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10 영어 원어민의 자음 발음이 자음과 모음으로 들리는 이유

 


 무성 모음의 발견은 그 동안 아무도 해결해주지 않았던 궁금증을 스스로 풀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그 궁금증이란 영어 원어민이 자음만 발음한다고 말하지만 아무리 들어도 모음 없이 발음하는 것 같지 않다는 것이었다.


 우리는 앞에서 004 분절음과 자음만 발음하기 편에서 한국어 원어민들이 습관적으로 모음 /으/를 붙여 발음하기 때문에 이런 습관을 교정해야 한다는 사실에 대해서 이야기했다. 


 이론은 충분히 이해했다. 그런데, 내 자신이 한국어 원어민으로서 자음만 발음한다는 영어 원어민의 발음을 듣어 보면 문제가 생긴다. 아무리 들어도 자음과 모음을 붙여서 발음하는 것으로 들렸기 때문이다. 즉, 영어 원어민이 ‘strong’을 발음하면 내 귀에는 혀를 굴려가면서 /스뜨롱/이라고 말하는 것으로 들리지 /ㅅㄸ롱/으로 들리지 않는다. 


 이런 현상에 대한 이유를 고민해보았다. 처음엔 한국어가 음절마다 ‘초성+중성+종성’을 한 단위로 여기는 언어이기 때문이 아닐까 생각했다. 즉, 한글에서는 모든 소리가 중성에 모음을 집어넣은 소리이기 때문에 이런 구조에 맞추기 위하여 모음이 없는데도 비슷한 모음을 들은 것처럼 착각하는게 아닐까 생각했다. 또는 어렸을 때 /ㄱ/의 소리를 ‘그’라고 읽는 식으로 항상 모음 /으/를 붙여서 자음을 읽도록 배웠기 때문일지도 모른다고 생각했다.


 그렇지만 실제론 없는 모음을 어떤 환상 때문에 들은 것이라면 벌써 1년 이상 자음과 모음을 분리해서 들어보려고 노력한 지금에는 어느 정도 들을 수 있어야 했다. 하지만 여전히 내 귀에는 영어 원어민이 모음과 자음을 붙여서 말하고 있는 것으로 들린다. 결국, 자음만 발음한다는 것에 납득하지 못했음에도 이론상 타당하니 방법이 없었다. 원어민이 자음만 발음한다고 스스로를 세뇌해야만 했다. 아무리 세뇌해도 한 줄기 솟아나는 의심이 있지만 내 귀가 막귀라서 소리를 잘 분간하지 못한 것이라고 믿어야만 했다.


 그러다가 어느 날 무성 모음이라는 개념을 발견하면서 오래된 궁금증이 해결되었다. 그리고 내 머릿속에서 어떤 일이 벌어진건지 깨닫게 되었다. 


 다음은 음소 /h/만 소리내고 있는 영어 원어민의 음성이다.

 

 

 

 내 경우에는 위의 소리가 /하/로 들린다. 물론, 일상생활에서 일반적으로 내는 /하/와 소리와 분명히 다르다. 그래도 머릿속에서는 /하/라고 들린다. 이 부분에서 한국어 원어민이 모든 자음에 모음 /으/를 붙여 발음하도록 배웠기 때문이라는 추측은 깨진다. /h/의 소리는 /으/가 아니라 /아/를 덧붙여 말하고 있는 것처럼 들리기 때문이다.


 바로 앞 포스팅에서 무성 모음을 들어본 사람이라면 /h/와 무성 모음  의 소리가 같다는 사실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왜 같은 말소리를  음소 /h/와 무성 모음 라고 서로 다르게 부르는 것일까? 이는 하나의 말소리를 서로 다른 관점에서 들여다보고 있기 때문이다.


 음소 /h/는 성대를 떨지 말고 살짝 긴장시키면서 숨을 내뿜으면서 나는 소리다. 밖으로 밀려난 숨이 주변의 음성기관과 마찰하면서 /h/ 소리가 난다. 이 때, 핵심은 기류의 마찰이 일어난다는 점이다. 성대에서 밀려난 기류가 목구멍이나 입과 마찰하면서 나는 음을 /h/라고 하는 것이다.


 반면, 무성 모음 는 구강의 모양과 혀의 위치가 중요하다. 무성 모음 가 음소 /h/와 같은 소리가 나는 이유는 직접 소리를 내보면 바로 이해할 수 있다. 목구멍을 연 상태에서 성대가 떨리지 않는 무성음으로 또 공기를 강하게 내뱉지 않는 무기음으로 소리를 내려고 하면 아무런 소리가 나지 않는다. 어떻게 든 소리를 내려면 숨을 강하게 내뱉어 기류를 마찰시키는 것 말고는 소리를 낼 방법이 없다. 무성음이고 동시에 숨을 강하게 내뱉지 않는 무기음으로 소리를 내려고 하면 아무런 소리가 나지 않는 것이다. 그래서 무성 모음은 필연적으로 유기음이 된다. 하지만 무성 모음에서 초점을 맞추고 있는 부분은 혀의 위치와 입술 모양 등이지 기류가 마찰하면서 나는 소리가 아니다.


