 문자열은?

A: abcdefghijklmnopqrstuvwxyz


 

이 사례를 중첩된 빈칸 만들기로 배우기 쉽게 변경한 사례는 다음과 같다.


Q: 알파벳의 처음 세 개의 문자는?

A: ABC

 

Q: A [...] [...] [...] E의 문자열에서 빈칸의 문자를 채워라.

A: B, C, D

 

Q: B [...] [...] [...] F의 문자열에서 빈칸의 문자를 채워라.

A: C, D, E

 

Q: C [...] [...] [...] G의 문자열에서 빈칸의 문자를 채워라.

A: D, E, F



위와 같은 방식으로 학습할 사항을 정리하면 알파벳 학습이 훨씬 빨라질 것이고 심리학적인 이유로 더 쉽게 학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학생들은 전체 문자열을 암송하기 위하여 현재 진행하고 있는 반복학습을 중단하지 않아도 되고 학습할 내용의 일부분에 온전히 초점을 맞추어 학습할 수 있다. 물론, 해당 반복학습을 하고 나서 전체 알파벳을 전부 암송하는 것을 여전히 추천할만한 좋은 학습방법이다. 그러나 일단 모든 개별적인 부분들이 기억에 잘 정착이 된 상태에서 전체를 알파벳을 암송하면 알파벳 암송은 쉽고 빠르게 처리할 수 있는 즐거운 일이 될 것이다


위의 예제에서 사용된 빈칸 만들기는 중첩된 빈칸 만들기이다. 여러 개의 질의 사항에서 열거할 리스트에서 동일한 부분이 계속 답으로 포함되는 방식으로 학습할 내용을 구성하면 해당 부분에 대한 기억력 강화가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위의 예제에서 두 번째 질의와 세 번째 질의에서 C-D의 연속체가 답에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질의 사항의 구축이 쓸데없는 중복이고 최소 정보의 원칙에 어긋난다고 생각할 수 있다. 하지만 중복된 내용 구성은 최소정보의 원칙에 위배되지 않는다. 왜냐하면 최소 정보의 원칙은 학습할 질의 내용을 최대한 간단하게 정리하는 것인데 이 사례에서는 추가적인 정보는 추가적인 항목에 추가되고 있어 여전히 질의 내용이 단순하기 때문이다.


앞서 집합의 사례에서 다룬 것처럼 그룹화를 사용하여 열거식의 지식을 구조화할 수도 있다. 하지만 빈칸 만들기를 하는 편이 그룹화를 하는 것보다 훨씬 단순하고 대부분의 경우 그것으로 충분하다.


시를 암송하는 과정이 바로 열거식 지식을 암기하는 과정의 사례가 된다. 모든 단어들과 문장들이 미리 규정된 순서에 따라서 나열되어야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강력한 의미론적 연결 관계, 운과 리듬 덕분에 시를 기억하는 것은 빈칸 만들기가 없어도, 작은 부분을 계속 잊어먹어 좌절하는 일 없이도, 잘 기억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시에 대해서 한번 말을 더듬기 시작하면 빈칸 만들기를 이용하여 그 시를 해체하여 학습해야 한다. 그리고 그렇게 배울 때 학습이 쉽고 빠른 그리고 효율적이고 즐거운 일이라는 것을 확신하게 될 것이다.

 


다음은 시를 기억하기 어렵게 구조화한 사례다.


Q: The credit belongs [...] (Teddy Roosevelt)

A: The credit belongs to the man who's actually in the arena, whose face is marred by dust and sweat; a man who knows the great enthusiasm and the great devotions, who spends himself in a worthy cause, who in the end knows the triumph of high achievement, so that his place shall never be with those cold and timid souls who know neither victory nor defeat 

 


시를 쉬운 내용으로 분할하여 암기할 수 있도록 구조화한 사례


Q: The credit belongs [...] (Teddy Roosevelt)

A: to the man who's actually in the arena

 

Q: The credit belongs to the man who's actually in the arena [...]

