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를 사파(邪派)식으로 깨닫다.


초등학교 5학년 여름 중간고사에서 들은 친구의 한마디는 머릿속에서 천지개벽을 일으켰다. 모든 것이 모호하고 어떤 일에 대해서 파편화된 지식과 감상이 있지만 이것이 무엇인지 규정하기 어려운 그런 상황이 있다. 그리고 그 때의 나는 스스로 무엇을 모르는지도 모르는 상황이었다. 하지만 순간순간 많은 궁금증들이 스쳐지나가긴 했다. , 수업을 하지 않는 체육에서 이론 문제가 나오는가? 선생님이 말하지 않은 내용들이 왜 시험문제에 나오는가? 다른 친구들과 나는 왜 성적이 다르게 나오는가? 이런 질문들이 나타날 때마다 그것을 열심히 파고들었다면 좋은 결과를 얻었겠지만 아쉽게도 그저 스쳐지나가는 궁금증들에 불과할 뿐 궁금증을 해결하기 위해서 노력해봐야겠다는 생각을 하진 못했다.

 

그리고 책에 나오잖아라는 친구의 한 마디는 이 모든 것을 하나로 꿰는 마지막 한 조각이었다. 정말, 한 순간에 모든 것이 이해가 되어버렸다. 다음이 그 때 내가 이해한 것들이었다.

 

학교에서 교과서를 주는 이유를 몰랐다. 그저 무겁고, 읽어보면 좋을 것 같은 내용들이 있었지만 이것을 어떻게 연결시킬 수 없었다. 그런데 그 한마디로 교과서의 용도가 무엇인지 깨달았다. 선생님들은 교과서를 그냥 부연 설명하고 있을 뿐이었던 것이다. 선생님이 주가 되는 것이 아니라 교과서가 주가 되는 것이었다.

 

그렇다면 교과서를 공부한다는 것은 무엇인가? 사실, 이 부분은 지금 와서 생각해보면 굉장히 잘못된 생각이지만 대한민국의 현실에는 너무 적확하게 작동했다. 교과서를 공부한다는 것은 상대방이 교과서를 기반으로 문제를 내면 그 문제를 맞추기 위한 것이었다. 그 방법이 어떻든 간에 교과서에서 낸 문제의 답은 그 교과서에 있는 내용이어야만 한다.

 

그렇다면 선생님들이 수업시간에 설명하는 것은 무엇인가? 선생님은 어차피 교과서에서만 시험문제를 낼 수밖에 없지만 그 중 어떤 시험문제를 낼 지는 선생님의 선택사항이다. 결국, 본인의 수업을 잘 듣는 아이들이 좋은 성적을 가질 수 있도록 시험문제를 어떻게 낼 것이라고 끊임없이 힌트를 말해주고 있는 것이다. 그래서 선생님의 수업을 잘 듣고 메모를 하면 그 부분만 공부를 해도 100점 만점에 80점 이상은 나온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 80점인가? 시험문제를 하나의 선생님이 내는 것이 아니라 여러 선생님이 같이 제출하는 경우가 많고, 어떤 선생님은 자신의 수업을 잘 들은 학생들 중에서도 더 잘하는 아이를 구별하기 위하여 일부러 자신이 가리키지 않은 부분에서 내기도 하고 단순히 심술을 부리기도 한다.

 

하지만 선생님들이 어떤 변덕을 부리든 간에 교과서 내에서만 시험을 내기 때문에 교과서에서 나올법한 내용들을 전부 알고 있으면 선생님의 수업 같은 것은 전혀 신경쓸 필요가 없게 된다.

 

그렇다면 어떻게 교과서를 공부해야 하는가? 그것은 간단하다. 문제를 내보면 된다. 친구를 하나 붙잡고 교과서를 보면서 문제 내기를 해서 더 많이 맞히는 쪽이 이기는 것으로 내기를 하자고 하면 공부 좀 하는 친구들은 대부분 한다고 한다. 그러면 교과서를 보면서 친구한테 문제를 내보는 것이다. 서로 내기에서 이기기 위해서 열심히 문제를 내다보면 어느 순간 바로 이런 것이 문제가 되어 나온다는 것을 알게 된다. 내기가 과열되면 과열될수록 더 열심히 교과서를 외우고 암기하게 된다. 문제는 더 치사해지고 교묘해진다. 그러다보면 이런 문제가 나오겠구나 하는 감각이 숙달되게 된다.

 

이 깨달음은 정말 컸다. 모든 조각이 모여서 완성된 지식을 갖춘 것은 그 때가 처음이었다. 이 때부터 이 체계는 스스로 성장하고 움직이기 시작했다. 자연스럽게 시험공부를 잘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 떠오르고 필요한 수단과 방법이 바로바로 떠오르게 되었다. 시험문제가 제출되는 원리와 그에 따른 대응 방법이 자연스럽게 이해가 되어버린 것이다. 아마도 처음으로 지식을 갖추는 것에 대한 필요성을 느끼기 시작한 시점이 아닌가 싶다. 그리고 처음으로 어떤 것을 이해한 경험이 아닐까 싶다.


물론, 이 경험은 마냥 좋은 것은 아니다. 위에 언급한 내가 깨달은 내용은 그야말로 시험공부에 한정된 생각이고 어떤 발전적인 양상을 갖추진 못했다. 지금이라면 이렇게 생각했을 것이다. 선생님의 수업은 선생님 본인이 생각하는 해당 과목의 개요이자 포인트이고 하나의 관점을 형성하고 있다고 말이다. 하지만 당시에는 오히려 선생님을 완전히 무시하게 되었다. 깨달음 이후에는 선생님이 진도를 뽑기 위하여 수업을 할 때 해당 수업을 들은 적이 단 한번도 없다. 어차피 교과서를 공부하는게 부차적인 선생님의 수업을 듣는 것보다 중요했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 깨달음의 두번째 문제는 공부를 시험을 보는 것으로 한정지은 것이다. 즉, 공부는 시험 때 하는 것이기 때문에 평소에는 전혀 공부를 하지 않았다. 그래서 모든 지식은 그저 시험을 보는데만 쓰여지고 그대로 소모되어 버렸다. 또, 시험을 보는 방식으로만 책을 보기 때문에 책을 축약하고 중심적인 생각을 파악하고 하는 공부의 가장 기본이 무시되어 버렸다. 오히려, 시험문제를 악의적으로 낼 것이라는 생각만 강해져서, 그리고 친구랑 내기에서 이기기 위해서 가장 지엽적이고 가장 알 필요 없고 파악하기 어려운 것을 찾는 식으로 공부해버리게 되었다. 결국, 이 공부 방식은 그저 시험에서 좋은 성적을 내기 위해서 암기하기 위한 공부일 뿐 그 이상의 아무런 효용이 없었다. 


그래서 나의 공부방식은 완전히 사파(邪派)인 것이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