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수한자를 블로그에 올린 이후 꽤 많은 시간이 지나갔습니다.


부수한자 암기 완료 소감 및 다음 계획에서 이후에 정약용 선생님의 아학편(兒學編)을 영어와 함께 공부하고 블로그에 올릴 계획이라고 했습니다. 특히, 영어의 발음 관련 학습을 하고 이를 블로그로 올려서 익힌 후 발음을 단어로 확장하면서 아학편(兒學編)을 같이 공부할 계획이었습니다. 하지만 영어의 발음 관련 학습을 하고 자료를 확보하는 과정에 너무 많은 시간이 소요되면서 계속 한자 공부 관련 포스팅이 늦어질 수밖에 없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더 늦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따라서 그 중간에 무엇인가를 해야겠다는 판단을 했습니다.


그 와중에 한자와 한문 관련 커리큘럼을 뒤져보면서 한자와 한문이 다르다는 사실을 실감하게 되었습니다. 즉, 글자를 하나하나 안다고 해서 한문을 해석하기 어려웠습니다. 한문을 능숙하게 읽고 해석하는 공부는 한자를 익히는 것과 별개로 또 필요했습니다. 대부분의 언어가 그렇지만 한문은 더더욱 정형화된 문법체계를 찾기 어려웠습니다.


한문의 문법을 다루고 있는 교재들은 내용이 조금씩 달랐고, 이해하기 어려웠고 혼란스러웠습니다. 같은 글자가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더더욱 혼란은 가중되었습니다. 이렇게 혼란스러운 한문의 문법을 어떻게 공부해야 하는지 모색해보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그런데 한문의 문법이라는 것이 딱 잘라서 말해줄 수 있는 것이 아니었고, 고문(古文)을 익숙하게 체화함으로써 자연스럽게 한문을 쓸 수 있다는 식이었습니다. 문법을 제시하는 책은 한 권 정도 읽어볼 필요가 있을지 모르지만 처음 고문을 읽기 위한 참고용일 뿐 그 이상이 되기는 어려워 보였습니다. 결국, 고문(古文)을 익혀야 한다는 결론에 도달했습니다.


전통적인 순서로 천자문-소학-명심보감-사서삼경 순으로 공부해 나가는 것이 결국, 한문의 문법을 체화하는 과정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또, 전통적인 한문 교육과정은 자료가 무척 많아서 정확하게 공부하기 용이하지만 아학편은 그 해석을 같이 제시하지 않고 오직 단편적인 한자 단어만 제시하고 있어 공부를 하면서도 단편적인 단어 해석에 머무를 가능성이 높다는 점도 고려하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물론, 아학편으로 영어와 한자를 같이 공부해보겠다는 계획은 변함이 없습니다. 이는 영어 관련 포스팅이 올라가면 그에 따라 순서에 맞춰 진행될 것입니다. 하지만 그와 별도로 한문의 전통적인 학습 과정을 따로 진행하여 한문에 트이도록 노력하지 않으면 아학편(兒學編)의 공부도 제대로 이루어지기 어렵다는 점도 고려해야 했습니다. 즉, 한문을 먼저 익혀둠으로써 후에 영어, 국어, 한문의 삼각을 이루는 공부의 효율도 올라갈 수 있다고 판단했습니다. 


물론, 천자문이 아닌 아학편으로 공부하는 장점도 분명합니다. 한자 특유의 대대구조를 이루는 조어법과 일상적인 단어들이 보다 친숙한 한자와 보다 친숙한 영어로 이끌어줄 것 같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계속 갈등하고 있었습니다만 어차피 결국, 다 외울 것이라고 생각하니 갈등이 없어졌습니다. 어차피 다 외울 것인데 그냥 먼저 천자문으로 시작하려고 합니다. 문리(文理)에 트인다는 것은 수많은 반복과 자료가 필요한 과정이니까요.


다음은 천자문 첫 구절 링크입니다. 


天地玄黃 宇宙洪荒



천자문 전체 자료실 페이지 바로가기  링크입니다. 



부수한자 214자 공부를 드디어 끝마쳤습니다. 


그 동안 공부하면서 첨부한 파일들을 전부 묶어서 다음과 같이 파일로 첨부하니 사용하실 분은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01_한자의 기본원리_육서(六書).zip

02_부수한자연습.zip

03_부수한자_심화학습.zip


부수한자 214개 전체 자료실 페이지 가기


부수한자 공부는 한자들이 문장을 이루어 고사나 이야기를 담고 있는 것은 아니므로 처음 공부할 때는 조금 노동처럼 느껴졌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공부가 진전되면서 괄목할만한 성장과 성취욕을 맛볼 수 있어서 결국, 공부하길 잘했다는 생각입니다.


우선 복잡한 한자들을 들여다 볼 수 있게 되었습니다. 예전에는 한자가 너무 복잡하면 들여다보기 귀찮았는데 지금은 그렇지 않고 오히려 간단하게 아는 글자들로 쪼갤 수 있게 되어서인지 크게 복잡하게 느껴지지 않습니다. 


