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ki로 문장 암기하기 1

 

 

 컴퓨터 AI의 멍청함에 대해서 이야기되는 것 중에서 이런 이야기가 있다. AI가 고양이를 학습할 수 있도록 고양이 사진을 보여주었지만 정작 AI는 고양이가 아닌 실타래 비슷한 것을 고양이로 인식했다고 한다. 이 사례는 AI에게 고양이를 가르칠 때 사용할 사진을 잘 골라야 한다는 뜻으로 나온 이야기이고 동시에 대단해 보이는 AI 학습이라는 것이 인간의 학습에 비해서 얼마나 비효율적이고 어리석은지 이야기할 때 종종 인용되는 이야기다. 사람은 고양이를 바로 고양이라고 인식할 수 있지만 AI는 그렇지 못하다는 것이다.

 

 이런 이야기를 들었을 때는 AI가 아직 사람을 따라오지 못하는구나 하고 자긍심을 가져보지만, 정작 Anki로 많은 카드를 공부하다 보면 나 자신이 얼마나 AI 같은지 확인하곤 놀라곤 한다. 처음 새 카드를 공부할 때에는 앞면의 문제도 읽고 열심히 생각해서 뒷면의 답을 풀어낸다. 하지만 이미 익힌 카드를 두세번째 복습하기 시작하면 그 때부터는 기계적이 된다. 특히, 단순한 질의-응답 형식 문제들은 바로 패턴이 몸에 익어 바로 기계적인 응답이 이루어진다. 즉, 이런 형식의 카드들은 처음 30개의 카드를 익힐 때는 1~2시간이 걸렸다면 복습할 때는 2~3분이면 충분해진다. 

 

 기본적으로 새 카드 공부 보다 기존 카드 복습이 더 쉽다. 그래서, 새로운 카드를 학습할 때 걸리는 시간은 복습하는 시간 보다 더 많은 시간이 든다. 하지만 1~2시간에 걸쳐 학습한 것을 2~3분 만에 복습한다는 것은 정도가 좀 심하다. 어떻게 이런 것이 가능할까? 기계적 반응 때문이다. 

 

 기계적으로 익힌 문답에서 벌어지는 일은 다음과 같다. 가령, 카드의 질문이 “멕시코의 수도는?”이고, 답이 “멕시코 시티”라면, “멕시코”의 ‘멕’자만 보고 바로 “멕시코 시티”라고 답하고 넘어가게 된다. 이는 문제 풀이와 학습이 본질적으로 조금 다르기 때문이다. 문제 풀이는 답을 내기 위한 가장 명확하고 효율적인 경로를 취하려고 한다. 반면, 학습은 무엇인가를 이해하고 기억하는 것이다. 학습한 것을 문제 풀이로 학습의 정도를 가늠해볼 수는 있지만 문제 풀이를 많이 한다고 학습이 되는 것은 아니다. 문제 풀이를 많이 하면 문제를 학습할 뿐이다.

 

 문제를 학습할 경우 질문을 외어 답하는 식으로 시험공부에는 도움이 될 수 있겠지만 공부 그 자체를 통하여 질적인 발전을 꾀하는데 오히려 방해가 된다. 지식을 온전히 향유하지 않고 문제 그 자체를 익히기 때문이다. 또, 스스로를 발전시키기 위해서 공부하는데 단순한 기계적인 반응만 연습하게 되면 성취감이 떨어지고, 지겨워진다. 학습 의욕도 상당부분 꺾일 수 있다. 그렇다고 단순한 질의-응답 문제들의 패턴을 의도적으로 익히지 않으려고 노력하는 것도 우습다. 또, 이런 단순 기계적 반응이 나쁘기만 한 것도 아니다. 단지, 지식이 아닌 문제의 패턴을 기계적으로 암기하는 것이 좋지 않다는 것이다. 

