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10 영어 원어민의 자음 발음이 자음과 모음으로 들리는 이유

 


 무성 모음의 발견은 그 동안 아무도 해결해주지 않았던 궁금증을 스스로 풀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그 궁금증이란 영어 원어민이 자음만 발음한다고 말하지만 아무리 들어도 모음 없이 발음하는 것 같지 않다는 것이었다.


 우리는 앞에서 004 분절음과 자음만 발음하기 편에서 한국어 원어민들이 습관적으로 모음 /으/를 붙여 발음하기 때문에 이런 습관을 교정해야 한다는 사실에 대해서 이야기했다. 


 이론은 충분히 이해했다. 그런데, 내 자신이 한국어 원어민으로서 자음만 발음한다는 영어 원어민의 발음을 듣어 보면 문제가 생긴다. 아무리 들어도 자음과 모음을 붙여서 발음하는 것으로 들렸기 때문이다. 즉, 영어 원어민이 ‘strong’을 발음하면 내 귀에는 혀를 굴려가면서 /스뜨롱/이라고 말하는 것으로 들리지 /ㅅㄸ롱/으로 들리지 않는다. 


 이런 현상에 대한 이유를 고민해보았다. 처음엔 한국어가 음절마다 ‘초성+중성+종성’을 한 단위로 여기는 언어이기 때문이 아닐까 생각했다. 즉, 한글에서는 모든 소리가 중성에 모음을 집어넣은 소리이기 때문에 이런 구조에 맞추기 위하여 모음이 없는데도 비슷한 모음을 들은 것처럼 착각하는게 아닐까 생각했다. 또는 어렸을 때 /ㄱ/의 소리를 ‘그’라고 읽는 식으로 항상 모음 /으/를 붙여서 자음을 읽도록 배웠기 때문일지도 모른다고 생각했다.


 그렇지만 실제론 없는 모음을 어떤 환상 때문에 들은 것이라면 벌써 1년 이상 자음과 모음을 분리해서 들어보려고 노력한 지금에는 어느 정도 들을 수 있어야 했다. 하지만 여전히 내 귀에는 영어 원어민이 모음과 자음을 붙여서 말하고 있는 것으로 들린다. 결국, 자음만 발음한다는 것에 납득하지 못했음에도 이론상 타당하니 방법이 없었다. 원어민이 자음만 발음한다고 스스로를 세뇌해야만 했다. 아무리 세뇌해도 한 줄기 솟아나는 의심이 있지만 내 귀가 막귀라서 소리를 잘 분간하지 못한 것이라고 믿어야만 했다.


 그러다가 어느 날 무성 모음이라는 개념을 발견하면서 오래된 궁금증이 해결되었다. 그리고 내 머릿속에서 어떤 일이 벌어진건지 깨닫게 되었다. 


 다음은 음소 /h/만 소리내고 있는 영어 원어민의 음성이다.

 

 

 

 내 경우에는 위의 소리가 /하/로 들린다. 물론, 일상생활에서 일반적으로 내는 /하/와 소리와 분명히 다르다. 그래도 머릿속에서는 /하/라고 들린다. 이 부분에서 한국어 원어민이 모든 자음에 모음 /으/를 붙여 발음하도록 배웠기 때문이라는 추측은 깨진다. /h/의 소리는 /으/가 아니라 /아/를 덧붙여 말하고 있는 것처럼 들리기 때문이다.


 바로 앞 포스팅에서 무성 모음을 들어본 사람이라면 /h/와 무성 모음  의 소리가 같다는 사실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왜 같은 말소리를  음소 /h/와 무성 모음 라고 서로 다르게 부르는 것일까? 이는 하나의 말소리를 서로 다른 관점에서 들여다보고 있기 때문이다.


 음소 /h/는 성대를 떨지 말고 살짝 긴장시키면서 숨을 내뿜으면서 나는 소리다. 밖으로 밀려난 숨이 주변의 음성기관과 마찰하면서 /h/ 소리가 난다. 이 때, 핵심은 기류의 마찰이 일어난다는 점이다. 성대에서 밀려난 기류가 목구멍이나 입과 마찰하면서 나는 음을 /h/라고 하는 것이다.


