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수한자 네글자 006: 又(또 우), 二(두 이), 人(사람 인), 儿(어진 사람 인)>
又 (또 우)
오른손의 모양으로 손을 의미하고 동시에, '다시', '또'의 의미로 가차되어 사용됨
일반적으로 자주 사용하는 손이므로 또, 다시, 손, 잡다 라는 의미로 쓰이는 부수
二 (두 이)
둘이라는 추상적인 의미를 부호화
부수로써 두 가지 상반된 것, 두 개의 물건이라는 뜻을 가지지만 부수의 의미가 크게 중요하지 않음
人(亻) (사람 인)
서 있는 사람의 모습을 옆에서 본 모양을 형상화
부수로써 사람, 사람이 하는 일이라는 뜻을 가짐.
글자의 왼쪽(변)에 亻(사람인변) 부수로 많이 쓰인다.
儿 (어진 사람 인)
몸을 적당히 구부리고 있는 사람의 모양에서 겸손하고 어진 마음을 나타냄
人자가 글자 아래(발)에 사용될 때만 쓰이기 때문에 부수의 역할은 '人(인)'과 동일함.
Anki 학습파일
Anki 학습파일은 아래와 같이 한자와 독음만 간단하게 암기할 수 있는 한자연습과 글자의 생성원리나 부수의 의미 기타 사항 등을 공부하는 심화학습의 2종류로 나누어 첨부했습니다. 필요에 따라서 다운로드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Anki로 공부하기 > 한문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수한자 네글자 008: 匸(감출 혜), 干(방패 간), 巾(수건 건), 彐(돼지머리 계) (0) | 2018.03.10 |
---|---|
부수한자 네글자 007: 入(들 입), 卩(병부 절), 八(여덟 팔), 勹(쌀 포) (0) | 2018.03.08 |
부수한자 네글자 005: 冫(얼음 빙), 厶(사사로울 사), 十(열 십), 厂(기슭 엄, 언덕 한) (0) | 2018.03.04 |
부수한자 네글자 004: 力(힘 력), 匚(상자 방), 卜(점칠 복), 匕(숟가락 비) (0) | 2018.03.02 |
부수한자 네글자 003: 冂(멀 경), 几(안석 궤), 刀(칼 도), 亠(돼지해머리 두) (0) | 2018.0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