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철에 꾸벅꾸벅 졸면서 앉아있는 나이 먹은 아저씨가 보인다. 조금 늦은 시간에 지하철을 타면 항상 볼 수 있는 삶에 무게를 버티다가 잠시 쉬고 있는 사람의 모습이다. 그런데 그날에는 유난히 아저씨의 코가 보인다. 살짝 기름이 배여서 광택이 흐르고 맑게 빛난다. 기름이 맑아서인지 피부색이 그대로 투과되어 조금 노란색으로 보인다. 그 때 허영만 화백의 “꼴”에서 봤던 내용이 떠올랐다. 코에서 황색의 상서로운 광택이 있으면 금전이 들어온다는 내용이었다. 그 때는 상서로운 기운이 뭐야? 라고 웃으면서 지나갔는데 이 아저씨의 코의 광택을 보니 바로 상서롭다는 생각이 든다. 오늘 이 아저씨에게 좋은 일이 있었는지 모르겠다. 

          

이 순간 떠오른 것은 허영만 화백의 “꼴” 뿐만은 아니다. 한문에서 自(스스로 자)자가 자기 자신을 가리키는 글자이면서 실제로는 코를 형상화한 상형자(象形字)라는 점도 같이 떠올랐다. 그래서 관상에서 말하는 코에 나타난 징후로 자기 자신을 살핀다고 한 것은 관상가들이 발견한 것이 아니라 그저 전통적인 생각을 좀 더 심화시켰을 뿐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즉, 한자 문화권의 뿌리부터 코를 그 사람의 자신으로 봐왔기에 “콧대가 높다.”, “코를 납작하게 만들어 주었다.” 라는 표현들이 흔하게 사용되었고 관상은 그저 그 전통을 신뢰하고 이를 좀 더 세분화하고 술수화한 것에 불과하다는 생각이 든 것이다.

         

한 번 터진 생각은 봇물처럼 이어지고 기억을 들추어내 사실들을 꿰기 시작한다. 암으로 투병하시던 분이 코가 얽어서 생기를 잃고 쭈글쭈글하게 수축된 것이 떠오른다. 면접관의 자신만만한 미소 가운데 광택을 내며 빛나던 코도 떠오른다. 한자문화권과 무슨 관계인지 모르겠지만 여전히 코를 사람의 자신감과 연관지어 생각하는 버릇이 있다는 것도 떠올랐다. 어쩌면 관상이 완전히 거짓말은 아닐지도 모른다. 원래, 전통적으로 전해 내려오는 내용들을 오류가 많이 섞인 관찰 결과로 생각하기 때문에 오류를 가려내면 나름 쓸만한 정보의 원천으로 쓸 수 있다고 생각하는 주의이기 때문에 코를 자신감이나 자존감과 연관관계가 있다는 식으로 설명할 수 있는 많은 논리들이 떠오른다. 인간의 몸이란 매우 합리적인 것 같지만 굉장히 오래된 원시적인 체계도 같이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코에서 자기 자신의 징후가 나타난다고 하는 것을 완전히 부정할 수는 없겠다는 생각이 든다. 그 뒤로 내 자신의 코를 관찰하여 나의 상태를 계속 연동해서 관찰해보기 시작했다. 

               

허영만 화백의 “꼴”을 본 것은 이 경험을 하기 2년 전쯤이었다. 당시에는 나름 유행하는 컨텐츠여서 봤을 뿐이다. 재미있게 보았지만 그렇다고 진지하게 본 것은 아니고 이미 까맣게 잊고 있었는데 갑자기 2년만에 관련 지식이 나타나 활동을 시작하고 있는 것이다. 당연히 한 번 스쳐지나가면서 본 것이기 때문에 정확하게 기억하고 있는 지식도 아니었다. 나중에 살펴보니 조금 다르게 기억하고 있는 내용도 상당했다. 하지만 이 순간부터 어설프게 관상을 볼 수 있었다. 만화책 한 번 보고 관상을 볼 수 있다고 스스로 자신하는 부분이 제일 신기했다.