A: whose face is marred by dust and sweat (a man who knows the great enthusiasm)

 

Q: whose face is marred by dust and sweat [...] (The credit belongs)

A: a man who knows the great enthusiasm and the great devotions (who spends himself in a worthy cause)

 

Q: a man who knows the great enthusiasm and the great devotions [...] (The credit belongs)

A: who spends himself in a worthy cause (who in the end knows the triumph of high achievement)

 

Q: who spends himself in a worthy cause [...] (The credit belongs)

A: who in the end knows the triumph of high achievement (so that his place shall never be), etc. etc.



시를 이런 식으로 외우는 것이 너무 작위적으로 보이는가? 확실히 그렇다! 하지만 이 방법은 너무나 효과적이다. 이 방법이 얼마나 효과적인지는 스스로 해보지 않는다면 결코 알 수 없으니 한번 시도해보길 권한다


효과적인 학습을 위하여 지식을 구조화하는 20가지 규칙 원문 링크는 다음과 같다.


https://www.supermemo.com/en/articles/20rules



역자의 자질 부족으로 상당수 의역이 있으니 잘 이해가 가지 않거나 원문이 궁금하신 분은 원문을 참고하시길 바란다.





효과적인 학습을 위하여 지식을 구조화하는 20가지 규칙(8~9번)

(The 20 rules of formulating knowledge in learning)




8. 그림에서 빈칸 만들기도 매우 좋다.


그림의 일부분을 가리고 가려진 부분을 완성하는 방식의 학습을 그림에서 빈칸 만들기라고 한다. 그림에서 빈칸 만들기는 구문의 일부분을 가리는 대신에 이미지의 구성 요소를 가린다. 예를 들어, 해부학을 배울 때 생체의 복잡한 그림과 마주치게 된다. 그림에서 빈칸 만들기는 해당 그림의 일부분을 가리고 학생은 가려진 영역의 이름을 맞추는 것이다. 하나의 그림에서 다양한 부분을 가리고 학습할 수 있으므로 똑같은 그림에서 10-20 가지 학습 사항을 가리고 이를 학습할 수도 있다. 개별 학습 사항은 가려진 부분에 대한 이름뿐만 아니라 해당 그림의 구체적인 구성요소에 대한 질의를 해볼 수도 있다. 그림에서 빈칸 만들기 지리를 배우는 데 정말 효과적이다!


그림에서 빈칸 만들기 사례는 아래의 그림과 같다.






9. 집합의 형식으로 지식을 공부하는 것은 피하는 것이 좋다


집합이라고 하는 것은 어떤 원소들의 집합이다. 예를 들어 과일의 집합은 사과, , 복숭아 일 수 있다. 이러한 집합은 예로부터 배우기 까다로운 지식의 한 종류였다. 어떤 집합의 구성원을 열거하라는 식의 지식이 그런 것이다. 예를 들면, “어떤 국가가 EU에 속해 있습니까?”와 같은 질문에 대하여 응답해야 하는 식인 것이다. 하지만 이런 식으로 어떤 집합의 구성 요소를 일일이 기억해야 하는 식의 학습은 외웠다고 해도 그것을 유지하는데 비용이 많이 들게 되므로 되도록 피하는 것이 좋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어떤 집합에 대한 지식을 기억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이런 경우에는 해당 지식을 열거하는 방식으로 변환해야한다. 열거가 집합과 다른 점은 어떤 순서가 있다는 점이다. 가령, EU 회원국의 목록을 알파벳 순서로 나열하는 식이다. 열거식의 지식도 기억하기 어렵기 때문에 권장하지 않는다. 하지만 집합을 기억하는 것에 비해서는 강점이 있다. 열거가 집합 보다 나은 점은 순서대로 정렬되어 있고 기억을 할 때 항상 그 순서에 따라서 기억하도록 두뇌를 강제한다는 점이다. 순서대로 정렬된 리스트가 무작위 순서대로 나열되어 있는 집합에 비하여 정보량이 더 많다. 하지만 아이러니한 것이 더 많은 정보량에도 불구하고 열거식이 오히려 기억하기 더 쉽다. 우리는 이러한 상황에 대한 이유에 대한 논의를 최소 정보 원칙의 맥락에서 이미 한 바 있다. 핵심은 반복 할 때마다 항상 두뇌가 똑같은 방식으로 작동하게 해야 한다는 것이다. 집합은 순서가 없으므로 반복 학습을 할 때마다 집합의 객체를 임의의 순서로 나열하게 되고 이런 방식의 학습은 기억에 재앙에 가까운 악영향을 미친다. 연상법, 열거 방식, 그룹화 방식 등을 사용하지 않고 5개 이상의 구성원을 가지고 있는 집합을 제대로 기억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물론, 이러한 문제를 우회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무의식적으로 체득된 기술들이 있어 종종 집합을 외우는 것이 가능한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그러나 그 기술들은 불안정하고 너무 자주 실패한다. 결론적으로 집합을 외우거나 암기하는 것은 피하고 정말 집합을 공부해야 한다면 이를 열거식으로 변환하고 뒤에 언급할 열거식 지식을 다루는 기술을 사용하라.