 영어 원어민이 발음한 음소 /h/의 소리가 무성 모음 와 같은 이유는 음소 /h/의 소리를 낼 때, 혀를 쓸 일이 없어서 혀가 자연스럽게 늘어지고 목구멍을 크게 열기 위해 입을 크게 벌리는 것이 편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런 혀의 위치와 입의 모양은 유성이든 무성이든 모음 /아/의 혀 위치와 입모양과 동일하다.  즉, 음소 /h/ 소리를 낼 때 모음 /아/의 혀 위치와 입술 모양이 가장 자연스럽고 편하기 때문에 영어 원어민은 그렇게 발음하는 것이고 그 소리가 무성 모음 처럼 들리는 것이다. 그리고 한국어 원어민은 무성 모음 에서 들려오는 모음 적인 부분이든 유성 모음 [아]이든 모두 동일한 음소 /아/로 인식하고 있기 때문에 이 소리가 머릿속에서는 /하/로 번역된다.


 중요한건 이 순간 음소 /h/와 무성 모음 는 자음인 동시에 모음이라는 점이다. 그저 보는 관점이 달라지면 자음이던 것이 모음으로 변하고 모음이던 것이 자음으로 변한다. 동일한 소리를 보는 관점이 두 가지로 갈라진 셈이다. 구강이나 혀의 위치 입술의 모양 등으로 인하여 방출되는 공기의 양상은 모음적인 요소를 드러내고, 어떤 조음 위치에서 기류가 폐쇄되거나 마찰되었는가를 통하여 자음적인 요소가 드러난다. 그렇다면 이는 음소 /h/만 그런 것일까?


 하나의 말소리가 자음적인 면과 모음적인 면을 동시에 가질 수 있다고 생각하면서 영어 원어민의 자음 발음을 들어 보니 안 보이던 것들이 보인다. 가령, 영어의 자음 발음에서 /s, z,  t, d, n, l/는 어째서인지 /스, 즈, 트, 드, 느, 르/로 들린다. 자연스럽게 모음 /으/가 첨가된 것 처럼 들린다. 영어 음소/s, z,  t, d, n, l/는 모두 혀끝을 윗잇몸(치경)에 접근시키거나 붙이는 방식으로 소리가 난다. 이 때, 혀의 위치와 입술 모양 모음 /으/를 낼 때의 모양과 유사하기 때문에 한국어 원어민은 자동반사적으로 /으/를 덧붙여 듣는 것이다. 그리고 유성 모음과 무성 모음을 구별하지 않으니  발음할 때는 태연히 유성 모음 /으/를 붙여서 발음한다. 하지만 영어 원어민 입장에서는 유성 모음 /으/는 별개의 음이니 한국어 원어민의 발음은 없는 음을 덧붙인 것철럼 이상하게 여겨질 수밖에 없게 되는 것이다.


 당연한 이야기지만 /s, z,  t, d, n, l/의 발음에서 추가된 모음 /으/는 실제 모음 /으/를 조음할 때의 혀의 위치와 입술 모양과 완전히 일치하지는 않는다. 하지만 모음은 자음에 비해서 그 소리가 분명하게 구별되지 않는다. 혀의 움직임이나 입술의 모양의 차이라는 것이 미묘하기 때문이다. 그러다 보니 모음은 조금 차이가 나더라도 미묘한 차이점을 무시하고 유사한 모음으로 번역해서 듣게 된다. 따라서 한국어 입장에서는 가장 유사한 모음인 /으/를 덧붙여 듣게 된다.


 결국, 영어 원어민이 자음만 발음할 때, 자음과 모음을 붙여서 들었던 내 귀는 크게 잘못되지 않았다. 단지, 영어 원어민이 모음으로 듣지 않는 것을 모음으로 들었을 뿐이기 때문이다. 서로 음성체계가 다르기 때문에 이런 문제가 발생한 것이다. 추측하면, 유성음과 무성음을 강하게 구분하는 영어와 그렇지 않은 한국어, 유기음과 무기음을 강하게 구분하는 한국어와 그렇지 않은 영어로 음성체계가 다르고, 한글의 구조상 무조건 모음이 말소리에 있어야 한다는 한국어 소리에 대한 모델이 이런 차이를  강화한 것으로 보인다. 이런 음성체계의 차이를 발견하고 나니 그 동안 헷갈렸던 것들이 상당 부분 해소된다. 가령, 어떻게 자음만 발음하는지 명료하게 이해했고, 영어의 비슷한 음들 /s, ʃ/, /z, ʤ/  등 소리는 비슷하지만 조음 위치가 다른 음들을 어떻게 구별해야 하는지 비로소 알 수 있게 되었다.

