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m에서 기준이 되는 모드는 명령(command) 모드이다. vim은 명령 모드에서 단축키로 빠르게 대부분의 일을 처리하지만 단축키로는 복잡한 명령을 내리는데 한계가 있기 때문에 복잡한 명령을 내릴 방법이 별도의 방법이 필요하다. 그 방법으로 vim명령 라인에 복잡한 명령을 직접 입력하는 방식을 선택했다.


명령 모드에서 콜론(:), 슬래쉬(/), 물음표(?) 키를 누르면 아래의 명령 라인에 명령어를 입력할 수 있게 된다아래의 사진은 명령 모드에서 콜론(:) 키를 누른 것으로 가장 하단에 콜론(:)이 입력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후에 눌려지는 키는 계속 그 줄에 입력이 되므로 명령 라인에 명령어를 입력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콜론(:)이 입력된 행(Row)을 명령 라인이라고 부른다. 명령 라인을 사용할 수 있는 상태를 명령라인 모드, Ex 모드 등으로 부르기도 한다.

 



앞서 본 vim  종료 명령도 이 명령 라인에 :q!를 입력한 것이다. 


:q!


슬래쉬(/) 키나 물음표(?) 키를 누르면 콜론(:)키와 마찬가지로 명령 라인에 슬래쉬(/) 키나 물음표(?) 키가 입력되면서 명령 라인을 사용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슬래쉬(/) 키나 물음표(?) 키를 누른 후 찾으려는 패턴을 입력하면 패턴이 나오는 곳으로 커서가 이동하는데 슬래쉬(/) 키는 정방향(문서의 아래 방향) 탐색, 물음표(?) 키는 역방향(문서의 위 방향) 탐색이다슬래쉬(/) 키와 물음표(?)에 의한 탐색은 후에 패턴을 지정하는 정규 표현식(Regular Expression)과 함께 다시 논의하기로 한다.

 

명령 라인은 대부분 콜론(:) 키를 이용하여 vim 설정 명령, 파일 관련 명령편집기 명령 등 다양하고 복잡한 명령을 입력하는데 사용한다. 

 

명령 라인에서 다시 명령 모드로 돌아오려면 Esc 키를 누르면 된다. 물론, 명령어를 명령 라인에 입력하고 Enter를 치면 명령을 실행하고 명령 모드로 돌아온다.


팁: Esc 키는 키보드에서 조금 누르기 힘든 위치에 있다. 그래서 이것을 대체하는 키가 있는데 그것이 바로 <Ctrl+[> 키다. (< >로 묶인 키는 동시에 누른다. , Ctrl 키를 누른 상태에서 [ 키를 누른다.)



본 포스팅의 내용을 갈무리 하기 위한 Anki 파일입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003 명령 라인(명령줄).apkg


<부수한자 네글자 037: 艸(풀 초), 行(다닐 행), 角(뿔 각), 見(볼 견)>



부수한자 214개 전체 자료실 페이지 가기


 艸(艹) (풀 초)


풀들이 여기저기 돋아나 있는 모양을 형상화


부수로써 의미 : 식물, 풀


艹(초두머리)라고 불리기도 함


 (다닐 행)


사방으로 갈라진 사거리를 형상화하여 사거리를 다닌다라는 의미를 나타냄


부수로써 의미 : 사거리, 움직이다


 (뿔 각)


뾰족하게 튀어나온 소의 뿔과 그 무늬를 형상화


부수로써 의미 : 모서리, 뿔


 (볼 견)


눈을 의미하는 目(눈 목)과 사람이 무릎 꿇고 앉아 있는 儿(어진 사람 인)이 결합되어 '본다' 라는 의미를 나타냄


부수로써 의미 : 보다, 의견



 Anki 학습파일


Anki 학습파일은 아래와 같이 한자와 독음만 간단하게 암기할 수 있는 한자연습글자의 생성원리나 부수의 의미 기타 사항 등을 공부하는 심화학습의 2종류로 나누어 첨부했습니다. 


