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7 음소 /h/와 유기음 소개


 다른 음성학 책들과 달리, 별로 중요해 보이지 않는 /h/를 먼저 다루는 첫 번째 이유는 이 소리가 유기음을 만드는 만드는 소리이기 때문이다.


 

 우리는 보통 호흡을 내쉬면서 말한다. 그래서 성대는 말소리를 결정하는 첫 번째 위치가 된다. 성대에서 한 번 만들어진 소리를 혀와 입, 코 등을 이용하여 다양하게 가공한 것이 우리의 실제 말소리다. 따라서 성대에서 1차적으로 가공된 말소리가 모든 말소리의 기초를 이룬다고 할 수 있다.


 성대에서 만들어진 소리가 모든 말소리의 기본이 되기 때문에, 모든 말소리를 유성음과 무성음으로 나눌 수 있었다. 그런데 성대에는 유성음과 무성음 말고 다른 구별 기준이 있다. 바로 유기음과 무기음이다. 유기음이란 한국어의 음소 /ㅍ/, /ㅌ/, /ㅋ/들을 생각하면 된다. 실제로 발음해보자. 공기가 거세게 빠져나가는 것을 느낄 수 있다. 유기음이란 말은 공기의 기류 소리, 거센 바람 소리 같은 소리가 있다고 하여 붙인 이름이다.


 유기음을 느껴보고 싶으면 손바닥을 입술 바로 앞에 두고 발음해보자. /ㅂ/, /ㅍ/를 연달아 발음해 본다. /ㅂ/, /ㅍ/가 손바닥에 부딪치는 숨이 더 많은 것을 느껴볼 수 있다. /ㄷ/, /ㅌ/ 또는 /ㄱ/, /ㅋ/를 발음할 때도 마찬가지다. 또 다른 방법은 입술 앞에 작은 종이 조각을 대고 발음해보는 것이다. 무기음을 발음할 때는 살짝 떨리기만 하던 종이 조각이 유기음을 발음할 때 뒤로 튕기는 것을 볼 수 있다.


 /ㅍ/, /ㅌ/, /ㅋ/를 국제음성기호로 표시하면 /pʰ/, /tʰ/, /kʰ/가 된다. 여기에 위첨자로 붙은 h는 바로 앞에서 살펴본 음소 /h/를 의미한다. 즉, /p/를 발음하면서 /h/를 추가한 말소리가 바로 /pʰ/다. 국제 음성기호로 나타낸 모든 유기음들은 모두 h가 위첨자로 붙어서 나타난다. 결국, 유기음은 /h/가 첨가된 말소리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유기음을 발음하다보면 이런 의문이 생길 수 있다. /h/는 성대에서 조음된다고 했는데 왜 성대에서 별다르게 조음되는 느낌이 없을까? 하는 의문이다. /h/는 엄밀하게는 성대에서 음이 만들어진다기 보다는 성대에서부터 날숨이 배출되는 통로를 좁혀 숨이 일반적인 날숨보다 빠르게 나가게 한다는 의미에 가깝다. 그래서 다른 음과 섞여서 발음할 때에는 실제 조음되는 위치가 성대가 아니라고 느낄 수 있다. 

(한국어에서 /ㅍ/, /ㅌ/, /ㅋ/는 음소이므로 국제음성기호로 /pʰ/, /tʰ/, /kʰ/로 표시했다.)


다음은 한국어 음소 /ㅍ/, /ㅌ/, /ㅋ/와 영어 음소 /p/, /t/, /k/가 어떻게 다른지 서로 비교한 그림이다.

 

 

 


 앞에서 005 음소 이음 음성체계 포스팅에서 제시했던 그림을 조금 확장하여 유기음의 개념을 첨가했다. 한국어는 /ㄱ//ㅋ/, /ㄷ//ㅌ/, /ㅂ//ㅍ/무기음과 유기음으로 구분되어 서로 별개의 음소가 된다. 반면, 영어는 [p][]는 음소 /p/의 이음으로 같은 음소다. 마찬가지로 [t][tʰ]/t/의 이음으로 같은 음소이고, [k][kʰ]/k/의 이음으로 같은 음소다. (영어에서 , tʰ, kʰ는 이음들이므로 [], [tʰ], [kʰ]로 표시했다.)

 

 눈치 챈 사람들도 있겠지만 한국어는 유기음인지 무기음인지에 따라서 음소들을 구분하고 있다. 반면, 유성음인지 무성음인지는 신경쓰지 않는다. 반면, 영어는 유성음인지 무성음인지에 따라서 음소를 구분하고 있지만 유기음인지 무기음인지는 신경쓰지 않는다. 이 부분이 한국어와 영어의 음성체계에서 극명하게 대립하고 있는 부분이다. 이로 인하여 한국어 원어민과 영어 원어민은 서로의 말소리를 들으면 일대 혼란에 빠지게 된다.