 


Ankilog 학습파일


학습용 Anki 파일은 아래와 같습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Ankilog 파일:  010 영어 자음 발음에서 모음이 들리는 이유.apkg


수정 : 2020-04-04 오전 12:11 Ankilog 문구 다듬기



 

009 무성 모음으로 유성음 경험

 

  이제 무성 모음을 듣고 발음해 볼 차례다. 물론, 무성 모음만 듣고 말하는 것은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 영어나 한국어 모두 무성 모음을 음소로 사용하지 않으므로 무성 모음 자체로는 아무런 쓸모가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무성 모음은 우리가 자연스럽게 사용하는 유성 모음을 보다 제대로 경험하게 해준다. 그리고 나아가 모음과 자음을 구분하지 않고 한 뭉터기로 발음하고 인지하는 습관을 가진 한국어 원어민이 이를 분리해서 들을 수 있는 경험을 유도해볼 수 있다.

 

 아직, 영어 모음을 따로 공부하지 않았으니 한국어 모음으로 연습한다. 무성 모음 조음을 통해 어디까지나 성대를 쓰는 법을 스스로 자각하기 위해 연습하는 것이므로 딱히 영어 모음으로 연습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한다.

 

다음은 차례대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한국어 모음 와 이를 무성음화한  그리고 마지막으로  를 발음한 것이다.

 

IPA(국제음성기호)에서 무성음화된 음을 표시할 때 아래에 작은 동그라미를 붙여 표시한다. 이러한 표시를 구별기호(diacritic)이라고 부른다.

 

 

 요령은 간단하다. 가령, 한국어로 를 발음하고 그 상태에서 입 모양과 혀의 움직임을 그대로 둔 채, 성대를 떨지 않고 발음한다. 그리고 이어서  를 발음한다.


 성대를 떨지 않는다는 것을 어떻게 하는지 모르겠다면 목이 쉬었을 때를 떠올리거나 속삭이듯 말하는 상황을 떠올리면서 연습해본다. 그리고 이 상황에서 자신이 성대를 어떻게 쓰는지 느껴본다. 자주 사용하면서 의식적으로 성대를 쓰는 법을 몸에 익힌다.

 

 무성 모음 는 앞서 본 /h/와 소리가 비슷하다. 그래서 음소 /h/를 무성 모음이라고 말하는 사람도 있다. 이 부분은 뒤에 다시 이야기할 것이다.

 

  무성 모음 의 소리가 유사하다고 느낄 수 있지만 연속으로 발음해보면 그 차이를 느낄 수 있다. 무엇보다도 는 두 개의 소리를 이어 붙인 것을 느낄 수 있다. 말소리의 파형도 두 개의 이질적인 파형이 접해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자음과 모음이 별도로 들리는 감각을 익혀보도록 하자.

 

 듣다 보면 무성 모음의 소리가 매우 알아듣기 어렵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유성 모음과 연달아 들을 경우 비슷하게 들리기는 하지만 개별적으로 들을 경우 전부 숨소리 정도로만 들리기도 한다. 음을 잘 들어보면 숨소리와 유성음 특유의 쨍쨍한 소리가 대비되는 것을 느껴볼 수 있다. 유성음이 소리가 더 또렷하고 더 음량이 높다는 점도 확인할 수 있다.

 

 한국어의 다른 모음 /이, 에, 애, 으, 어, 우, 오/ 똑같은 연습을 해본다. 

 

 

 

 

 

 

 

 

 

 

 

 

 

 

 

 

 

 

 

 

 

 

 

 

 

 

 

 

 

Ankilog 학습파일

 

학습용 Anki 파일은 아래와 같습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아래의 Ankilog는 소리를 구분하여 듣는 연습을 위하여 만들었으니 소리를 들을 준비를 하시기 바랍니다.



Ankilog 파일:  009 무성모음으로 유성음 경험(오디오).apkg

 

수정 : 2020-04-04 한국어에서 무성 모음과 유성 모음은 서로 이음 관계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고 판단하여 기존에 음소로 표시한 유무성 모음들을 이음으로 표시함. 또,  발음 수정함(Ankilog도 같이 수정함)


 

008 유성음 박탈 경험

 

 

 음성학을 공부하면서 말소리를 자음이니 모음이니 분석하고 나누게 되었다. 덕분에 이론적으로 자음과 모음이 무엇인지 알았지만 그렇다고 손에 잡힐 듯이 와닿는 그런 개념은 아니었다. 하물며, 유성음과 무성음의 차이라는 것은 더더욱 막연한 이야기였다. 영어를 본능적인 수준에서 자연스럽게 사용하기 위해서는 유성음과 무성음을 자연스럽게 구분해서 듣고 말할 수 있어야 한다. 하지만 한국어 원어민으로 살아온 인생이 너무 길어서인지 아무리 들어도 유성음이 무엇이고 무성음이 무엇인지 잘 구별이 가지 않았다. 억지로 나눈다면 약간 연극적인 톤의 목소리가 유성음 같이 들리긴 했지만 확신하기 어려웠다.