부수한자연습_037.apkg


부수한자심화학습_037.apkg



부수한자 214개 전체 자료실 페이지 가기



<부수한자 네글자 036: 舟(배 주), 竹(대 죽), 至(이를 지), 舛(어그러질 천)>



부수한자 214개 전체 자료실 페이지 가기


 (배 주)


통나무 가운데를 파내 만든 조그마한 나룻배의 모양을 형상화


부수로써 의미 : 배나 비행기 관련


 (대 죽)


길게 자란 대줄기이파리의 모양을 형상화


부수로써 의미 : 대나무의 종류, 대나무로 만든 용구(서류, 종이, 책, 피리)


 (이를 지)


화살이 하늘에서 날아와 땅에 박힌 모양을 형상화


부수로써 의미 : 장소, 이르다


 (어그러질 천)


서로 반대로 등지고 있는 양쪽 발의 모양을 형상화하여 '반대하다', '어긋나다', '배반하다' 등의 뜻으로 쓰임


부수로써 의미 : 발, 걷다, 춤추다



 Anki 학습파일


Anki 학습파일은 아래와 같이 한자와 독음만 간단하게 암기할 수 있는 한자연습글자의 생성원리나 부수의 의미 기타 사항 등을 공부하는 심화학습의 2종류로 나누어 첨부했습니다. 


부수한자연습_036.apkg


부수한자심화학습_036.apkg



부수한자 214개 전체 자료실 페이지 가기

<부수한자 네글자 035: 衣(옷 의), 而(말 이을 이), 耳(귀 이), 自(스스로 자)>



부수한자 214개 전체 자료실 페이지 가기


 衣(衤) (옷 의)


옷깃과 소매를 가진 윗도리를 형상화


부수로써 의미 :


 (말 이을 이)


콧수염이나 턱수염을 형상화한 글자로 후대에 가차(假借)되어 인칭대명사인 '' 또는 말을 잇는 접속사로 사용됨


부수로써 의미 : 글자를 분류하는 기준으로 주로 사용됨


 (귀 이)


사람의 귀를 형상화한 글자이고 가차(假借)되어 '~뿐이다' 라는 한정의 의미로도 사용됨


부수로써 의미 : 귀, 듣는 것


 (스스로 자)


사람의 코를 형상화하였고 의미가 확대되어 '자신, 스스로'라는 의미로 변화됨


부수로써 의미 : 코, 냄새, 자기


 Anki 학습파일


Anki 학습파일은 아래와 같이 한자와 독음만 간단하게 암기할 수 있는 한자연습글자의 생성원리나 부수의 의미 기타 사항 등을 공부하는 심화학습의 2종류로 나누어 첨부했습니다. 


부수한자연습_035.apkg


부수한자심화학습_035.apkg



부수한자 214개 전체 자료실 페이지 가기

vim이 좋다는 사실에 동의하지만, 시간도 부족하고 그걸 다시 익히는 지난한 과정을 생각하면 선뜻 손이 가지 않는 사람들이 많을 것이다. 


바쁘게 사는 현대인들 중에 vim을 붙잡고 단축키를 외울 여유가 있는 사람이 얼마나 되겠는가?


그런데, 약간 오해가 있는 것 같다.


vim일반적인 텍스트 에디터처럼 글을 작성하고 편집하는 수준에 오르는데는 그리 많은 시간이 필요하지 않다


이 부분에서는 마치 vim의 모든 단축키를 외우고 이를 활용할 수 있어야만 vim이 사용가능하다는 식의 오해가 있는 것 같다. 


물론, 수많은 단축키와 명령어들을 알면 알수록 vim을 보다 빠르고 효율적인 작업이 가능하다. 


하지만 그런 단축키와 명령어들을 모른다고 해서 보통 사람들이 처음 텍스트 에디터를 더듬거리면서 조작하는 초보적인 수준의 에디터 사용이 불가능한 것은 아니다. 


이런 초보적인 수준의 vim 사용이 가능해지는데 도움을 주는 것이 바로 vim 튜토리얼이다. 


보통, vim을 설치하면 vimtutor라는 프로그램이 같이 설치되는데, 바로 이 vimtutorvim튜토리얼이다. 


프롬프트에서 다음과 같이 명령어를 작성하고 [Enter]를 친다.


$ vimtutor


그러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온다. 




vim 튜토리얼은 어떤 키를 누르고 어떤 행위를 할 것이지 하나하나 친절하게 가르쳐주고 있어서 그대로 읽고 따라하다 보면 25~30분 정도 후 vim일반적인 텍스트 에디터 수준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본인도 vim을 사용하면서 처음 한번은 포기했는데, 이미 익숙한 방식과 vim의 방식이 서로 혼동되면서 불편해졌기 때문이다. 그리고 단순히 단축키를 외우는 것 만으로는 vim에 익숙해지는 것이 매우 어려웠다. 