 

 영어 원어민은 한국어 원어민이 자신들 입장에서는 완전히 다른 유성음과 무성음을 섞어서 쓰기 때문에 혼란스러워 한다. 이들은 본능적으로 성대의 진동 여부에 따라서 서로 다른 음소로 인식하기 때문에, 유성 여부는 무시하고 유기여부에 따라서 음소를 구분하는 한국어의 음성체계가 혼란스러울 수밖에 없다. 그리고 이 점은 한국어 원어민 입장에서 영어도 마찬가지다. 그런 상이한 음성체계 때문에  '박'씨를 'Park'으로 쓰는 이유를 알 수 없었다. 어쩌면 한국어 원어민이 더 혼란스러울지도 모르겠다. 영어는 유기음을 다른 용도로 상당히 중요하게 사용하기 때문이다.

 

  영어에서 유기음인지 무기음인지로 음소를 구분하진 않지만 그렇다고 유기음과 무기음을 구별하지 않는 것도 아니다. 실은 매우 중요하게 사용된다. 영어는 한국어보다 훨씬 연속적인 언어다. 긴 문장을 거의 쉼없이 연속해서 말한다. 이 때, 단어와 단어 사이의 구별이나 강세 여부를 자연스럽게 나타내기 위하여 중간중간 유기음을 사용한다. 유기음이 들려오면 영어 원어민은 자연스럽게 강세이거나 새로운 단어의 시작이라고 이해한다. 이는 한국어 원어민에게는 없는 감각이고 앞으로 익혀야 할 감각이다.

 

 이번엔 유기음이라는 개념을 소개했다. 이 유기음이 한국어와 영어에서 완전히 다르게 사용되고 있어 본능적이고 자연스러운 언어 감각을 얻는 데 장애로 작용하고 있다. 따라서 앞으로 한국어와 영어 자음들을 학습할 때, 이들을 비교하면서 명확하게 사용할 줄 알아야 하기 때문에 우선 간략하게나마 개념을 미리 소개했다. 추후, 개별 음소들을 실제로 살펴보면서 하나하나 귀와 입으로 익혀보도록 하자.

 


Ankilog 학습파일


학습용 Anki 파일은 아래와 같습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Ankilog 파일:  영어음성학__007 _h_와 유기음.apkg


수정 : 2020-02-02 오전 12:02 Ankilog 파일 내의 문구를 다듬고 설명을 보충함


 

 

006 음소 /h/와 성대


 이제 실제 음소들을 다뤄보자.

   

 첫 번째로 다룰 음소는 /h/다. /h/는 한국어의 음소 /ㅎ/과 동일하므로 한국어 원어민이라면 이 음소를 말하고 듣는 데 어려움이 없다. 그도 그럴 것이 음소 /h/는 그저 목구멍으로 숨을 조금 내쉬면 나는 간단한 소리이기 때문이다. 한국어 원어민은 /h/ 소리를 쉽고 간단하게 낼 수 있으므로 스스로 소리를 내면서 소리가 나는 원리를 체감하고 이를 음성학에서 어떻게 설명하는지 확인해 볼 좋은 기회를 가질 수 있다. 또, 앞으로 계속 부딪히게 될 성대라는 조음기관과 친해질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1. /h/ 소리내기

음소 /h/ 다음과 같이 나는 소리다.

 


 많이 들어본 소리다. 한 겨울 창문에 김을 서리게 하려고 숨을 내 뿜었을 때 나던 소리다. 아니, 그냥 숨소리다.

 한국어 원어민은 /ㅎ/을 발음할 수 있으므로 동일한 /h/ 소리도 아무런 문제없이 자연스럽게 낼 수 있다. 그렇다면 자신이 실제로 내는 소리와 음성학에서 말하는 /h/ 말소리를 내는 방법을 비교해보자.

    

음소 /h/ 소리를 내는 방법

 

  목의 성대를 진동시키지 않고 성문을 살짝 연 상태에서 공기를 밖으로 적당하게 밀어내면 공기가 성문과 마찰하면서 /h/ 소리가 난다.

 

 음소 /h/를 소리 내면서 느낌을 관찰해보자. 숨을 조금 강하게 내뿜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목이 긴장되고 목구멍 깊은 곳에서 소리가 올라오는 느낌을 받는다. 이는 성대의 좁은 틈인 성문으로 소리를 내는 것이다.

 자연스럽게 나오는 소리를 구차하게 말로 설명하고 있으니 괜히 머리만 아프고 쓸데없어 보인다. 하지만 우리는 외국어의 음소들을 발음하기 위해서 조음기관을 써서 의식적으로 소리를 내는 법을 익히는 과정에 있다. 즉, 자연스럽게 내던 소리를 의식적으로 익히는 과정을 시작한 것이다.

