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렸을 때는 각종 신문이나 교과서에서 한문을 많이 사용했고 좋아하는 무협지도 한문을 많이 사용했기 때문에 한문은 어느 정도 친숙함이 있었다. 당시에 사자성어를 배우는 것이 유행이기도 해서 나름 조금 배운 바는 있지만 천자문도 떼지 않은 초보적인 수준이었을 뿐이다. 그럼에도 한문을 알고 있음으로 인하여 상당히 많은 이득을 보게 되었다. 그것은 한글로 되어 단어들의 상당수가 실제로는 한자어인 경우도 많았기에 그런 단어들을 좀 더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었기 때문에 얻는 소소한 이득이었다.

 

한글 전용과 영어교육이 대두되면서 한자는 수업시간에도 크게 중요한 취급을 받지 못했다. 개인적으로도 한문에 큰 관심이 없었다. 그냥, 교양수준으로 몇 마디 알 뿐이고 그 글자를 읽을 수는 있어도 직접 쓰지는 못하는 수준이었다. 그러던 어느 날 한자와 한문에 대한 관심이 생긴 계기가 있었는데, 그것은 군대에서 손자병법을 읽었을 때였다.

 

손자병법의 원문을 읽어보니 한자 원문과 이를 한글로 해석한 부분을 비교해보니 분량이 매우 큰 차이가 있는 것이었다. 원문이 10글자라면 한글은 대략 20~30 글자로 늘어나는 수준이었다. 그래서 한문에 대해서 갖게 된 인상이 무척 효율적인 정보체계라는 인상을 받게 되었다. 하지만 좀 더 살펴보면서 느끼게 된 것은 한문이라는 것이 생각을 간단한 글자로 압축할 수 있다는 점이 장점이라면 그 해석의 여지가 너무 많고 정보가 왜곡될 가능성이 높다는 단점도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래서 한문은 글의 맥락과 학문적 맥락을 동시에 이해하지 못하면 엉뚱한 방향으로 해석하게 되므로 다양한 생각이 나올 수 있는 자양분도 되지만 터무니없는 해석으로 시간을 낭비할 생각이 아니라면 한문으로 된 고전을 전부 읽어낼 생각을 해야 한다는 점에서 너무 부담스럽게 생각되었다.

 

그 이후 꽤 많은 시간이 지났고, 인생을 공부하면서 배우고 발전하는 삶으로 스스로 규정하게 되면서 한문 공부의 필요성이 다시 대두되었다.

 

첫 번째는 한자어를 기반으로 한 동양철학이 노년에 어울리기 좋은 벗이라는 점이다. 음풍농월을 즐기면서 선인의 깊은 지혜를 음미해보는 것도 나름 매력적인 삶의 한 모습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평소에 동양철학에 대한 관심이 있다는 점도 한몫 했다.

 

두 번째는 위에서 언급한 언어체계로써의 한자에 대한 호기심이다. 사람은 사용하는 언어체계에 따라서 사유의 형태가 고정된다는 점은 꽤 널리 받아들여진 학설이다. 그런 점에서 세계의 살아있는 표의문자 체계를 머릿속에 장착할 경우 어떤 가능성이 열릴지 무척 호기심이 생긴다.

- 축약된 표현으로 생각하는 습관이 들면 더 생각과 글이 더 간결하고 빨라질 수 있을까?

- 선인들이 말하는 문리가 트인다는 말이 무슨 의미일까?

- 동양적 사유방식의 원형과 행태를 이해할 수 있을까?

- 과연 한자어를 깊이 이해함으로써 국어의 깊이도 깊어질까?

 

세 번째는 Anki가 있다는 점이다. 원래 외우는 것을 학을 뗄 만큼 싫어하기에 물리학이나 수학처럼 어떤 하나의 원리를 이해하고 그 원리를 응용하여 사용하는 것을 좋아한다. 하지만 다량으로 외워서 많은 정보량으로 통찰을 제공해주는 방식의 공부도 있다. 화학이나 생물학 같은 과목이 그렇다. 그리고 한문도 그렇다. 이런 공부들은 배경지식이 쌓이면서 단순히 응용하고 사용할 수 있는 도구를 손에 쥐는 것과는 조금 다른 깊은 통찰을 제공해주기도 한다. 평소에는 이런 공부를 싫어했지만 외울 수 있는 수단이 생겼으니 오히려 큰 생각없이 열심히 외우다 보면 통할 것이고 외우면 외울수록 점점 공부의 효율이 올라갈 것이므로 오히려 매우 쉬운 공부라고 할 수 있다. 또, 한자가 정보를 매우 압축하는 문자 체계인 만큼 많은 내용을 외우기에 적합하다는 것도 그런 판단에 한몫 했다.

 

그래서 한자의 육서 체계부터 시작해서 부수 한자, 천자문과 사서삼경으로 천천히 한구절씩 읽고 해석하면서 필요한 부분을 외우는 방식으로 공부를 하는 것도 재미있을 것이라고 생각하게 되었다. 어디까지 공부할 수 있을지 모르지만 하나씩 차근차근 나아가보려고 한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