 

 개인적으로는 단순한 질의-응답이 너무나 쉽게 기계적 암기로 변환되기 때문에 어느 순간부터는 빈칸 만들기(Cloze Deletion)로 그냥 필요한 문장을 통째로 외우는 것을 선호하게 되었다. 적어도 문장을 외우기 때문에 기계적 암기라고 해도 필요한 지식이 하나의 세트를 이루어 기계적으로 암기되기 때문이다. 즉, 기존의 질의-응답 방식은 다음과 같다. 

 

 

Q: 멕시코의 수도는?

A: 멕시코 시티

 

이러면 순식간에 기계적으로 암기가 되고 “멕시코”의 ‘멕’만 봐도 “멕시코 시티”를 답하고 다음 카드로 넘어간다. 빨라서 좋지만 어느 순간부터는 기계적인 느낌이 강하게 오고 공부에 대한 회의감도 빨리 찾아온다. 그래서 다음처럼 문장 형태에 빈칸을 만들어 공부한다. 

 

아래와 같이 문장에 2개의 빈칸(c1, c2)을 만든다. 

    

노트(Note)

{{c1::멕시코의 수도}}{{c2::멕시코 시티}}다. 

 

그러면 아래와 같이 2개의 카드가 만들어진다. 

    

카드1

Q: [...] 는 멕시코 시티다.

A: 멕시코의 수도는 멕시코 시티다.

 

카드2

Q: 멕시코의 수도는 [...] 이다.A: 멕시코의 수도는 

멕시코 시티다.

 

 이러면 완결된 문장의 형태로 기억되기 때문에 “멕시코”와 “수도”와 “멕시코 시티”가 하나의 문장 형태로 묶인다. 그러면 기계적인 암기가 되어도 지식은 그 자체로 유효하게 유지된다. 앞서의 질의-응답은 “멕시코”와 “멕시코 시티”가 짝이 되는데 나중에 기계적인 반복으로 변질되면 그 관계가 무엇인지 잘 안 떠오르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하지만 문장의 형태로 외워버리면 그 지식과 그 관계가 온전하게 보전되기 때문에 기계적 학습이 크게 나쁘게 여겨지지 않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렇게 문장을 외우는 방식으로 공부를 하다 보면 여러가지 재미있는 현상을 겪을 수 있게 된다. 

 

 

 

 

 Anki로 시험공부를 할 수도 있지만 그것보다는 평생 쌓아올리기 위한 공부 그 자체를 위하여 지식을 확고하게 다지면서 나아가기 위한 용도로 더욱 적합하다. 개인적으로 그러한 용도로만 Anki를 사용하고 있다. 물론, 시험을 볼 일이 없기 때문이기도 하다. 개인적으로 생각하는 평생 공부를 위하여 Anki를 사용하는 방식에 대하여 이야기해보려고 한다.


 우선은 책을 읽거나 공부를 하면서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내용들을 Anki로 정리하는 과정이 공부의 시작이다. 이때, 내용을 어떻게 축약할 수 있는지 생각해보고 중요하지 않은 내용들을 정리하는 과정이 1차적인 공부의 시작이다. 이 과정에서 일단, 공부가 되고, 실제로 카드로 옮기는 과정에서 전체적인 윤곽을 파악하는 경우가 많다.


 두 번째로는 Anki로 지식을 외우는 과정에서 공부가 된다. 제대로 된 암기는 지식의 이해과정이 동반된다. 사람들은 흔히, 암기를 하면 이해를 하지 않고 넘어간다는 식으로 오해하는 경우가 많다. 아마도 일상에서 암기를 하는 과정이 시험을 앞두고 지식을 이해하지 않은 채로 그저 기계적으로 점수를 잘 받기 위해서 주입식으로 암기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일 것이다. 하지만 평생 동안 기억을 유지하기 위해서 공부하는 상황에서는 암기와 이해가 따로 갈 수 없다. 실제로 Anki로 암기를 하다보면 이해가 되지 않는 것은 잘 암기 되지 않고, 어떻게 임시방편으로 잠시 암기를 했어도 2~3일 지나면 다시 내용이 뒤틀리면서 암기한 내용이 틀려지는 것을 자주 경험하게 된다. 반대로, 암기만 하려고 노력해도 저절로 지식에 대한 이해가 진행되는 것도 느낄 수 있게 된다. 


