千字文 018 化被草木 賴及萬方


주의 : 아래에 포스팅된 천자문은 한학 초보가 공부하기 위하여 여러 책들을 보고 자의적으로 정리한 내용에 불과하므로 오류가 있을 수 있습니다.


천자문 전체 자료실 페이지 바로가기



1) 개별 한자

化 - 될 화(임금의 덕으로 인한 변화(덕화)라는 의미로 쓰임)

被 - 이불 피(이불, 입다, 미치다)

草 - 풀 초

木 - 나무 목

賴 - 힘입을 뢰(의뢰, 의지, 신뢰)

及 - 미칠 급(미치다, 이르다)

萬 - 일만 만(모든)

方 - 모 방(장소, 방위)


2) 한자어

化被 - 임금의 덕(덕화)이 미치다.

草木 - 풀과 나무

賴及 - 신뢰가 미치다.

萬方 - 만방(모든 장소, 모든 방향)


3) 4자 풀이

化被草木 - 임금의 덕(덕화)이 풀과 나무에 미치다.

賴及萬方 - 신뢰가 만방에 미치다.


4) 8자 풀이

化被草木 賴及萬方

임금의 덕(덕화)이 풀과 나무에까지 미치니, 신뢰가 만방에 미치게 된다.


5) 이전 구문

鳴鳳在樹 白駒食場

化被草木 賴及萬方



Ankilog 학습파일


千字文 학습용 Anki 파일은 아래와 같습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Ankilog 파일: 千字文 018.apkg

수정: 2019-03-01 오후 4:58 중복으로 올라간 컨텐츠 삭제 및 오타 수정

수정: 2019-04-23 오전 3:28 Anki카드 노트 유형 변경 및 카드 수 줄임(26개), 상단에 주의문 첨가



천자문 전체 자료실 페이지 바로가기



<부수한자 네글자 018: 毋(말 무), 文(글월 문), 方(모 방), 攴(칠 복)>



부수한자 214개 전체 자료실 페이지 가기



 (말 무)


女(여자 녀)의 중간에 선을 그어 여자가 부정이나 잘못을 하지 못하게 한다는 의미로 부호화


부수로써 의미 : 금지하다


부수로써의 활용 : 의미보다는 주로 글자를 분류하는 기준으로 활용


  (글월 문)


가슴에 새겨진 무늬를 형상화하여 ‘문양’이나 ‘무늬’라는 의미로 사용되다가 '글자'나 '문장'이란 의미까지 확대됨


부수로써 의미 : 문양, 글자, 문장


 (모 방)


농사를 짓는 수단인 쟁기의 날을 형상화하거나 깃발을 형상화한 것으로 보아 '방법'과 '방향', '깃발' 등으로 활용


부수로써 의미 : 방법, 방향, 깃발


부수로써 활용 : 의미보다는 주로 발음부호로 활용


 攴(攵) (칠 복)


손에 나뭇가지 등을 잡고 치거나 때리는 형상


부수로써 의미 : 때리다, 억지로 하다


攴(칠 복)이 한자의 오른쪽(방)에 쓰일 때는 攵(칠 복)의 형태로 변형되어 사용됨


攵(칠 복)은 文(글월 문)과 비슷한 형태인 관계로 '等글월 문' 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Anki 학습파일


Anki 학습파일은 아래와 같이 한자와 독음만 간단하게 암기할 수 있는 한자연습글자의 생성원리나 부수의 의미 기타 사항 등을 공부하는 심화학습의 2종류로 나누어 첨부했습니다. 


부수한자연습_018.apkg


부수한자심화학습_018.apkg



부수한자 214개 전체 자료실 페이지 가기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