 반면, 무성 모음 는 구강의 모양과 혀의 위치가 중요하다. 무성 모음 가 음소 /h/와 같은 소리가 나는 이유는 직접 소리를 내보면 바로 이해할 수 있다. 목구멍을 연 상태에서 성대가 떨리지 않는 무성음으로 또 공기를 강하게 내뱉지 않는 무기음으로 소리를 내려고 하면 아무런 소리가 나지 않는다. 어떻게 든 소리를 내려면 숨을 강하게 내뱉어 기류를 마찰시키는 것 말고는 소리를 낼 방법이 없다. 무성음이고 동시에 숨을 강하게 내뱉지 않는 무기음으로 소리를 내려고 하면 아무런 소리가 나지 않는 것이다. 그래서 무성 모음은 필연적으로 유기음이 된다. 하지만 무성 모음에서 초점을 맞추고 있는 부분은 혀의 위치와 입술 모양 등이지 기류가 마찰하면서 나는 소리가 아니다.


 영어 원어민이 발음한 음소 /h/의 소리가 무성 모음 와 같은 이유는 음소 /h/의 소리를 낼 때, 혀를 쓸 일이 없어서 혀가 자연스럽게 늘어지고 목구멍을 크게 열기 위해 입을 크게 벌리는 것이 편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런 혀의 위치와 입의 모양은 유성이든 무성이든 모음 /아/의 혀 위치와 입모양과 동일하다.  즉, 음소 /h/ 소리를 낼 때 모음 /아/의 혀 위치와 입술 모양이 가장 자연스럽고 편하기 때문에 영어 원어민은 그렇게 발음하는 것이고 그 소리가 무성 모음 처럼 들리는 것이다. 그리고 한국어 원어민은 무성 모음 에서 들려오는 모음 적인 부분이든 유성 모음 [아]이든 모두 동일한 음소 /아/로 인식하고 있기 때문에 이 소리가 머릿속에서는 /하/로 번역된다.


 중요한건 이 순간 음소 /h/와 무성 모음 는 자음인 동시에 모음이라는 점이다. 그저 보는 관점이 달라지면 자음이던 것이 모음으로 변하고 모음이던 것이 자음으로 변한다. 동일한 소리를 보는 관점이 두 가지로 갈라진 셈이다. 구강이나 혀의 위치 입술의 모양 등으로 인하여 방출되는 공기의 양상은 모음적인 요소를 드러내고, 어떤 조음 위치에서 기류가 폐쇄되거나 마찰되었는가를 통하여 자음적인 요소가 드러난다. 그렇다면 이는 음소 /h/만 그런 것일까?


 하나의 말소리가 자음적인 면과 모음적인 면을 동시에 가질 수 있다고 생각하면서 영어 원어민의 자음 발음을 들어 보니 안 보이던 것들이 보인다. 가령, 영어의 자음 발음에서 /s, z,  t, d, n, l/는 어째서인지 /스, 즈, 트, 드, 느, 르/로 들린다. 자연스럽게 모음 /으/가 첨가된 것 처럼 들린다. 영어 음소/s, z,  t, d, n, l/는 모두 혀끝을 윗잇몸(치경)에 접근시키거나 붙이는 방식으로 소리가 난다. 이 때, 혀의 위치와 입술 모양 모음 /으/를 낼 때의 모양과 유사하기 때문에 한국어 원어민은 자동반사적으로 /으/를 덧붙여 듣는 것이다. 그리고 유성 모음과 무성 모음을 구별하지 않으니  발음할 때는 태연히 유성 모음 /으/를 붙여서 발음한다. 하지만 영어 원어민 입장에서는 유성 모음 /으/는 별개의 음이니 한국어 원어민의 발음은 없는 음을 덧붙인 것철럼 이상하게 여겨질 수밖에 없게 되는 것이다.


 당연한 이야기지만 /s, z,  t, d, n, l/의 발음에서 추가된 모음 /으/는 실제 모음 /으/를 조음할 때의 혀의 위치와 입술 모양과 완전히 일치하지는 않는다. 하지만 모음은 자음에 비해서 그 소리가 분명하게 구별되지 않는다. 혀의 움직임이나 입술의 모양의 차이라는 것이 미묘하기 때문이다. 그러다 보니 모음은 조금 차이가 나더라도 미묘한 차이점을 무시하고 유사한 모음으로 번역해서 듣게 된다. 따라서 한국어 입장에서는 가장 유사한 모음인 /으/를 덧붙여 듣게 된다.