 지식을 외우기 위하여 반복적으로 내용을 살피다 보면 그 지식에 대한 이해가 생겨나는 것을 경험할 수 있다. 아마도 좀 더 주의 깊게 살펴보고 이 내용을 지식으로 기억하겠다는 행위를 반복할수록 우리의 뇌가 좀 더 적극적으로 해당 내용을 다른 배경지식에 연계시켜 장기기억 시스템에 편입시키려고 하고 그 과정에서 새로운 이해가 발생하는 것 같다. 그리고 사실, 이 과정에서 상당한 쾌락과 성취감과 고양감을 받을 수 있다. 이 순간만은 공부에 쾌락이 있다는 것을 체감하고 확인할 수 있다. 의미가 통합되고 내용이 확연히 파악되는 경험은 상당한 쾌락의 느낌을 주기 때문에 나중에는 해당 문구를 일부러 찾아서 반복적으로 되뇌이면서 이해를 높이려고 시도해본 적이 있었다. 하지만 해당 문구들이 너무 당연한 것처럼 느껴지는 순간부터는 그런 쾌감이 사라지는 것을 보면서 어떤 문구가 쾌감을 주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이해가 구축되는 과정이 쾌락을 준다는 점을 체감하고 확인할 수 있었다.


 책을 읽으면서 이해하고 넘어갈 때에는 알 수 없었던 것들이 암기를 시도하면 보다 깊고 자세하게 지식을 통찰하게 되고 자신이 가진 배경지식과 통합되면서 자기 것으로 변한다. 이 과정은 분명히 책을 읽기만 했을 때와는 구별되는 더 깊은 이해과정인 것이다. 덕분에 지식을 외우다 보면 앞서 발견하지 못했던 다양한 오류를 발견하게 된다. 이 때, 이것을 내버려 두지 않고 수정해야만 한다. 잘못된 것은 바로잡고, 중복되거나 필요 없는 카드나 노트는 삭제해야만 한다. 특히, 이 삭제는 매우 중요하다. 필요 없는 카드를 외우고 있었다면 반드시 삭제해서 미래의 부담을 줄여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늘어나는 카드로 인하여 학습이 점점 어려워지게 되기 때문이다.


 카드는 쌓인다. 아무리 Anki가 효율적으로 카드를 분배해준다고 해도, 어느 시점부터는 카드의 개수가 부담스러울 정도로 많아질 수밖에 없다. 따라서 우리는 암기를 하면서 끊임없이 수정해주어야 한다. 처음엔 카드를 많이 만들어서 해당 지식을 숙련시키고 내용을 세밀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하지만 그 내용이 완전히 파악된 것들은 이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해를 바탕으로 조금씩 응축시키고 필요없는 곁가지와 중복된 내용들을 잘라내고 응축시켜서 카드의 수를 줄이려는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이런 의도를 가지고 그러면 더 적극적인 복습을 수행하면서 더 깊은 이해에 도달하기 쉬워지고 카드의 수가 줄어들면서 미래에 발생할 부담도 많이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시험공부가 아닌 공부 그 자체를 위하여 지식을 정리하고 쌓는 관점에서 Anki를 사용하는 방법이라고 스스로 생각하는 내용을 적어보았다. 특히, 최근에는 카드의 수를 줄이는 것에 대한 고민이 많다. 이미 하루에 3시간 이상 Anki를 하고 있어서 조금씩 부담되는 것도 있지만 더 효율적이고 적극적인 공부를 위해서는 적극적으로 카드를 삭제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아마도 추후에는 카드를 만드는 단계에서 삭제를 위한 시스템적인 방법을 모색해보려고 한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