그냥 학습항목을 나열하는 식의 집합을 잘못 구조화한 사례


Q: 2002년에 EU 회원국의 명단은?

A: Austria, Belgium, Denmark, Finland, France, Germany, Greece, Ireland, Italy, Luxembourg, the Netherlands, Portugal, Spain, Sweden, and the United Kingdom


동일한 집합을 어떤 의미를 갖춘 리스트로 전환하여 잘 구조화된 사례


Q: 1951년 유럽 방위 공동체의의 창설을 위한 미팅을 주최한 나라는?

A: France


Q: 1952년 프랑스와 별개로 유럽석탄철강공동체에 참여한 나라들은?

A: Germany, Italy 그리고 Benelux

 

Q: 어떤 나라들이 모여서 Benelux를 만들었나?

A: Belgium, Luxembourg, 그리고 Netherlands

 

Q: 찰스 드골은 1960년대에 어떤 나라의 가입을 반대했는가?

A: 영국의 가입

 

Q: 1973년에 영국과 함께 유럽경제공동체에 참여한 나라들은?

A: IrelandDenmark

 

Q: 1981년에 유럽경제공동체에 참여한 나라는?

A: Greece

 

Q: 1986년에 유럽경제공동체에 참여한 나라들은?

A: SpainPortugal

 

Q: 1995년에 유럽연합에 참여한 나라들은?

A: Austria, Sweden 그리고 Finland

 

Q: 유럽연합의 회원국이 확장된 순서를 역사적인 과정에 따라 나열하면?

A: (1) France and (2) Germany, Italy and the Benelux, (3) UK and (4) Ireland and Denmark, (5) Greece, (6) Spain and Portugal and (7) Austria, Sweden and Finland



위 사례에서 유럽연합의 회원국인 15개국 멤버들의 집합을 9개의 질의응답 항목으로 전환하였다. 그 중 5개 항목에는 회원국을 2~3개씩 배치하였고 하나는 15개 회원국을 7개의 묶음으로 나누어 열거하였다. 프랑스와 영국을 별도로 나열한 트릭도 주목해주길 바란다. 그들은 다른 회원국들과 함께 연합에 가입했지만 학습 과정을 단순화하기 위해 별도의 항목으로 분리해서 나열했다. 잘 구조화된 접근으로 형성된 학습 내용들의 정보량은 원래 집합보다 훨씬 크다. 따라서 단순함과 더불어 유용한 지식도 더 얻을 수 있게 된 것이다. 또한, 모든 개별 지식 항목들은 최소 정보 원칙을 효과적으로 준수했다. 좀 더 상황을 단순하게 하고 싶다면 Germany-Italy-Benelux 집합을 분할하거나 연상법을 사용하여 마지막 7개의 열거 항목(위의 마지막 질문)을 외움으로써 좀 더 쉽게 기억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지금 제시된 방식으로도 현재 제시된 집합을 기억하는데 문제가 없다면 이러한 단계를 추가적으로 밟을 필요는 없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