             

아는 것도 없는데 갑자기 스스로 관상을 볼 수 있다고 자신하는 것이 너무 신기해서 이 부분을 조금 깊게 고찰해보았다. 관상가들은 기본적으로 얼굴지도라는 것을 사용한다. 즉, 재물은 콧방울을 보고 배우자는 입술을 보는 식이다. 그리고 나이에 따라서 반응하는 얼굴 부위가 있다. 이 가장 기본이자 중요한 얼굴지도도 모르고 관련 용어를 하나도 모르니 실제 관성을 볼 수 있을리가 없다. 하지만 아저씨의 코를 보면서 상서롭다고 생각한 순간부터 얼굴에 나타나는 징후가 상서로운 것인지 불행한 것인지 느낄 수 있다는 확신이 생긴 것이다. 그러니 얼굴을 보고 상서롭다고 느끼면 관상이 좋은 것이고 불길하다고 느낀다면 관상이 좋지 않은 것 아니겠는가? 이 상황에서 얼굴 지도만 암기하면 이 느낌을 구체적으로 풀 수 있으니 관상이 완성되는 셈이다. 하지만 밑도 끝도 없이 생겨난 자신감을 믿고 관상을 볼 수는 없었다. 자신감이 상당해도 머리는 끊임없이 위험신호를 내고 있었기 때문이다. 결국, 스스로 어떻게 관상을 보나 의심하고 계속 관찰할 수밖에 없었다. 결국, 내가 보는 것이 관상이 아니라 내 마음 내키는대로 보는 것이라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그 날의 기분에 따라서 그리고 상대에 대한 선입견과 미모에 따라서 마음껏 날조하는 스스로를 발견할 따름이었다.

            

이 관상 보는 경험과 같이 갑자기 알아지는 경험은 처음이 아니다. 나름 상당히 많은 책을 읽는 편이지만 깊고 자세하게 책을 보지 않고 그 내용을 정확하게 기억하지도 않는다. 그저 흥미로운 주제를 다루는 내용을 한번 주마간산식으로 맛만 보고 정말 필요한 책만 다시 읽는 방식으로 책을 읽는다. 그런데 이렇게 주마간산식으로 읽은 책들이 대략 2년 정도 지나면 다시 수면 위로 떠오르는 경우가 종종 있다. 책을 읽을 당시에는 별다른 감흥도 없고 아무 생각도 없이 덮은 책들인데 2년 후에 종종 떠오르는 것이다. 그 기간은 신기하게도 항상 2년 정도이다. 

         

책에서만 그런 것은 아니다. 소개팅에서 만난 사람의 이해하지 못했던 어떤 행동, 누군가의 조언, 당시의 이상했던 상황 같은 것도 2년 후에 갑자기 알아지게 된다. 게다가 이런 경험의 특이한 점은 그냥 깨달아지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할 수 있다는 자기 확신이 같이 생기고, 실제로 자주 사용할 수 있도록 몸에 장착되는 수준으로 체득되어 버린다는 것이다. 관상이 떠오르면서 그 때부터 관상을 볼 수 있다고 스스로 믿는 경우처럼 말이다. 이런 경험을 할 때마다 사람들이 이렇게 돌팔이가 되는가보다 생각했다.

           

이런 뜬금없는 지식의 각성 경험과 같이 고려해볼 만한 경험이 있다. 그것은 입이 말하는 경험이다. 사람들과 이야기를 하다 보면 나도 모르는 이야기들이 마구마구 튀어나온다. 이런 경험이 하도 많아서 말은 입으로 하는 것이지 머리로 하는 것이 아니라는 생각을 갖게 할 정도로 입에서 튀어나오는 것은 너무나 많다. 앞서의 경우처럼 갑자기 알아지는 것은 아니지만 말을 하다보면 기억에서 까맣게 잊고 있었던 온갖 경험과 생각, 책에서 읽은 내용들이 튀어나온다. 생각을 하면서 나오는 것이 아니다. 이런 이야기를 해야지 머리로 생각하고 나오는 말이 아니라 그냥 입에서 튀어나온다. 그리고 머리는 그 말을 들으면서 필사적으로 잘못된 점이 없는지 생각하느라 정신없다. 말이 다 끝난 다음에는 무슨 이야기를 했는지 다시 스스로 복기해야만 기억을 유지할 수 있다. 물론, 나중에 찾아보면 상당 부분 틀리고 왜곡된 것들이 많다.

             

어린 시절에는 “무의식은 모든 것을 기억한다.”라는 말을 믿었기에 말을 하다보면 무의식에 저장된 기억을 끌어다 쓰는 것이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이러한 설명은 실은 아무런 효용이 없는 설명이다. “온 우주가 알고 있어.”, “모든 것은 신의 뜻이야.”라는 말처럼 항상 이유를 찾는 우리의 정신을 다독일 수는 있지만 그 이상 나아갈 수 없기 때문이다. 가령, 2년 전에 경험한 지식과 내용은 허영만 화백의 “꼴”만 있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어설프게나마 지식 각성이 가지는 몇 가지 특성을 정리해보았다.