하지만 vimtutor를 통해 실습을 하면서 몸에 익게되면서 어느 정도 사용이 가능해지게 되면서 조금 편안해지게 되었다. 


역시, 뭐든지 우선 몸이 익숙해지는 과정이 반드시 필요한 것 같다.

vi는 1976년에 태어난 에디터이다. 


마우스는 아직 만들어지지 않았고 모든 것을 키보드 위의 자판만을 이용해서 에디터를 조작해야 하는 시절이었다. 


그런데 키보드의 자판은 대부분 글자를 입력하는데 사용되어야 하니 자판을 타이핑 외 다른 조작에 사용하려면 별도의 명령 모드(command mode)를 만들 수밖에 없다.


그래서 vi명령(command) 모드와 타이핑으로 글자를 입력하는 편집(insert)모드를 갖고 있는 것이고 오늘날까지 이어져  vim도 동일한 모드를 갖고 있게 된 것이다.


우선, vim을 실행해보자. vim이 설치되어 있다면 다음과 같이 명령하여 실행한다. 


$ vim


다음과 같은 화면이 보인다. 




이 화면에서 여러 키를 눌러보면 자판이 입력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왜냐하면 현재, vim명령 모드이기 때문이다. 


타이핑을 하고 싶다면 키보드에서 i 키를 눌러 편집 모드로 들어간다.


'끼워넣기' 또는 'insert' 표시가 나타나면 편집 모드에 들어온 것이다. 


이 상태에서 "Hello everyone!  :D" 라고 타이핑 한 것이 아래의 화면이다. 



타이핑이 끝나면 [Esc] 키를 눌러 다시 명령 모드로 돌아온다.


이제 vim을 종료해야 한다. 명령 모드에서 다음과 같이 :q!를 입력한다.


:q!



그러면 화면 하단의 가장 마지막 줄에 동일한 명령어가 입력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enter]를 눌러 명령어를 입력하면 vim이 종료된다.



vim명령 모드표준으로 채용하고 있다. 왜냐하면 실제로 vim을 사용해보면 커서의 이동같은 사소한 행위부터 다른 파일을 병합하고 셸 명령을 실행시키는 일까지 대부분의 작업이 명령 모드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오히려 타이핑으로 글자를 입력하는 작업은 생각외로 많지 않다. 그래서 모든 작업을 명령 모드에서 수행하다가 필요할 때마다 잠깐씩 편집 모드로 들어가서 입력하고 다시 명령모드로 돌아와서 작업하는 식으로 일이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다. 아마도 이런 모드 전환을 하는 방식에서 vim을 처음 사용하는 사람들이 크게 이질감을 느끼고 익히기를 포기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한다. 


나중에라도 간단하게 기억을 환기시키기 위하여 Anki 파일을 만들었으니 이용하고 싶으신 분은 다운로드 하시면 됩니다. 


001 vim의 모드.apkg


<부수한자 네글자 029: 皮(가죽 피), 疋(발 소), 玄(검을 현), 穴(구멍 혈)>



부수한자 214개 전체 자료실 페이지 가기




 (가죽 피)


짐승의 가죽을 손(又)으로 벗기는 모양을 형상화


부수로써 의미 : 가죽, 옷, 피부


 (발 소)


무릎 아래의 종아리에서 발까지의 모양을 형상화


부수로써 의미 : 발, 걷다


가차되어 匹(짝 필)과 동일하게 사용되었기 때문에 ‘’이라고도 읽는다


 (검을 현)


너무 가늘어서 실이 잘 보이지 않거나 덮개를 덮어 어둡다는 의미를 나타냄


부수로써 의미 : 검다, 아득하다, 그윽하다, 멀다


 (구멍 혈)


宀(집 면)八(여덟 팔)이 결합하여, 구멍(움)을 파고 방을 만들어 집처럼 만든 '구멍'이나 ''의 의미를 나타냄


부수로써 의미 : 구멍, 굴



 Anki 학습파일


Anki 학습파일은 아래와 같이 한자와 독음만 간단하게 암기할 수 있는 한자연습글자의 생성원리나 부수의 의미 기타 사항 등을 공부하는 심화학습의 2종류로 나누어 첨부했습니다. 