 음소 /h/는 좋은 시작점이다. 정말 간단한 말소리이고 우리가 쉽게 낼 수 있으며 한국어와 영어 음성체계의 가장 근본적인 차이점인 성대를 이해하기 좋은 소리이기 때문이다.

 

2. 성대와 성문

 

 폐에서 출발한 공기의 흐름을 처음 조절하는 곳이 바로 이  성대다. 성대는 목의 후두에 있다

성대에는 두 개의 얇은 판막이 아래와 같이 열렸다 닫혔다를 반복하는데 그 사이의 좁은 틈을 성문이라고 한다.

 


 그림 실력이 너무 나빠서 성대를 단순하게 그릴 수밖에 없었다. 양해를 부탁드린다. 그래서 부족한 내용은 말로 보충하겠다. 성대는 그 조음기관 전체를 부르는 명칭이면서도 동시에 판막을 움직이는 인대의 명칭이기도 하다. 그리고 성대는 위의 그림처럼 열리고 닫히는 운동을 하지만 소리를 낼 때 성대가 끊임없이 개폐운동을 하는 것은 아니다. 우리의 입술을 생각하면 된다. 입술처럼 공기를 막다가 토해내고, 공기가 나가는 통로를 넓게 하거나 좁게 한다. 또, 작은 틈으로 공기를 내보내 입술을 부르르 떨기도 한다. 

 성대도 목에 있는 입술처럼 움직인다. 특정 소리를 내기 위해서 폐에서 나가는 공기의 통로를 좁히거나 넓히고 공기를 막다가 토해낸다. 또 성대를 살짝 닫고 그 사이로 공기를 밀어내어 성대를 부르르 떨게 한다.


 

 3. 유성음과 무성음


 음성학에서는 성대로 내는 목소리를 보통 2가지로 분류한다. 유성음(voiced sound)무성음(voiceless sound)이다.

 유성음(voiced sound)이란 성대가 떨리는 음성을 말한다. /아, 이, 우, 에, 오/ 같은 모음들이 대표적인 유성음이다. 성대의 위치에 손을 대고 모음을 말해보면 떨림을 느낄 수 있다. 진동이 잘 안느껴지면 고음으로 소리를 내본다. 음이 높을 수록 떨림이 커진다.

 유성음을 낼 때에는 성대를 살짝 닫고 좁은 틈으로 공기를 밀어내어 성대가 공기의 마찰로 진동하게 한다. 이 진동이 바로 유성음의 진동이다. 

 성대가 떨리는 것을 체감해보고 싶으면 입술을 이용하면 된다. 입술을 위아래로 살짝 닫고 공기를 내보내면 입술이 부르르하고 떨린다. 유성음에서는 이와 비슷한 일이 성대에서 벌어진다. 

 무성음(voiceless)은 성대의 떨림이 없는 음성으로 유성음이 아닌 음성이다.

 모든 말소리는 유성음 아니면 무성음이다. 그리고 이번에 익히고 있는 음소 /h/도 성대의 진동이 없는 무성음이다.

 

4. 조음 방법

 음성학은 말소리를 내는 방법에 따라서 말소리를 분류한다. 이를 조음방법에 따라 분류한다고 하는데 보통 폐쇄음, 마찰음, 파찰음, 비음으로 분류한다. 

 마찰음은 조음기관을 이용하여 공기가 이동하는 통로를 좁혀서 공기가 주변 통로랑 마찰을 일으키게 하는 소리다. /h/는 기본적으로 성문의 좁은 틈으로 공기가 마찰된다.

 

5. /h/ 음소의 음성학적 명명

 음소 /h/를 부르는 음성학적 명칭무성성문마찰음이다. 

 음성학에서는 말소리가 나는 조음 원리에 따라서 이름을 붙인다. 조음 원리는 유성음인지 무성음인지, 조음이 이루어지는 위치가 어디인지, 조음 방법이 무엇인지를 말한다.

 /h/무성음이고, 성대의 성문에서 조음되며, 성문의 좁은 틈으로 공기를 마찰시켜 말소리를 만드므로 무성성문마찰음이다.

Ankilog 학습파일


학습용 Anki 파일은 아래와 같습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공지: 앞으로 Anki 파일은 내용과 음성을 분리해서 올릴 계획입니다. 소리를 들으면서 학습할 때에는 이어폰을 연결하거나 소리를 들을 준비를 해야하기 때문입니다. 


Ankilog 파일: 006 음소 _h_와 성대.apkg


수정 : 2019-12-15 오후 09:40  Anki 파일 내의 문구를 다듬음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