 유성음을 의식적으로 내는 법을 익혀보려고 내 목의 성대 부분에 손을 대고 진동을 느껴보면서 말하는 연습을 해봤지만 일상적인 수준의 음량에서는 진동이 잘 느껴지지 않는다. 진동을 느끼려면 목소리를 최대한 높여야 하는데 그 정도부터는 이미 일상적인 말하기라기 보다는 무슨 연극 연습같아 어색했다. 이 경우 모음은 성대가 떨리는 것을 잘 느낄 수 있지만 유성 자음은 그렇지 않다. 자음은 워낙 짧게 발음되고 이어서 바로 모음의 진동이 시작되기 때문이다. 결국, 유성음을 내서 성대가 떨리는건지 모음으로 인한 진동인지를 구별하기 어려웠다. 물론, 모음도 유성음이지만 워낙 자연스럽게 나오는 소리라서 익힌다는 개념을 떠올리기 쉽지 않았다. 또, 영어에서 자음들이 무성음과 유성음으로 구분되는 것과 달리 모음은 전부 유성음이기 때문에 이를 별도로 익힐 이유도 없다고 생각했다.


 그러던 어느 날 목이 쉬었다. 목이 쉬면 보통 말을 자제하고 따뜻한 차를 마시면서 회복에 집중해왔다. 그런데, 이번엔 조금 달랐다. 음성학 공부로 인하여 내 말소리가 제대로 발음되고 있는지 정확한 입모양과 혀위치를 두고 있는지 관찰하고 있었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평소와 다른 내 말소리를 요모조모 뜯어보았다. 그리고 쉬어버린 내 말소리가 어떻게 만들어지는지 바로 이해할 수 있었다. 


 말소리가 쉬었는지 아닌지는 누구나 들으면 안다. 그래도 특징들을 한 번 잡아보자. 일단, 목소리에 튜브 공기 빠지는 소리 즉, ‘ㅎ~ㅅ~’ 같은 소리가 마구 섞인다. 또, 소리가 크게 나오지 않는다. 힘을 줘서 강하게 발음하면 바람소리만 더 커지거나 목에 통증이 일어난다. 마지막으로 소리가 명료하지 않다. 이런 말소리는 소리가 작아 듣기도 힘들고 듣더라도 무슨 말인지 구별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성대가 떨리는 원리는 이렇다. 아래의 그림과 같이 성대가 맞물려 성문이 닫혀있는 상태에서 폐 속의 공기가 성문을 비집고 나오면 그 압력으로 성대가 진동하게 된다. 살짝 닫은 입술 사이로 공기를 밀어내면 입술이 부르르하고 떨리는 것과 같다.

 


 

  그런데 목이 쉬게 되면 아래의 그림처럼 성대가 부어오르고 성대에 작은 결절같은 것이 생긴다. 성대를 떨려면 위의 그림처럼 성대가 잘 맞물려 닫혀야 하는데 결절로 인하여 성문이 벌어지니 공기가 그 사이로 새어나간다. 이것이 작은 구멍으로 바람 빠지는 것 같은  ‘ㅎ~ㅅ~’ 하는 소리가 말소리에 섞이는 이유다. 게다가 성대가 붓고 무거워져서 평소보다 둔해지기 때문에 말을 하는데 힘은 더 들고 소리는 둔탁해진다. 


 

 이렇게 목이 쉰 상태에서 제대로 소리를 내려면 결절이 있는 상태에서도 성문이 닫힐 수 있도록 성대를 꽉 조여줘야 하고 부어서 두텁고 무거워진 성대를 움직일 수 있도록 숨을 강하게 내뱉어야 한다. 결국, 통증이 발생하고 무리한 움직임으로 성대의 손상은 더욱 심해질 수밖에 없게 된다.


 요점은 이것이다. 목이 쉬어버리면 성대를 떨 수 없다. 즉, 성대를 떠는 유성음을 전혀 쓸 수 없다는 말이다. 한창 유성음을 듣고 말하려고 발바둥치던 시기였다. 어떤 것을 이해하고 체감하는 방법은 그것과 열심히 접촉하고 이해하기 위해서 노력하는 것도 있지만 반대로 철저히 배제함으로써 그 빈자리를 파악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특히, 파악하기 미묘하고 혼란스러운 것들은 이런 방법이 상당히 잘 먹히는 법이다. 친구나 가족의 빈자리를 느끼고 나서야 자연스러웠던 일상이 어떻게 유지되는지 비로소 알게 되듯이 자연스럽게 나오던 유성음을 박탈되면 이 유성음의 사용에 대해서 어떤 통찰을 얻을 수 있을지도 모른다. 이미 어떻게든 유성음과 친해져보려고 노력했지만 별다른 성과가 없었기에 더 매력적이었다.

 

 그리고 그 기대는 제대로 작동했다. 


 첫 번째는 한국어에서 유성음이 사용되고 있다는 확신과 체감을 얻었다. 한국어에도 유성음이 많다. 대표적으로 모든 모음이 그렇고, ‘ㄴ, ㄹ, ㅁ’ 등의 자음도 유성음이다. 또, ‘ㄱ, ㄷ, ㅈ’ 같은 자음은 상황에 따라서 무성음일 때도 있고 유성음일 때도 있다. 하지만 이를 유성음으로 자각하고 쓴 것은 아니기 때문에 체감하기 어렵다. 따라서 구분해서 듣지도 말하지도 않는다. 하지만 목이 쉰 상태에서는 이 모든 유성음들 내려고 할 때마다 소리가 제대로 나지 않거나 목이 찢어지는 통증이 오기 때문에 체감하지 않을래야 않을 수가 없었다. 유성음 사용빈도만큼 내 말소리가 이상해지기 때문이다. 이 덕분에 유성음을 어디 이론 속의 소리가 아니라 내가 항상 내고 있는 소리 중 하나라는 친숙함을 느낄 수 있었다.


