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를 처음 알게 된 것은 서유기를 통해서이다. 천방지축 날뛰는 손오공도 결국, 부처님 손바닥 안이었다는 이야기와 그 부처님의 가르침을 얻기 위해서 삼장법사가 천축으로 향하는 이야기는 어린 시절 가장 멋진 판타지에 다름 아니었다. 물론, 손오공이 좋았지, 답답하고 무능해 보이는 삼장법사가 좋지는 않았다. 그래서 나중에 삼장법사가 얼마나 대단한 인물인지 알았을 때에는 많이 놀랄 수밖에 없었다.


그 뒤로 관광을 하면서 사찰을 가보기도 하고 신자들로부터 얼마나 훌륭한 분인지 이야기를 듣기도 했지만 잘 와닿지 않았다. 그냥 구도자적인 느낌을 주는 사람이 일부 있지만, 개인적으로는 기복을 위하여 치성을 드리고 기도를 올리는 무속과 구별하기 어려웠다.


그 다음으로 불교를 접한 것은 무협지에서였다. 소림사로 대표되는 무술의 고향 이미지는 젊은 남자에게 어필하는 바가 있었다. 그래서 겸사겸사 불교도 무언가 있는 것처럼 느껴지기도 했다

 

그리고 무협지의 세계에서 이단적인 존재가 나타났는데, 그는 무협지에 깨달음이라는 요소를 가장 적극적으로 결합시킨 작가인 백상이었다. 당시, 그의 글의 재미있는 점은 주인공이 전혀 노력도 안하고 빈둥빈둥 살고 있고 찌질하고 전혀 존중받기 어려운 이라고 해도 깨달음을 거치면서 이 모든 것을 한번에 뒤집는 다는 점이다. 그의 무협에서 깨달음은 불교적 깨달음이기도 했고, 도가적 곡선에 대한 깨달음일 수도 있다. 중요한 것은 마음의 힘이 바로 구현되는 권능에 가까운 힘과 동시에 세상에 대한 어떤 근원적인 지혜를 동시에 획득한 느낌을 준다. 비유하자면 구석기 시대의 부족전쟁에 꼬맹이가 갑자기 양자역학을 깨닫고 최첨단 핵미사일을 투하하는 느낌이다. 한마디로 차원이 달라지는 셈이다.

 

무협지로 봤을 때는 그냥 재미있는 아이디어라고 생각하고 즐기기만 했을 테지만 마침 그 때 영화 매트릭스가 전 세계적으로 히트 하면서 나타났다. 주인공 네오가 죽었다 부활하면서 매트릭스 내부의 세상을 코드의 흐름으로 인식하고 이를 마음껏 변화시켜서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권능을 구사하는 장면이 바로 그 백상 무협에서 주인공이 깨달음을 얻는 장면과 완벽하게 부합하는 장면이었다. 그래서 매트릭스 상영 후에 많은 비평가들이 이를 기독교적 삼위일체와 죽음과 부활의 상징으로 읽었지만 나는 이를 백상의 무협에서 읽은 불교적인 깨달음으로 읽을 수밖에 없었다. 그 때 불교에 대한 호기심이 강하게 일어났다.

 

무협지에 자주 나타나는 불교의 경전이 금강경이다. 소림의 4대 금강, 금강불괴, 나한금강기공 등, 금강이라는 말은 그 근원을 금강경에 두고 있고, 무슨 깊은 깨달음이 어쩌구 하면 대부분 금강경이 주된 핵심 깨달음의 원천으로 등장한다. 사실, 이것은 금강경이 대한민국 불교 조계종의 소의경전이기 때문에 한국의 문화적 토양이 금강경에 대한 찬사를 많이 들을 수밖에 없는 토양이기도 하다.

 

그래서 어느 날인가 호기심이 생겨서 민족사에서 나온 금강경을 사서 읽어보았다. 정말 무슨 말인지 한 마디도 이해하기 어려웠다. 나름 문해력이 된다고 생각하지만 전혀 이해할 수 없었다. 그래서 관련 설명서나 주해서 역사서 등을 흝어 보면 불립문자(不立文字)이므로 말로 전할 수 없고, 오직 깨우쳐야만 알 수 있다는 등의 이야기를 하고 있어서 책을 읽어보면 읽어볼수록 이해할 수 없는 정도가 심해지기만 했다.

 

가령, 이런 경구가 있다.


여래께서 말씀하신 ()을 갖추고 있다는 것'은 곧 상을 갖추고 있지 않다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이해가 가는가? 서로 모순된 말들을 배치해서 똑같다고 이야기하고 있다. 물론, 창의력을 발휘하고 불교에 관련된 해박한 지식을 이용하여 위의 경구를 말이 되게끔 할 수는 있다. 그런데 그것은 불교를 진심으로 믿고 이 경전에 보물이 있다고 믿는 사람들이나 가능한 일이다. 나처럼 그냥 지나가면서 무슨 내용인가 한 번 슬쩍 보기만 하려던 사람의 입장에서는 완전히 동문서답으로 가득한 소리로 느껴졌다.

 

그리고 이런 모순된 경구가 딱 한 구절 나와서 그 부분만 풀면 어떤 전체의 그림을 그려볼 수 있을 것 같은 것이 아니라 경전의 대부분이 이런 경구로 이루어져 있다. 처음부터 끝까지 무슨 말을 하고 싶은지 대략의 느낌도 받기 어려웠고 솔직히, 경전이 스스로 독해되는 것을 거부하는 듯한 느낌을 받기도 했기 때문에 결국, 독해를 포기했다.

 

그 후에는 다른 경전을 찾아서 읽어봤지만 반야류와 금강류의 경전은 알아듣기 어려웠고 쉬운 경전은 어린이 동화책 같은 우화에 당연한 이야기를 하는 느낌을 받으면서 불교에 대한 호기심이 완전히 식어버렸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