그러다 보니 한자를 외우려고 하지 않고 얼핏 보고 지나감에도 기억에 자주 남는 일들이 발생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만큼 제 뇌가 한자를 좀 더 쉽게 요리하기 시작했다는 뜻으로 받아들이고 있습니다. 복잡한 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들도 몇 가지 단순한 한자의 조합으로 인식하는 것이 가능해지면서 한문을 외우는데 드는 품이 확실히 줄어드는 것도 같이 느낄 수 있었습니다. 


결국, 한자도 공부를 하면 할수록 더 쉬워지고 편해질 것이라는 점을 확신할 수 있게 되면서 한자 공부에 탄력을 받은 느낌입니다. 공부에 탄력은 받았고 어렵게, 부수한자를 다 외웠으니 여기서 한자 공부를 끝마치는 것은 솔직히 너무 아쉽습니다. 그래서 다음 단계로 진도를 나가려고 합니다. 


이 경우에는 보통 기본 한자 1,800자를 공부하거나 천자문을 공부하는 경우가 많은 것 같습니다. 하지만 아쉽게도 천자문은 별로 마음에 들지 않습니다. 서로 다른 1,000자로 만들어낸 아름다운 문장들이라는 점에는 동의하지만 1,000자라는 조건으로 작성했기 때문에 서사, 시, 형이상학 등 모든 면에서 어중간합니다. 천자문은 오히려 한자와 한문을 잘 익히고 고금의 문장을 잘 익힌 사람이 볼 만한 전문가의 글이지 초학자가 공부할 글은 아니라는 생각입니다. 그렇다고 표준한자 1,800자를 공부하자니 별로 끌리지는 않습니다. 그러다가 정약용 선생님의 아학편(兒學編)을 발견하고 그 의견에 동감하게 되었고 동시에 새로운 가능성을 보게 되었습니다. 그것은 영어였습니다.


아학편은 서로 대립되는 사물이나 개념을 같이 제시하여 한자의 뜻을 인지하고 받아들이게끔 글자들이 배치되어 있고, 글자도 매우 구체적인 사물에서 시작하여 추상적인 개념으로 전개되고 있어서 그야말로 두루 익히기에 좋은 책이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리고 동시에 다음과 같은 이유로 아학편으로 영어를 공부해보는 것이 좋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들었습니다.


한자를 공부해보면서 깨닫게 되는 점은 우리 국어가 한자의 강력한 영향력 아래에 있다는 점입니다. 그것은 한글 전용화를 한지 꽤 많은 시점이 흘렀지만 가장 추상적이고 개념적인 단어들은 여전히 한자어인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한자를 공부하면 국어의 단어에 대한 이해의 폭이 늘어나 실력이 늘게 되지요. 즉, 원천적인 의미작용을 한자로 하는 경우가 많은 것입니다. 그렇다면 한자어를 영어로 익힌다면 어떻게 될까요? 좀 더 원천적인 의미작용을 통하여 영어를 익힐 수 있지 않을까요?


두번째는 단어입니다. 한자어는 대립되는 단어들을 묶어서 만드는 경우가 많습니다. 가령, 형제(兄弟)같은 단어들입니다. 이는 형(兄)과 동생(弟)이라는 단어를 붙여서 그 형과 동생이라는 관계와 형과 동생이 처해있는 공통의 상황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대립되면서도 통일되는 방식의 글자 배치가 한자어에 종종 보입니다. 그리고 그것은 한국인인 우리에게 매우 익숙한 방식의 단어이기도 합니다. 아학편은 그런 의미에서 서로 대립되는 사물이나 개념을 가진 글자를 같이 제시하여 사람들이 익숙하게 이런 의미의 차이와 공통점을 쉽게 인지하게끔 유도하는 방식입니다. 그렇다면 아학편의 단어들을 영어로 공부한다면 영어를 우리의 머릿속에서 익숙한 방식으로 배치하고 그 의미의 차이와 공통점을 통하여 좀 더 쉽게 단어를 익힐 수 있다는 뜻입니다. 


마지막으로 글자의 선정입니다. 지극히 조선시대의 사람들을 위한 글자의 선정입니다. 가족 관계와 사물들, 그리고 우리에게 익숙한 사정들 위주로 글자가 배치되어 있습니다. 그러니 우리의 사정에 맞는 영단어들을 선정해서 익힐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감이 있습니다. 어찌보면 본격적인 콩글리쉬를 위한 길일지도 모릅니다. 


지금까지 나열한 내용은 어디까지나 제가 스스로 공부하려고 스스로에게 동기부여하는 내용입니다. 기대하는 내용이기도 하구요. 스스로 한자와 국어, 그리고 영어의 삼각의 고리를 만들어 같이 공부하면 시너지가 매우 클 지도 모른다는 아이디어가 떠오르면서 이런 저런 장점이 있을 것 같다는 식으로 혼자 생각한 것들로 공신력 있는 내용은 아닙니다. 어디까지나 가설이니 너무 신뢰하지는 마시기 바랍니다. 


아학편(兒學編)을 공부하는 방식에 대해서는 조금 더 연구하고 포스팅하도록 하겠습니다. 그리고 공부를 시작하면 다시 앙키로그(Ankilog)도 같이 올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부수한자 214개 전체 자료실 페이지 가기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