 그렇다면 왜 유성음을 많이 사용하면서 이를 구분해서 듣지도 말하지도 못하는 것일까? 구분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이는 정신적으로 의미를 구분하는 음성적 단위인 '음소'의 개념을 다시 떠올려야 한다. 한국어가 유성음을 '음소'를 구분하는 기준으로 채택하지 않고 있기 때문에 한국어 원어민은 이 유성음을 딱히 구분하지 않는다. 물론, 귀가 예민한 사람들은 이를 구분한다. 하지만 나 같은 막귀는 전혀 그렇지 않다. 뇌가 자연스럽게 유성음 여부를 파악할 수 있도록 따로 훈련을 해줘야 한다. 다행히도 목이 쉬어 유성음이 박탈된 경험은 나같은 막귀도 해볼 수 있는 훈련 방법이 무엇인지 자연스럽게 알게 해주었다.


 두 번째로 어떤 훈련을 해야할지 알 수 있었다. 유성음 박탈 경험은 가장 쉬운 연습방법을 보여주었다. 말을 할 때 유성음이 나와야 하는 상황마다 목이 아프거나 기대하지 않던 바람 빠지는 소리가 들려오니 자연스럽게 성대의 움직임을 인지하게 되었다. 그런 상황에서도 어떻게든 평소처럼 소리를 내려고 하다보니 목의 성문이 열리면서 공기가 자연스럽게 유통되는 느낌과 성문을 닫고 소리를 내는 느낌을 구별할 수 있게 되었다. 무의식적으로는 이미 자연스럽게 하고 있는 행위들이었지만 의식적으로 이게 성문을 닫는 것이고 이게 성대를 떠는 것이구나 하는 자각을 얻을 수 있었다. 하지만 문제가 있었다. 이 훈련은 목이 쉬어야만 가능한 훈련이다.  득음할 것도 아닌데 매번 목이 쉬게 만드는 훈련을 하는 것은 지나치게 과한 연습으로 보였다. 일상 생활에도 지장이 있을 수밖에 없었다. 


 이렇게 관찰을 통해 이것저것 체감하다가 불현듯 알게 되었다. 목이 쉬어서 유성음을 내지 못해야 하는데 어떻게든 모음이 발음되고 있었다. 통증 때문에 목구멍을 열심히 열고 소리를 내고 있었지만 여하간 성대의 떨림없이 모음 비스무레한 것이 발음되고 있었다. 성대가 떨리지 않는 모음이니 무성 모음이었다. 목이 쉬었을 때, 한 번 감각을 잡았더니 무성 모음을 내는 것은 어렵지 않았다. 내 경우에는 귓속말을 하듯 목소리를 낮추겠다고 마음 먹거나 목이 쉬었을 때를 떠올리면서 흉내내면 자연스럽게 무성 모음이 나왔다. 그 감각을 최대한 살리면서 유성 모음과 무성 모음을 번갈아가면서 연습하니 성대의 움직임과 들리는 소리가 조금씩 어우러지면서 유성음과 무성음이 조금씩 감이 잡히기 시작했다.


 우리가 흔히 만들어내는 모음은 유성음이고 무성 모음은 매우 예외적이다. 그러다 보니 이 방법은 안 쓰는 말소리를 끌어들여 연습하는 것이기 때문에 불필요한 연습으로 느껴질 수 있다. 실제로 이런 방법을 제시하는 경우는 본 적이 없다. 하지만 영어를 사용하기 위해서 조음기관을 다시 훈련시켜야 하는 입장에서는 매우 효과적인 훈련 방법이 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무성 모음과 유성 모음은 확연히 구별된다. 그렇다는 것은 유성음과 무성음을 구별해서 듣기도 힘들어하고 구별해서 소리를 내기도 힘들어하는 나같은 한국어 원어민이 유성음과 무성음을 대조하면서 듣고 말하기를 처음 익히기에 가장 알맞은 연습이 바로 이 유성 모음과 무성 모음을 번갈아가면서 발음하고 듣는 연습이 아닐까 하고 추측해본다. 


 마지막으로 덧붙이자면 몇몇 학자들은 음소 /h/를 무성 모음이라고 부른다.  이 말을 처음엔 이해하지 못했다. 어째서 자음을 모음이라고 말하는 지 납득하기 어려웠기 때문이다. 하지만 음성학을 공부할 수록 음소 /h/가 무성 모음이라는 점이 납득이 되었고 한국어와 영어 음성체계가 가지는 본질적인 차이점이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하지 않을 수 없게 되었다. 음소 /h/가 다른 음에 섞이면 그 말소리는 유기음이 된다. 그리고 그 유기음은 항상 무성음이다. 음소 /h/가 유성음을 철저히 배제하는 듯한 느낌이다. 또, 영어와 한국어의 음성체계는 유성 여부에 따라서 음소를 나누는가 아니면 유기 여부에 따라서 음소를 나누는가로 서로 다른 기준을 선택한다. 마지막으로 영어에서 음소 /h/는 퇴조하고 사라져가는 소리다. 방언에 따라서는 전혀 발음하지 않는 경우도 있을 정도다. 이를 종합하면 한국어는 음소 /h/를 주요한 기준으로 선택하면서 음성체계에서 유성 여부는 기준으로 잡지 않았고, 영어는 유성 여부를 주요한 기준으로 선택하면서 음소 /h/를 버리는 것 같다는 인상이다.