 결국, 영어 원어민이 자음만 발음할 때, 자음과 모음을 붙여서 들었던 내 귀는 크게 잘못되지 않았다. 단지, 영어 원어민이 모음으로 듣지 않는 것을 모음으로 들었을 뿐이기 때문이다. 서로 음성체계가 다르기 때문에 이런 문제가 발생한 것이다. 추측하면, 유성음과 무성음을 강하게 구분하는 영어와 그렇지 않은 한국어, 유기음과 무기음을 강하게 구분하는 한국어와 그렇지 않은 영어로 음성체계가 다르고, 한글의 구조상 무조건 모음이 말소리에 있어야 한다는 한국어 소리에 대한 모델이 이런 차이를  강화한 것으로 보인다. 이런 음성체계의 차이를 발견하고 나니 그 동안 헷갈렸던 것들이 상당 부분 해소된다. 가령, 어떻게 자음만 발음하는지 명료하게 이해했고, 영어의 비슷한 음들 /s, ʃ/, /z, ʤ/  등 소리는 비슷하지만 조음 위치가 다른 음들을 어떻게 구별해야 하는지 비로소 알 수 있게 되었다.

 


Ankilog 학습파일


학습용 Anki 파일은 아래와 같습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Ankilog 파일:  010 영어 자음 발음에서 모음이 들리는 이유.apkg


수정 : 2020-04-04 오전 12:11 Ankilog 문구 다듬기



 

007 음소 /h/와 유기음 소개


 다른 음성학 책들과 달리, 별로 중요해 보이지 않는 /h/를 먼저 다루는 첫 번째 이유는 이 소리가 유기음을 만드는 만드는 소리이기 때문이다.


 

 우리는 보통 호흡을 내쉬면서 말한다. 그래서 성대는 말소리를 결정하는 첫 번째 위치가 된다. 성대에서 한 번 만들어진 소리를 혀와 입, 코 등을 이용하여 다양하게 가공한 것이 우리의 실제 말소리다. 따라서 성대에서 1차적으로 가공된 말소리가 모든 말소리의 기초를 이룬다고 할 수 있다.


 성대에서 만들어진 소리가 모든 말소리의 기본이 되기 때문에, 모든 말소리를 유성음과 무성음으로 나눌 수 있었다. 그런데 성대에는 유성음과 무성음 말고 다른 구별 기준이 있다. 바로 유기음과 무기음이다. 유기음이란 한국어의 음소 /ㅍ/, /ㅌ/, /ㅋ/들을 생각하면 된다. 실제로 발음해보자. 공기가 거세게 빠져나가는 것을 느낄 수 있다. 유기음이란 말은 공기의 기류 소리, 거센 바람 소리 같은 소리가 있다고 하여 붙인 이름이다.


 유기음을 느껴보고 싶으면 손바닥을 입술 바로 앞에 두고 발음해보자. /ㅂ/, /ㅍ/를 연달아 발음해 본다. /ㅂ/, /ㅍ/가 손바닥에 부딪치는 숨이 더 많은 것을 느껴볼 수 있다. /ㄷ/, /ㅌ/ 또는 /ㄱ/, /ㅋ/를 발음할 때도 마찬가지다. 또 다른 방법은 입술 앞에 작은 종이 조각을 대고 발음해보는 것이다. 무기음을 발음할 때는 살짝 떨리기만 하던 종이 조각이 유기음을 발음할 때 뒤로 튕기는 것을 볼 수 있다.


 /ㅍ/, /ㅌ/, /ㅋ/를 국제음성기호로 표시하면 /pʰ/, /tʰ/, /kʰ/가 된다. 여기에 위첨자로 붙은 h는 바로 앞에서 살펴본 음소 /h/를 의미한다. 즉, /p/를 발음하면서 /h/를 추가한 말소리가 바로 /pʰ/다. 국제 음성기호로 나타낸 모든 유기음들은 모두 h가 위첨자로 붙어서 나타난다. 결국, 유기음은 /h/가 첨가된 말소리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유기음을 발음하다보면 이런 의문이 생길 수 있다. /h/는 성대에서 조음된다고 했는데 왜 성대에서 별다르게 조음되는 느낌이 없을까? 하는 의문이다. /h/는 엄밀하게는 성대에서 음이 만들어진다기 보다는 성대에서부터 날숨이 배출되는 통로를 좁혀 숨이 일반적인 날숨보다 빠르게 나가게 한다는 의미에 가깝다. 그래서 다른 음과 섞여서 발음할 때에는 실제 조음되는 위치가 성대가 아니라고 느낄 수 있다. 

