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ki로 문장 암기하기 2


 이전 포스팅은 Anki로 문장 암기하기 1을 참고하면 된다. 


 문장 암기하기를 말하는 이유는 이를 통해서 재미있는 경험을 무척 많이 했기 때문이고 이와 같은 경험을 공유하고 싶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렇게만 이야기하면 문장 암기를 꼭 해야한다는 식으로 들릴 수 있을 것 같다. 그래서 우선 문장 형태의 암기로 시작된 나의 공부가 어떤 식으로 변화되었는지 미리 전체를 개괄하여 그 장단점을 미리 이야기하는 것이 좋겠다고 생각했다. 


 일단, 내가 문장으로 암기하게 된 이유와 과정, 그리고 최근의 고민과 결론을 요약하는 것이 좋을 것 같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문장 암기를 시작하게 된 이유는 우선, 가장 편하게 카드를 만들 수 있기 때문에 시작했다. 원하는 구절을 발췌해서 빈칸을 만들면 되기 때문이다. 그런데 실제로 하나의 주제나 내용들을 포괄하는 문장으로 암기를 하니 공부의 질적 체험이 보다 깊어지고 깊은 이해에 도달하는 느낌을 받을 수 있었다. 그 글을 쓴 사람의 생각이 손에 잡힐 듯이 느껴지는 체험이었기에 그 즐거움에 중독이 되었다. 암기가 조금 익숙해지고, 암기를 하면서 깊은 이해에 도달하는 것이 습관이 되면서 어느 순간부터는 조금이라도 난해한 글들은 이해하려하지 않고 일단 카드로 만들어서 암기하면서 이해하는 버릇이 생겼다. 입으로 문장을 수십번 곱씹으면서 그것을 말 그대로 몸으로 체득하는 것이다. 


 문장으로 암기하고 깊게 이해하는 것이 즐거웠지만, 실은 그만큼 정신적 에너지 소모도 많을 수밖에 없다. 또, 이젠 외워서 이해하는 것이 습관이 되다 보니 책을 보면서 이해하려고 하지 않고 카드로 만들기 바빴다. 그러다 보니 책을 통째로 외어버리는 상황이 반복되기 시작했다. 지식이 몸으로 체득되고 깊게 이해되는 그 자체의 경험은 재미있지만 솔직히 시간과 에너지를 너무 많이 잡아먹는다. 암기와 학습이 쉬워지면서 배우고 익히고 싶은 것이 너무 많은데 진도가 너무 더디게 나가니 이에 대한 대책을 세울 필요가 생겼다. 


 첫 번째 대책은 문장을 요약하고 글자의 수를 줄이는 것이었다. 글자의 개수가 많을 수록 정신적 스트레스와 많은 에너지가 소모되었기 때문이고, 한정된 글자에 최대한 많은 정보를 꾹꾹 눌러 담아 효율을 추구하기 위함이었다. 


 두 번째 대책은 카드의 개수를 줄이는 것이었다. 이것은 암기를 하면서 스스로의 암기 패턴을 알게 되면서 가능해졌다. 처음 Anki를 시작할 때는 문장 암기를 할 수 없을 것 같아서 정말 많은 카드를 만들어해 해당 문장을 반복에 반복하였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가면서 적당한 분량과 회수가 어느 정도인지 조금씩 알 것 같게 되었기 때문이다. 


 마지막은 제대로된 질의-응답 형식의 카드를 다시 만드는 것이었다. 질의-응답 카드는 만들기도 어렵고, 기계적 암기에 빠지기 쉬우며, 지나치게 단순한 정보만 전달한다는 단점에 대해서 말한 바 있다. 그래서 실제 만들 때도 기본(Basic) 노트로 만들지 않는다. 오히려 빈칸 만들기(Cloze Deletion)으로 다음과 같이 단순한 질의-응답 카드를 만든다. 


 즉, 다음과 같이 단순하고 명확한 지식의 나열을 만들고 이를 빈칸으로 만들어 필요한 만큼 카드를 만든다. 


가령, 다음과 같이 외울 내용을 정리한다. 

    

멕시코의 수도 - 멕시코 시티


이를 빈칸 만들기(Cloze Deletion) 형식의 노트로 간단하게 만들어낸다.

    

노트

{{c1::멕시코}}{{c2::수도}} - {{c3::멕시코 시티}}


그러면 다음과 같은 3개의 카드가 만들어진다. 

    

Q: [...]의 수도 - 멕시코 시티

A: 멕시코의 수도 - 멕시코 시티


Q: 멕시코의 [...] - 멕시코 시티

A: 멕시코의 수도 - 멕시코 시티


Q: 멕시코의 수도 - [...]

A: 멕시코의 수도 - 멕시코 시티


 핵심은 완결된 지식의 체계를 최대한 단순하게 최소의 글자로 만들어 내는 것이다. 이렇게 하면 기계적 암기가 되어도 필요한 항목을 전부 기계적으로 암기하기 때문에 문장 암기와 비슷한 효과를 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익숙해지면 전체 지식의 체계가 머릿속으로 나열되어 버리게 된다. 그리고 문장 암기와는 달리 카드가 많아져도 큰 부담이 되지 않는다. 한 번 익숙해지면 한 개의 카드를 넘기는데 걸리는 시간은 0.5초 이내일 것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개인적인 경험이지만 이렇게 단순한 카드로 만들면 학습할 때 상쾌함이 돈다. 그야말로 빠르게 카드가 넘어가기 때문에 그 수월함이 자신감과 성취감으로 연결되기 때문이다.


 이렇게 단순하게 카드를 만드는 것의 단점은 지식을 머리로만 익히기 때문에 깊은 이해와 체득이 잘 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나도 처음에는 그런 점이 불안했다. 하지만 남이 제시한 카드가 아니라 스스로 공부할 카드를 만들었다면 그건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 재미있게도 스스로 카드를 만들었다면 그 내용이 단순하고 드라이하더라도 암기를 하기 위하여 카드를 만들었던 상황과 전체적인 내용이 무척 생생하게 같이 떠오르기 때문이다. 즉, 가장 단순하고 명확한 것만 암기해도 전체가 모두 떠오르는 것이다. 이는 하나의 키워드만 주어지면 당시의 상황이 전부 떠오르는 키워드 암기와 비슷한 효과를 보여준다. 물론, 그런 효과를 누리려면 스스로 요약하고 정리해야 한다. 


 결론적으로 내가 현재 사용하는 카드 만드는 방법은 너무 감명 깊은 문장이나, 전체를 꿰뚫는 미묘함을 담은 핵심적인 문장 1~2개만 요약해서 문장 형태로 암기하고 나머지는 최대한 단순화된 질의-응답 형식의 단순한 카드로 암기하는 것이다. 


 여기까지가 문장 암기에서 출발해서 이러저러한 시행착오를 겪으면서 최근에 도달한 결론이다. 어찌 보면 암기를 계속 하면서 내 암기 능력이 어느 정도인지 견적이 나오면서 그 동안 과도하게 많았던 반복 학습량을 더 효율적으로 가다듬을 수 있게 되었던 것 같다. 그리고 그 암기의 능력이라는 것은 문장 암기를 하면서 깨닫게 된 것들이다. 이제 다음에는 이 문장암기를 하면서 겪었던 일화에 대해서 이야기 해보겠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