 사실, 이런 개인적인 생각과 상관없이 한국어 원어민이 영어의 음성체계를 정확히 이해하려면 유기음과 유성음을 정확히 구분하고 인지해야 한다. 따라서 유성음을 구별하여 듣고 말하는 연습으로 무성 모음을 익혀서 유성음과 대조하면서 익히는 것이 효과적이고 동시에 앞으로 제시할 유기음들을 제대로 다루기 위해서라도 음소 /h/를 자음 중에서 가장 먼저 다루는 것이 맞다고 생각했다. 

 


Ankilog 학습파일


학습용 Anki 파일은 아래와 같습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Ankilog 파일: 경험담이므로 Ankilog는 없음


 


007 음소 /h/와 유기음 소개


 다른 음성학 책들과 달리, 별로 중요해 보이지 않는 /h/를 먼저 다루는 첫 번째 이유는 이 소리가 유기음을 만드는 만드는 소리이기 때문이다.


 

 우리는 보통 호흡을 내쉬면서 말한다. 그래서 성대는 말소리를 결정하는 첫 번째 위치가 된다. 성대에서 한 번 만들어진 소리를 혀와 입, 코 등을 이용하여 다양하게 가공한 것이 우리의 실제 말소리다. 따라서 성대에서 1차적으로 가공된 말소리가 모든 말소리의 기초를 이룬다고 할 수 있다.


 성대에서 만들어진 소리가 모든 말소리의 기본이 되기 때문에, 모든 말소리를 유성음과 무성음으로 나눌 수 있었다. 그런데 성대에는 유성음과 무성음 말고 다른 구별 기준이 있다. 바로 유기음과 무기음이다. 유기음이란 한국어의 음소 /ㅍ/, /ㅌ/, /ㅋ/들을 생각하면 된다. 실제로 발음해보자. 공기가 거세게 빠져나가는 것을 느낄 수 있다. 유기음이란 말은 공기의 기류 소리, 거센 바람 소리 같은 소리가 있다고 하여 붙인 이름이다.


 유기음을 느껴보고 싶으면 손바닥을 입술 바로 앞에 두고 발음해보자. /ㅂ/, /ㅍ/를 연달아 발음해 본다. /ㅂ/, /ㅍ/가 손바닥에 부딪치는 숨이 더 많은 것을 느껴볼 수 있다. /ㄷ/, /ㅌ/ 또는 /ㄱ/, /ㅋ/를 발음할 때도 마찬가지다. 또 다른 방법은 입술 앞에 작은 종이 조각을 대고 발음해보는 것이다. 무기음을 발음할 때는 살짝 떨리기만 하던 종이 조각이 유기음을 발음할 때 뒤로 튕기는 것을 볼 수 있다.


 /ㅍ/, /ㅌ/, /ㅋ/를 국제음성기호로 표시하면 /pʰ/, /tʰ/, /kʰ/가 된다. 여기에 위첨자로 붙은 h는 바로 앞에서 살펴본 음소 /h/를 의미한다. 즉, /p/를 발음하면서 /h/를 추가한 말소리가 바로 /pʰ/다. 국제 음성기호로 나타낸 모든 유기음들은 모두 h가 위첨자로 붙어서 나타난다. 결국, 유기음은 /h/가 첨가된 말소리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유기음을 발음하다보면 이런 의문이 생길 수 있다. /h/는 성대에서 조음된다고 했는데 왜 성대에서 별다르게 조음되는 느낌이 없을까? 하는 의문이다. /h/는 엄밀하게는 성대에서 음이 만들어진다기 보다는 성대에서부터 날숨이 배출되는 통로를 좁혀 숨이 일반적인 날숨보다 빠르게 나가게 한다는 의미에 가깝다. 그래서 다른 음과 섞여서 발음할 때에는 실제 조음되는 위치가 성대가 아니라고 느낄 수 있다. 

(한국어에서 /ㅍ/, /ㅌ/, /ㅋ/는 음소이므로 국제음성기호로 /pʰ/, /tʰ/, /kʰ/로 표시했다.)


다음은 한국어 음소 /ㅍ/, /ㅌ/, /ㅋ/와 영어 음소 /p/, /t/, /k/가 어떻게 다른지 서로 비교한 그림이다.

 

 

 


 앞에서 005 음소 이음 음성체계 포스팅에서 제시했던 그림을 조금 확장하여 유기음의 개념을 첨가했다. 한국어는 /ㄱ//ㅋ/, /ㄷ//ㅌ/, /ㅂ//ㅍ/무기음과 유기음으로 구분되어 서로 별개의 음소가 된다. 반면, 영어는 [p][]는 음소 /p/의 이음으로 같은 음소다. 마찬가지로 [t][tʰ]/t/의 이음으로 같은 음소이고, [k][kʰ]/k/의 이음으로 같은 음소다. (영어에서 , tʰ, kʰ는 이음들이므로 [], [tʰ], [kʰ]로 표시했다.)