(한국어에서 /ㅍ/, /ㅌ/, /ㅋ/는 음소이므로 국제음성기호로 /pʰ/, /tʰ/, /kʰ/로 표시했다.)


다음은 한국어 음소 /ㅍ/, /ㅌ/, /ㅋ/와 영어 음소 /p/, /t/, /k/가 어떻게 다른지 서로 비교한 그림이다.

 

 

 


 앞에서 005 음소 이음 음성체계 포스팅에서 제시했던 그림을 조금 확장하여 유기음의 개념을 첨가했다. 한국어는 /ㄱ//ㅋ/, /ㄷ//ㅌ/, /ㅂ//ㅍ/무기음과 유기음으로 구분되어 서로 별개의 음소가 된다. 반면, 영어는 [p][]는 음소 /p/의 이음으로 같은 음소다. 마찬가지로 [t][tʰ]/t/의 이음으로 같은 음소이고, [k][kʰ]/k/의 이음으로 같은 음소다. (영어에서 , tʰ, kʰ는 이음들이므로 [], [tʰ], [kʰ]로 표시했다.)

 

 눈치 챈 사람들도 있겠지만 한국어는 유기음인지 무기음인지에 따라서 음소들을 구분하고 있다. 반면, 유성음인지 무성음인지는 신경쓰지 않는다. 반면, 영어는 유성음인지 무성음인지에 따라서 음소를 구분하고 있지만 유기음인지 무기음인지는 신경쓰지 않는다. 이 부분이 한국어와 영어의 음성체계에서 극명하게 대립하고 있는 부분이다. 이로 인하여 한국어 원어민과 영어 원어민은 서로의 말소리를 들으면 일대 혼란에 빠지게 된다.

 

 영어 원어민은 한국어 원어민이 자신들 입장에서는 완전히 다른 유성음과 무성음을 섞어서 쓰기 때문에 혼란스러워 한다. 이들은 본능적으로 성대의 진동 여부에 따라서 서로 다른 음소로 인식하기 때문에, 유성 여부는 무시하고 유기여부에 따라서 음소를 구분하는 한국어의 음성체계가 혼란스러울 수밖에 없다. 그리고 이 점은 한국어 원어민 입장에서 영어도 마찬가지다. 그런 상이한 음성체계 때문에  '박'씨를 'Park'으로 쓰는 이유를 알 수 없었다. 어쩌면 한국어 원어민이 더 혼란스러울지도 모르겠다. 영어는 유기음을 다른 용도로 상당히 중요하게 사용하기 때문이다.

 

  영어에서 유기음인지 무기음인지로 음소를 구분하진 않지만 그렇다고 유기음과 무기음을 구별하지 않는 것도 아니다. 실은 매우 중요하게 사용된다. 영어는 한국어보다 훨씬 연속적인 언어다. 긴 문장을 거의 쉼없이 연속해서 말한다. 이 때, 단어와 단어 사이의 구별이나 강세 여부를 자연스럽게 나타내기 위하여 중간중간 유기음을 사용한다. 유기음이 들려오면 영어 원어민은 자연스럽게 강세이거나 새로운 단어의 시작이라고 이해한다. 이는 한국어 원어민에게는 없는 감각이고 앞으로 익혀야 할 감각이다.

 

 이번엔 유기음이라는 개념을 소개했다. 이 유기음이 한국어와 영어에서 완전히 다르게 사용되고 있어 본능적이고 자연스러운 언어 감각을 얻는 데 장애로 작용하고 있다. 따라서 앞으로 한국어와 영어 자음들을 학습할 때, 이들을 비교하면서 명확하게 사용할 줄 알아야 하기 때문에 우선 간략하게나마 개념을 미리 소개했다. 추후, 개별 음소들을 실제로 살펴보면서 하나하나 귀와 입으로 익혀보도록 하자.

 


Ankilog 학습파일


학습용 Anki 파일은 아래와 같습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Ankilog 파일:  영어음성학__007 _h_와 유기음.apkg


수정 : 2020-02-02 오전 12:02 Ankilog 파일 내의 문구를 다듬고 설명을 보충함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