일단, 2년이 지난 것이어야 한다는 점이었다. 그렇다면 2년 내에는 새롭게 알아지는 것이 없는가? 그렇지는 않다. 하지만 그렇게 새롭게 알아지는 것들은 어떤 경이로움 없이 그냥 자연스럽게 알아진다. 즉, 2년 정도 지난 지식을 갑자기 알게되는 경험은 마치 계시를 받듯이 확 알아지는 경험으로 확연한 변화와 각성의 느낌을 받는다. 하지만 일상적인 새로운 지식을 알아지는 경험은 최근 자판기 커피의 가격이 300원에서 400원으로 인상되었다는 것을 안 것처럼 별다를 것 없는 경험이다. 

            

두 번째는 의외성이다. 모든 경험이나 지식이 2년 내에 갑자기 알아지는 것이 아니. 어떤 기준에 의해서 선택되는지는 모르겠지만 일단, 관심에서 완전히 멀어진 의외의 내용인 경우가 많았다. 하지만 이런 경험이나 지식이 2년 만에 알아질 때는 갑자기 주위의 모든 것을 뜬금없이 그 방향으로 해석하기 시작하는 것 같았다. 가령, 몸을 가누지 못할 정도로 취한 여자가 지하철 봉을 잡고 있다가 밀어내면서 넘어지는 것을 보고 떠올린 것은 바디랭귀지에서 “사람이 싫어하는 것에 대해서 이야기할 때는 그 것으로부터 거리를 두려고 한다.”라는 점이었다. 위에서 언급한 ‘아저씨의 코’처럼 무척 뜬금없이 과거에 읽었던 바디랭귀지 책을 다 떠올리게 되었다. 즉, 현실에 영향을 받는 부분도 없진 않겠지만 이미 내부적으로 완전한 체계를 갖추고 나타날 준비가 완료되어 현실의 사소한 유사성만으로도 격발되는 것 같다는 느낌을 받았다. 

      

세 번째는 정확하지 않다는 것이다. 무슨 “무의식이 모든 것을 안다.” 식의 가설을 적용되기에는 이 무의식은 지나치게 오류가 많았다. 엄청난 확신과 자신감 그리고 세상의 모든 것을 알 것 같은 느낌을 주면서도 잘 살펴보면 온갖 잡동사니가 어우러져 때로는 기괴한 체계를 형성한다. 과거의 경험은 왜곡되어있고 지식은 잘못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그것을 확인하고 오류를 수정해도 결론이 전혀 바뀌지 않는다는 점이 신기하다. 즉, 나는 스스로 완전 돌팔이임을 알면서도 여전히 관상을 볼 수 있다고 믿고 있다.

         

지식이나 경험이 2년이라는 기간을 지나서 다시 지하수가 용출되듯이 나오는 것을 보면서 어떻게 이것이 가능할까 고민해보지 않을 수 없었다. 특히, 시간이 지나면서 지식이 숙성한다는 면에서 어떤 知의 원형을 가지고 있다는 플라톤식 사고방식이나 합리적이고 논리적인 이성을 갖추고 있다는 계몽주의적 사고방식은 당연히 부정할 수밖에 없다. 모든 정보가 정보 그 자체로 사람의 머릿속에 들어오는 것이 아니라 그 사람의 환경과 준비, 그리고 앞으로의 상황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이고 그 확실성을 담보할 수 없기 때문이다. 또한, 무의식을 들먹이는 것도 좋아하지 않게 되었다. 무의식은 2년마다 올라오는 각성 경험을 설명해주지 못하기 때문이기도 하고 그 각성된 지식의 오류가 너무 많기 때문이다. 

     

결국, 나는 이것을 신경 세포인 뉴런(neuron)과 연계해서 생각하기 시작했다. 우리의 고결한 영혼이나 합리적이고 논리적인 이성으로는 이렇게 관찰된 것들을 설명하기 어려웠기 때문이다. 반면, 뉴런은 무척 비합리적이고 패턴 순응적이어서 개인의 모순적인 행동이나 일관되지 못한 믿음들을 설명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수정: 2019/01/17 PM 3:16  문구 및 제목(전편→01) 수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