 

 눈치 챈 사람들도 있겠지만 한국어는 유기음인지 무기음인지에 따라서 음소들을 구분하고 있다. 반면, 유성음인지 무성음인지는 신경쓰지 않는다. 반면, 영어는 유성음인지 무성음인지에 따라서 음소를 구분하고 있지만 유기음인지 무기음인지는 신경쓰지 않는다. 이 부분이 한국어와 영어의 음성체계에서 극명하게 대립하고 있는 부분이다. 이로 인하여 한국어 원어민과 영어 원어민은 서로의 말소리를 들으면 일대 혼란에 빠지게 된다.

 

 영어 원어민은 한국어 원어민이 자신들 입장에서는 완전히 다른 유성음과 무성음을 섞어서 쓰기 때문에 혼란스러워 한다. 이들은 본능적으로 성대의 진동 여부에 따라서 서로 다른 음소로 인식하기 때문에, 유성 여부는 무시하고 유기여부에 따라서 음소를 구분하는 한국어의 음성체계가 혼란스러울 수밖에 없다. 그리고 이 점은 한국어 원어민 입장에서 영어도 마찬가지다. 그런 상이한 음성체계 때문에  '박'씨를 'Park'으로 쓰는 이유를 알 수 없었다. 어쩌면 한국어 원어민이 더 혼란스러울지도 모르겠다. 영어는 유기음을 다른 용도로 상당히 중요하게 사용하기 때문이다.

 

  영어에서 유기음인지 무기음인지로 음소를 구분하진 않지만 그렇다고 유기음과 무기음을 구별하지 않는 것도 아니다. 실은 매우 중요하게 사용된다. 영어는 한국어보다 훨씬 연속적인 언어다. 긴 문장을 거의 쉼없이 연속해서 말한다. 이 때, 단어와 단어 사이의 구별이나 강세 여부를 자연스럽게 나타내기 위하여 중간중간 유기음을 사용한다. 유기음이 들려오면 영어 원어민은 자연스럽게 강세이거나 새로운 단어의 시작이라고 이해한다. 이는 한국어 원어민에게는 없는 감각이고 앞으로 익혀야 할 감각이다.

 

 이번엔 유기음이라는 개념을 소개했다. 이 유기음이 한국어와 영어에서 완전히 다르게 사용되고 있어 본능적이고 자연스러운 언어 감각을 얻는 데 장애로 작용하고 있다. 따라서 앞으로 한국어와 영어 자음들을 학습할 때, 이들을 비교하면서 명확하게 사용할 줄 알아야 하기 때문에 우선 간략하게나마 개념을 미리 소개했다. 추후, 개별 음소들을 실제로 살펴보면서 하나하나 귀와 입으로 익혀보도록 하자.

 


Ankilog 학습파일


학습용 Anki 파일은 아래와 같습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Ankilog 파일:  영어음성학__007 _h_와 유기음.apkg


수정 : 2020-02-02 오전 12:02 Ankilog 파일 내의 문구를 다듬고 설명을 보충함


 

 

006 음소 /h/와 성대


 이제 실제 음소들을 다뤄보자.

   

 첫 번째로 다룰 음소는 /h/다. /h/는 한국어의 음소 /ㅎ/과 동일하므로 한국어 원어민이라면 이 음소를 말하고 듣는 데 어려움이 없다. 그도 그럴 것이 음소 /h/는 그저 목구멍으로 숨을 조금 내쉬면 나는 간단한 소리이기 때문이다. 한국어 원어민은 /h/ 소리를 쉽고 간단하게 낼 수 있으므로 스스로 소리를 내면서 소리가 나는 원리를 체감하고 이를 음성학에서 어떻게 설명하는지 확인해 볼 좋은 기회를 가질 수 있다. 또, 앞으로 계속 부딪히게 될 성대라는 조음기관과 친해질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1. /h/ 소리내기

음소 /h/ 다음과 같이 나는 소리다.

 


 많이 들어본 소리다. 한 겨울 창문에 김을 서리게 하려고 숨을 내 뿜었을 때 나던 소리다. 아니, 그냥 숨소리다.

 한국어 원어민은 /ㅎ/을 발음할 수 있으므로 동일한 /h/ 소리도 아무런 문제없이 자연스럽게 낼 수 있다. 그렇다면 자신이 실제로 내는 소리와 음성학에서 말하는 /h/ 말소리를 내는 방법을 비교해보자.

    

음소 /h/ 소리를 내는 방법

 

  목의 성대를 진동시키지 않고 성문을 살짝 연 상태에서 공기를 밖으로 적당하게 밀어내면 공기가 성문과 마찰하면서 /h/ 소리가 난다.

