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수한자 네글자 009: 工(장인 공), 廾(받들 공), 口(입 구), 囗(에워쌀 위)>
工 (장인 공)
곡식을 가루로 만들거나 흙을 다질 때 사용하는 ‘공이’의 모양을 형상화한 글자
부수로써 일하다, 만들다 라는 뜻을 가짐
형성자에서 음('공', '홍', '강')을 나타내는 성부(聲符)로 사용되는 경우도 많음
廾 (받들 공)
두 손을 모아 무엇을 받들고 있는 형상이거나 두 손을 맞잡은 모양을 형상화한 글자
부수로써 떠받들다, 두 손을 잡다 라는 뜻을 가짐
卄(스물 입)과 유사하여 밑스물이라고도 불림
口 (입 구)
벌어진 입의 모양을 형상화한 글자
부수로써 입, 소리, 말하다, 그릇, 출입구 라는 뜻을 가짐
임의의 물건이나 지역, 추상적인 어떤 것을 나타낼 때 사용한 둥근 모양이 네모난 모양으로 변하여 이 글자로 나타나는 경우도 많다
囗 (에워쌀 위)
사방을 빙 두른 모양을 형상화한 글자
부수로써 에우다, 지역, 울타리 라는 뜻을 가짐
國(나라 국)의 옛날 글자, '큰입구몸', '에운담'이라고도 부른다.
Anki 학습파일
Anki 학습파일은 아래와 같이 한자와 독음만 간단하게 암기할 수 있는 한자연습과 글자의 생성원리나 부수의 의미 기타 사항 등을 공부하는 심화학습의 2종류로 나누어 첨부했습니다.
'Anki로 공부하기 > 한문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수한자 네글자 011: 宀(집 면), 士(선비 사), 山(뫼 산), 彡(터럭 삼) (0) | 2018.03.16 |
---|---|
부수한자 네글자 010: 弓(활 궁), 己(몸 기), 女(여자 녀), 大(큰 대) (0) | 2018.03.14 |
부수한자 네글자 008: 匸(감출 혜), 干(방패 간), 巾(수건 건), 彐(돼지머리 계) (0) | 2018.03.10 |
부수한자 네글자 007: 入(들 입), 卩(병부 절), 八(여덟 팔), 勹(쌀 포) (0) | 2018.03.08 |
부수한자 네글자 006: 又(또 우), 二(두 이), 人(사람 인), 儿(어진 사람 인) (0) | 2018.03.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