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드라마 ‘닥터 하우스’는 각종 단서를 이용하여 병의 정체를 찾고 이를 치료하는 형식의 의학 추리 드라마다. 처음 이 드라마를 보고 주인공인 하우스의 캐릭터가 너무 재미있어서 거진 2년 정도 밤마다 이 드라마를 끊임없이 반복 시청하곤 했다. 너무 많이 봐서일까 자막을 보면서 시청했는데도 어느 순간부터 영어가 조금씩 들리는 듯 했다.


영어가 들리게 되는 것은 어쩌면 당연한 일이었던 것 같다. 이 드라마는 메디컬 추리 드라마였기 때문에 주로 질병과 그 질병의 원인이 핵심이었다. 그래서 어려운 영어 단어는 대부분 의학적인 전문 용어였고 그 외의 그리 많지 않은 일상적인 대화나 농담들은 매우 쉬운 영어가 사용되었다. 어차피 전문 의학용어의 학술적인 의미는 영어를 잘 모르는 나 뿐만 아니라 영어를 잘 아는 사람들도 비전문가로서 잘 알아들을 수 있는 단어가 아니다. 따라서 꼭 알아야할 이미지에 대해서는 드라마가 바이러스가 퍼지고 근육이 부러지는 등의 영상으로 표현해주므로 그냥 유추하는 수준으로 드라마를 보는데 전혀 지장이 되지 않는다. 그리고 드라마를 수십번 반복하여 시청하면서 등장인물의 캐릭터가 각인되었고 그 캐릭터들이 일상적으로 대충 어떻게 말하는지 대충 익숙해져 있었다. 그러니 슬슬 영어가 들리는 것 같은 느낌을 받는 것이 이상하진 않았다. 


영절하식 영어 공부에 영감을 받고 아무런 자막 스크립트 없이 미국 드라마를 시청해본 적이 있는데 그 답답함은 상상을 초월했다. 앞에서 펼쳐지는 풍경이 아무리 아름답고 장엄해도 미남미녀의 외모와 표정이 멋지고 섹시해도 솔직히 전혀 감정이입이 되지 않았고, 그저 딴나라 일이었다. 그것을 보는 것은 상상 외의 고역이었다. 그래서인지 시도할 때마다 아무것도 모르는 답답한 상태에 처하는 괴로움 속에 정신력이 완전 방전되고 탈진한 상태에 도달하게 되었고 그렇게 자제력이 떨어진 상태에서 다시 자막과 함께 드라마를 시청하면서 힐링하기 일쑤였다.


하지만 이번은 조금 다르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미 너무 많이 본 드라마에서도 더 많이 본 에피소드였고 그 스토리와 캐릭터가 이미 머릿속에 생생하게 살아 숨쉬고 있으니 이는 마치 지금까지 노래 가사를 보면서 불렀는데 이제 노래를 완전히 외운 것 같아 이번에는 가사를 보지 않고 불러봐야지 하는 정도로 쉽게 생각한 것이다. 당연히 자막 없이 보는데 큰 무리가 없을 것 같았다. 하지만 상황은 내 생각과는 조금 다르게 전개되었다. 


우선, 아무것도 모르던 상태에서 자막 없이 미국 드라마를 봤을 때 느꼈던 지나친 고역은 많이 경감되었다. 엄청나게 집중해서 보니 그래도 스토리의 흐름을 어찌어찌 가까스로 따라가지는 것 같았다. 하지만 정작 문제는 다른 것이었다. 그건 내가 좋아해서 그렇게 반복적으로 보던 그 드라마가 아니었다. 자막 없이 보니 안보이던 것이 자꾸 드러나기 시작했다. 배우의 대사와 그에 따른 몸짓, 떨리는 눈가와 확장된 동공 등 온갖 미묘한 것들이 눈에 보이기 시작했다. 그저 스토리상에 잘 짜여진 부속품처럼 여겨지던 조연과 엑스트라들이 갑자기 살아 숨쉬기 시작했다. 지나치게 많은 디테일들에 집중하게 되니 뭔가 그 상황의 정서에 푹빠지는 느낌도 강하고 공감은 크게 되는 것 같은데 오히려 영어는 거의 들리지 않고 전체적인 흐름은 산산조각 나서 하나의 스토리처럼 느껴지지 않았다. 즉, 드라마를 시청한 것이 아니라 조각조각난 독립된 영상클립을 본 것 같은 느낌이고 하나의 이야기로서 기승전결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저 기존의 스토리 라인에 억지로 집어넣어 생각했지만 자연스럽게 기승전결을 타지 못한 것이다. 자막 없이 드라마를 시청할 때마다 비슷한 경험을 했고 그 상황과 배우에 대한 공감이 재미있었지만 결국, 드라마 본연의 즐거움을 느끼지는 못했기 때문에 결국, 또 정신적인 에너지가 고갈되어서 그만두게 되었다.


이 경험으로 다음과 같은 의문점을 얻게 되었다. 


거의 외우다시피 해서 익숙했던 드라마 에피소드가 왜 이리 낯설게 느껴지는가? 


그리고 잘 들리던 영어가 왜 갑자기 안 들리게 되는 것인가? 


마지막으로 영어가 안 들리는데 어째서 각각의 장면과 등장인물에 대한 공감은 더 강해지고, 반대로 익숙하던 스토리는 갑자기 조각조각 나서 서로 연결되지 않는가?


이 의문점들은 결국 마지막 의문점으로 귀결된다. 그리고 이 의문점이 떠오르면서 의문을 해결할 수 있는 키로 뜬금없이 같이 떠올랐던 것이 그동안 전혀 신경쓰지 않고 잊고 있었던 올리버 색스의 언어상실증(실어증) 사례였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