 

 음소 /h/를 소리 내면서 느낌을 관찰해보자. 숨을 조금 강하게 내뿜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목이 긴장되고 목구멍 깊은 곳에서 소리가 올라오는 느낌을 받는다. 이는 성대의 좁은 틈인 성문으로 소리를 내는 것이다.

 자연스럽게 나오는 소리를 구차하게 말로 설명하고 있으니 괜히 머리만 아프고 쓸데없어 보인다. 하지만 우리는 외국어의 음소들을 발음하기 위해서 조음기관을 써서 의식적으로 소리를 내는 법을 익히는 과정에 있다. 즉, 자연스럽게 내던 소리를 의식적으로 익히는 과정을 시작한 것이다.

 음소 /h/는 좋은 시작점이다. 정말 간단한 말소리이고 우리가 쉽게 낼 수 있으며 한국어와 영어 음성체계의 가장 근본적인 차이점인 성대를 이해하기 좋은 소리이기 때문이다.

 

2. 성대와 성문

 

 폐에서 출발한 공기의 흐름을 처음 조절하는 곳이 바로 이  성대다. 성대는 목의 후두에 있다

성대에는 두 개의 얇은 판막이 아래와 같이 열렸다 닫혔다를 반복하는데 그 사이의 좁은 틈을 성문이라고 한다.

 


 그림 실력이 너무 나빠서 성대를 단순하게 그릴 수밖에 없었다. 양해를 부탁드린다. 그래서 부족한 내용은 말로 보충하겠다. 성대는 그 조음기관 전체를 부르는 명칭이면서도 동시에 판막을 움직이는 인대의 명칭이기도 하다. 그리고 성대는 위의 그림처럼 열리고 닫히는 운동을 하지만 소리를 낼 때 성대가 끊임없이 개폐운동을 하는 것은 아니다. 우리의 입술을 생각하면 된다. 입술처럼 공기를 막다가 토해내고, 공기가 나가는 통로를 넓게 하거나 좁게 한다. 또, 작은 틈으로 공기를 내보내 입술을 부르르 떨기도 한다. 

 성대도 목에 있는 입술처럼 움직인다. 특정 소리를 내기 위해서 폐에서 나가는 공기의 통로를 좁히거나 넓히고 공기를 막다가 토해낸다. 또 성대를 살짝 닫고 그 사이로 공기를 밀어내어 성대를 부르르 떨게 한다.


 

 3. 유성음과 무성음


 음성학에서는 성대로 내는 목소리를 보통 2가지로 분류한다. 유성음(voiced sound)무성음(voiceless sound)이다.

 유성음(voiced sound)이란 성대가 떨리는 음성을 말한다. /아, 이, 우, 에, 오/ 같은 모음들이 대표적인 유성음이다. 성대의 위치에 손을 대고 모음을 말해보면 떨림을 느낄 수 있다. 진동이 잘 안느껴지면 고음으로 소리를 내본다. 음이 높을 수록 떨림이 커진다.

 유성음을 낼 때에는 성대를 살짝 닫고 좁은 틈으로 공기를 밀어내어 성대가 공기의 마찰로 진동하게 한다. 이 진동이 바로 유성음의 진동이다. 

 성대가 떨리는 것을 체감해보고 싶으면 입술을 이용하면 된다. 입술을 위아래로 살짝 닫고 공기를 내보내면 입술이 부르르하고 떨린다. 유성음에서는 이와 비슷한 일이 성대에서 벌어진다. 

 무성음(voiceless)은 성대의 떨림이 없는 음성으로 유성음이 아닌 음성이다.

 모든 말소리는 유성음 아니면 무성음이다. 그리고 이번에 익히고 있는 음소 /h/도 성대의 진동이 없는 무성음이다.

 

4. 조음 방법

 음성학은 말소리를 내는 방법에 따라서 말소리를 분류한다. 이를 조음방법에 따라 분류한다고 하는데 보통 폐쇄음, 마찰음, 파찰음, 비음으로 분류한다. 

 마찰음은 조음기관을 이용하여 공기가 이동하는 통로를 좁혀서 공기가 주변 통로랑 마찰을 일으키게 하는 소리다. /h/는 기본적으로 성문의 좁은 틈으로 공기가 마찰된다.

 

5. /h/ 음소의 음성학적 명명

 음소 /h/를 부르는 음성학적 명칭무성성문마찰음이다. 

 음성학에서는 말소리가 나는 조음 원리에 따라서 이름을 붙인다. 조음 원리는 유성음인지 무성음인지, 조음이 이루어지는 위치가 어디인지, 조음 방법이 무엇인지를 말한다.

 /h/무성음이고, 성대의 성문에서 조음되며, 성문의 좁은 틈으로 공기를 마찰시켜 말소리를 만드므로 무성성문마찰음이다.

Ankilog 학습파일


학습용 Anki 파일은 아래와 같습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공지: 앞으로 Anki 파일은 내용과 음성을 분리해서 올릴 계획입니다. 소리를 들으면서 학습할 때에는 이어폰을 연결하거나 소리를 들을 준비를 해야하기 때문입니다. 


Ankilog 파일: 006 음소 _h_와 성대.apkg


수정 : 2019-12-15 오후 09:40  Anki 파일 내의 문구를 다듬음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