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라마가 결국 언어적 구조물이라는 것을 깨닫게 되니 많은 것들이 설명되기 시작한다. 앞서 이 모든 이야기가 출발했던 의문점을 제시한 바 있다. 미국 드라마를 자막 없이 보다가 생긴 의문점에서 출발함이라는 포스팅에서 처음으로 제시했던 질문들이다. 이 포스팅에서는 거의 외우다시피 할 만큼 자주 봤던 미국 드라마를 자막 없이 봤는데 전부 외우고 있던 드라마의 스토리는 전혀 생각나지 않고 거의 들린다고 여겼던 영어는 전혀 들리지 않으면서 드라마는 완전히 낯설었던 경험을 말하면서 발생한 의문들을 다음과 같이 질문했었다. 


거의 외우다시피 해서 익숙했던 드라마 에피소드가 왜 이리 낯설게 느껴찌는가?


그리고 잘 들리던 영어가 왜 갑자기 안 들리게 되는 것인가?


마지막으로 영어가 안 들리는데 어째서 각각의 장면과 등장인물에 대한 공감은 더 강해지고, 반대로 익숙하던 스토리는 갑자기 조각나서 서로 연결되지 않는가?



이 모든 것의 대답은 처음부터 명백하고 단순했다. 바로 언어의 부재가 바로 그 답이다. 하지만 위의 질문들은 언어의 부재를 통하여 언어가 어떤 역할을 했는지를 알고 싶었던 것이기 때문에 이 대답은 좀 더 심화될 필요가 있다. 


자막과 함께 드라마를 봤을 때, 인식구조는 자막에서 영상과 소리로 넘어간다. 즉, 자막을 먼저 확인하고 그 확인된 자막의 내용을 영상이나 소리와 일치하는지 확인한다. 자막이 말소리와 동기화(sync)가 맞지 않을 때, 드라마를 보기가 얼마나 불편한지 느껴봤다면 이를 실감할 수 있을 것이다. 자막이 말소리와 동기화가 되면 그 때부터는 자막의 내용이 하나의 언어적 구조물로써 작동하면서 이야기가 성립되고 드라마의 말소리와 영상은 그 이야기에 실제감과 몰입감을 부여한다. 반면, 언어를 직접 들으면서 보는 드라마는 영상을 보는 와중에 소리를 듣기 때문에 영상과 소리가 동시에 존재한다. 이 경우 소리가 언어적 구조를 형성하고 이 언어적 구조는 영상과 동시에 인지된다. 자막이 있는지 없는지에 따른 차이는 결국 정보량의 차이로 이어진다. 자막과 함께 보는 경우는 자막을 먼저 확인하기 때문에 주요 영상의 누락이 축적되고 영상을 길고 세세하게 살펴볼 시간이 부족하다. 또, 말소리에서 직접 전달될 수 있는 억양과 발음에 따른 미묘한 감정 표현, 그 캐릭터의 출신지역이나 성장환경 등에 대한 직접적인 느낌 등이 모두 사라지고 그저 자막으로만 나타나게 된다. 이는 조금 과장되게 말하면, 자막으로 드라마를 보는 것은 시나리오에 영상과 배우의 목소리를 첨부하면서 글을 읽는 것과 같고 자막 없이 보는 것은 입체적인 공감을 통하여 충실하게 이야기에 몰입하는 것이 된다.


잘 들린다고 생각했던 영어들은 주로 짤막한 대사들인데 이들이 잘 들린다고 생각했던 이유는 자막 읽기에 숙련되었고 그 자막을 거의 통째로 외우다시피 했기 때문이다. 자막이 머릿속에 해당 언어의 뜻을 이미 전개시켜 놓았고 그 다음 대사를 듣게 되거나 혹은 대사를 듣는 동시에 자막을 확인하기 때문에 그것을 사후적으로 안다고 생각한 것이다. 이는 대사의 길이로도 확인해볼 수 있었는데, 단어의 개수가 한 두 단어일 때는 자막과 배우의 대사를 일치시킬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영어가 들린다고 생각하지만 대사의 길이가 늘어나면 영어는 무시하고 자막만 보게 된다. 그리고 그렇게 자막을 보는 동안은 영상도 보지 못하게 된다. 여하튼, 자막을 통해 영어를 들을 수 있다는 인식의 오류가 생긴 것이기 때문에 자막이 사라진 순간 잘 들린다고 착각했던 영어 안 들리게 되는 것이다. 


자막이 없어져서 영어가 들리지는 않게 되었지만 오히려 직접 드라마의 영상을 눈으로 보고 대사를 듣게 된다. 자막이 있었을 때는 자막이 들어야할 것과 보아야할 것을 가이드 해주었지만 동시에 보고 듣는 것에 할애할 시간을 빼앗고 해석의 방향을 미리 제시하기 때문에 주마간산 하는 식으로 드라마를 보게끔 했다. 자막이 없기 때문에 오히려 날 것으로 영상과 소리를 직접 해석하게 되는 것이다. 당연히 풍부한 비언어적 표현들이 자연스럽게 인식되고 그로 인하여 공감이 이루어진다. 하지만 이러한 공감은 언어로 인식되지 못했기 때문에 종합적인 인지를 구성하지 못하고 단지, 각 장면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정서적 요소나 캐릭터에 대한 미묘한 공감과 애정으로만 남게 된다. 대사와 같은 언어의 형태로 전달되고 공감되지 못한 그러한 인지들은 매우 제한적인 역할을 하기 때문에 이들은 기억하기도 쉽지 않고 기억을 환기하기도 쉽지 않으며 접한 정보를 가공하여 새로운 정보를 만들기도 쉽지 않다. 따라서 자막 없이 모르는 언어의 드라마를 시청한 느낌은 현저하게 느낀 장면과 정서 몇 가지로 축약되고 하나의 이야기로 성립하지 않는다. 


게다가 드라마가 현실과는 달리 언어적 구조물이기 때문에 언어적으로 인식되는 정황을 통하여 이야기의 영상과 소리가 시공간을 도약하면서 정신없이 변화하기 때문에 언어가 없을 경우 시청자를 고통스럽게 만든다. 언어가 영상과 소리의 널뛰기를 매개해서 드라마를 성립시켜 주는 것인데 그러한 언어를 알아듣지 못하고 자막도 사용하지 않으면 드라마가 하나의 연속체가 아니라 전혀 상관없는 것들의 일관성 없는 묶음 같은 것이 되기 때문에 하나의 이야기로 성립되는 것은 더 어려워진다. 이에 대해서는 고통의 원인에 대해서 포스팅한 것을 참조하기 바란다.


결국, 일련의 실어증 체험으로 자막 없이 미국드라마를 본 것에 대한 의문점은 모두 풀었다. 실어증을 체험하는 것에는 실패했고, 드라마를 자연관찰하듯이 보는 것도 실패했다. 하지만 이런 체험을 통해서 그 동안 이론적으로 듣기만 했던 다양한 것들을 실제 체험으로 확인할 수 있는 좋은 계기가 되었고 자막을 통해서 어떻게 드라마를 보고 있는지도 명확하게 알게 되었다. 다음에는 이 경험을 바탕으로 체감하게 된 '언어'에 대해서 이야기해볼 생각이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