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 발음을 어떻게 익혀야 할까? 라고 인터넷에 질문하면 IPA가 나타난다. IPA는 국제음성기호(International Phonetic Alphabet)인데 소리를 표시하기 위한 알파벳이라고 할 수 있다. 영어 단어를 사전에서 찾으면 붙어있는 발음기호 같은 것이다. 그런데 이 IPA가 처음 생긴 이유가 재미있다. 영어를 글로 옮겼을 때의 알파벳과 발음이 크게 달라서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음성 기호를 만든 것이 시작이다.


 영어의 역사에서 이 문제는 매번 지적된다. 영어 사용자가 여러 지역에서 급격하게 늘어나면서 언어가 변형되기 시작했다. 방언이 발달했고, 외래어들이 그대로 영어 단어로 유입되어 변천되면서 철자는 그대로 남고 발음이 변형되거나 발음은 남고 철자가 변형된다. 단어의 철자와 발음을 통합하고 정리하려는 노력이 중간 중간 있었지만 대세에는 거의 영향을 미치지 못했고 오히려 또 다른 변형된 철자와 발음을 만들어내 사람들을 혼란스럽게 했다. 그래서 일부 언어학자들은 영어가 표의문자화 되었다고 생각한다. 알파벳을 말소리 그대로 읽을 수 없기 때문이다.


 이런 상황이기 때문에 영어권 사람들이 영어권 사람들을 위하여 출판한 문법책들을 보면 철자(spell)를 쓰는 것에 대한 이야기가 반드시 나온다. 하물며 오랫동안 출판 교정을 담당하는 사람들의 수기를 읽어봐도 철자를 제대로 쓰지 못하고 틀린 이야기들이 심심찮게 나온다. 그래서 영어 사용자들도 자신들의 언어가 너무 복잡하고 이상하다고 말한다. 


 중고등학교 때가 생각난다. 영어 단어는 철자(spell)만 보고 발음할 수 없어서 발음 기호를 따로 봐야 했다. 쓰는 법과 읽는 법이 달랐다. 어쩌면 그냥 외우면 될 일이지만 당시의 나는 이 불일치가 너무 불편하고 짜증났다. 이건 나만 그런 것은 아닌 것 같다. 친구들 중에는 영어 읽는 법을 자기 식으로 바꿔서 읽는 친구도 있었다. 어차피 시험에는 목소리가 나오지 않았기 때문에 그 친구는 좋은 성적으로 승승장구하다가 영어 듣기 시험이 중요하게 대두되면서 영어 공부를 손 놓게 되었다.


 그런데 이런 발음과 알파벳의 불일치 때문에 영어권 사람들은 글을 쓸 일이 없다면 입말 위주로 편한 단어를 써서 의사소통을 한다. 철자는 따로 공부해야 하니까, 역시 쓰기 편한 단어들 위주로 쓴다. 이들이 철자를 공부할 필요를 느끼는 경우는 그야말로 제대로 글을 쓰거나 연설을 하려고 할 때이다. 이런 상황이기 때문에 영어권의 문맹률도 상당히 높게 나온다. 그런데 우리는 정반대다. 영어 발음은 입으로 한두 번 굴려보지만 그것보다는 철자가 더 중요하다. 그래서 조금 영어공부 했다고 하는 이들은 철자를 틀리는 경우는 거의 없다. 영어권 사람들은 입말을 위주로 익히고 한국인들은 글 위주로 익히는 것이다. 간혹 유튜브를 볼 때, 영어권 사람들이 한국 수능 문제를 풀면서 어려워하는 경우가 발생하는 이유도 자신들이 쓰는 영어에서 잘 안 쓰는 단어들 위주로 나오기 때문이다. 그들 입장에서는 난이도를 높이기 위하여 난해한 글 위주로 익히는 한국의 교육 문화가 이상할 것이다. 언어 그 자체가 아니라 시험 성적을 위한 언어 공부라는 변종이기 때문이다.


 영어의 발음과 철자의 불일치는 나 같이 이런 사소한 불일치를 거슬려 하는 사람에겐 큰 장애였다. 분명히, 표음문자라고 들었는데 왜 소리와 철자가 일관되지 않을까? 한글처럼 비슷해야 하지 않은가? 등으로 생각하면서 궁금해 했다. 그리고 매번 영어공부를 할 때마다 발음과 철자 사이에 내재된 원리를 찾기에 바빠 정작 영어 공부는 등한시했다. 이해할 수 없고 해결할 수 없는 수수께끼 때문에 영어를 아무리 공부해도 근본적으로 이것은 이해할 수 없는 대상이었기 때문이다. 단지, 시험을 위해서 숙련시켰을 뿐이었다. 그런데 그렇게 공부하고 20년 가까이 지나서 그 때의 의문을 풀게 되었다. 원어민들도 영어를 쓰면서 이런 불편함을 겪고 있고 철자를 발음하는 무슨 규칙이 있지 않고 그저, 복잡하게 섞여버린 잡탕이라는 점을 깨달아서 불편함이 사라진 것이다. 


 IPA와 관련된 영어 역사를 살펴보면서 영어 훈련의 방향 하나를 깨닫게 되었다. 그건 우선 이해하기 어려운 철자(spell)를 제거하고 모든 단어를 음성기호로 바꿔서 훈련하면 철저히 입으로 하는 영어를 구축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아이디어였다. 생각해보면 매번 글로 쓰여진 영어 위주로 학습을 하기 때문에 발음을 제쳐두고 눈으로 알파벳 영단어를 보게 된다. 발음이 같아도 글자가 다르니 그냥 별 생각 없이 단어를 구별한다. 리듬과 액센트도 고려할 필요가 없다. 의미단위로 분절되어 있는 단어를 하나하나 분석하면 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실제 말소리는 이어져 있고 변형된다. 이를 전부 음성기호로 표시하면 의미단위가 아니라 소리단위로 영어를 볼 수 있을 것이고 이에 익숙해질 수 있다. 게다가 이럴 경우 원어민들조차 질색하는 철자에서 오는 혼란을 겪을 이유가 없게 되기 때문에 학습 효율도 높아지게 된다. 


 일단, 괜찮은 생각으로 보였다. 어떤 언어든지 입말이 언어의 주를 이루고 글은 입말을 다듬고 형식화하는 것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이치상 입말 위주로 공부하는 방식이 옳고 제대로 가는 길이라고 생각했다. 게다가 이미 문법과 철자에 능숙한 사람이라면 입말만 트여도 기존의 수험식 영어 공부를 통해 머리로만 알던 지식들도 입으로 능숙하게 옮길 수 있게 될 것으로 기대되었다. 이 아이디어는 나를 고무시켰다. 어쩌면 무척 재미있는 결과를 이끌 수 있지 않을까 하는 기대감이 몸을 달아오르게 했다. 


 아이디어에 고양되어 IPA의 도표를 들여다보았다. 하지만 나를 기다리고 있었던 것은 기괴한 전문용어의 향연과 이해할 수 없는 도표 그리고 이상한 기호들이었다. 이해해보려고 끙끙대면서 읽어보지만 이해할 수 없다는 점만 확신하게 만들어주는 도표였다. 막다른 골목이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