부수한자연습_029.apkg


부수한자심화학습_029.apkg



부수한자 214개 전체 자료실 페이지 가기



<부수한자 네글자 028: 瓦(기와 와), 用(쓸 용), 禸(짐승 발자국 유), 田(밭 전)>



부수한자 214개 전체 자료실 페이지 가기



 (기와 와)


기와가 겹겹이 포개져 있는 모양을 형상화


부수로써 의미 : 기와, 토기


 (쓸 용)


卜(점칠 복)과 中(가운데 중)을 합한 글자점을 쳐서 맞으면 반드시 시행한다는 의미에서 '쓰다'라는 의미로 사용됨


부수로써 의미 : 특정 의미로 사용되지 않고 종종 발음기호로 사용됨


 禸 (짐승 발자국 유)


짐승의 발자국을 형상화한 글자로 '발자국'을 의미함


부수로써 의미 : 짐승의 발자국


 (밭 전)


도랑이나 길로 구획지워진 밭이나 그물의 모양을 형상화하여 ''이나 '수렵지'를 의미함


부수로써 의미 : 농사, 농지, 사냥



 Anki 학습파일


Anki 학습파일은 아래와 같이 한자와 독음만 간단하게 암기할 수 있는 한자연습글자의 생성원리나 부수의 의미 기타 사항 등을 공부하는 심화학습의 2종류로 나누어 첨부했습니다. 


부수한자연습_028.apkg


부수한자심화학습_028.apkg



부수한자 214개 전체 자료실 페이지 가기



<부수한자 네글자 027: 石(돌 석), 矢(화살 시), 示(보일 시), 玉(구슬 옥)>



부수한자 214개 전체 자료실 페이지 가기



 (돌 석)


모서리가 날카로운 돌의 모습을 형상화


부수로써 의미 : 돌의 종류나 상태, 돌로 만든 물건, 광석


 (화살 시)


가장 위부터 차례로 화살의 촉, 화살의 대, 화살의 날개로 이루어진 화살의 모양을 형상화


부수로써 의미 : 화살


 示(礻) (보일 시)


제사를 지내기 위해 음식을 올려놓은 제단의 모양을 형상화


부수로써 의미 : 제사, 귀신, 인간의 길흉화복


示(보일 시)글자의 왼쪽(변)에 쓰일 때 변형된 형태가 礻(보일 시)


 玉(王) (구슬 옥)


옥돌을 꿰어 놓은 형태를 묘사한 것이 인데 후에 이 글자가 왕을 의미하게 되면서 이와 구분하기 위해 점을 찍어 玉(구슬 옥)이 됨


부수로써 의미 : 구슬, 옥, 귀함


 Anki 학습파일


Anki 학습파일은 아래와 같이 한자와 독음만 간단하게 암기할 수 있는 한자연습글자의 생성원리나 부수의 의미 기타 사항 등을 공부하는 심화학습의 2종류로 나누어 첨부했습니다. 


부수한자연습_027.apkg


부수한자심화학습_027.apkg



부수한자 214개 전체 자료실 페이지 가기



<부수한자 네글자 026: 目(눈 목), 癶(등질 발), 白(흰 백), 生(날 생)>



부수한자 214개 전체 자료실 페이지 가기




 (눈 목)


눈의 모습 형상화하여 세로로 세움(그래서 가끔씩 원래대로 눕혀서 쓰이는 경우가 있음)


부수로써 의미 : 눈과 관련된 동작, 보는 것


 (등질 발)


오른발과 왼발이 서로 등지고 있는 모양에서 '등지다', '나아가기 어렵다'라는 의미를 갖게 되었고 , 발을 형상화한 점에서 '걷다'라는 의미까지 확대됨


부수로써 의미 : 발의 동작이나 상태 등과 관련된 의미


發(필 발)머리라서 통칭 ‘필발머리’라고 불린다.


 (흰 백)


촛불의 심지가 타는 모양을 형상화하여 '밝다'라는 의미를 갖게 되었고 이어서 '희다'라는 의미로 확장됨


부수로써 의미 : 밝다, 희다, 으뜸


 (날 생)


땅에서 풀이 나오는 모양을 형상화


부수로써 의미 : 나다, 출산, 생명



 Anki 학습파일


Anki 학습파일은 아래와 같이 한자와 독음만 간단하게 암기할 수 있는 한자연습글자의 생성원리나 부수의 의미 기타 사항 등을 공부하는 심화학습의 2종류로 나누어 첨부했습니다. 


부수한자연습_026.apkg


부수한자심화학습_026.apkg



부수한자 214개 전체 자료실 페이지 가기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