千字文 101 具膳餐飯 適口充腸


주의 : 아래에 포스팅된 천자문은 한학 초보가 공부하기 위하여 여러 책들을 보고 자의적으로 정리한 내용에 불과하므로 오류가 있을 수 있습니다.


천자문 전체 자료실 페이지 바로가기


1) 개별 한자 

具 - 갖출 구(갖추다, 구비하다)

膳 - 반찬 선(밥에 곁들여 먹는 반찬, 음식)

餐 - 밥 찬(밥, 음식, 먹다)

飯 - 밥 반(밥, 식사, 먹다)

適 - 맞을 적(맞다, 마땅하다)

口 - 입 구

充 - 채울 충(채우다, 가득하다)

腸 - 창자 장(창자, 배)


2) 한자어

具膳 - 반찬을 갖추다.

餐飯 - 밥을 먹다.

適口 - 입에 맞다.

充腸 - 배를 채우다(배부르다).


3) 4자 풀이

具膳餐飯 - 반찬을 갖추어 밥을 먹다. 

適口充腸 - 입에 맞고 배부르다.


4) 8자 풀이

具膳餐飯 適口充腸

반찬을 갖추어 밥을 먹으니, 입에 맞고 배부르다.


5) 이전 구문

易輶攸畏 屬耳垣牆

具膳餐飯 適口充腸



Ankilog 학습파일


千字文 학습용 Anki 파일은 아래와 같습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Ankilog 파일: 千字文 101.apkg


수정 : Ankilog 학습 파일에서 이전/이후 누락된 것 채워넣음



천자문 전체 자료실 페이지 바로가기



<부수한자 네글자 009: 工(장인 공), 廾(받들 공), 口(입 구), 囗(에워쌀 위)>


부수한자 214개 전체 자료실 페이지 가기



 (장인 공)


곡식을 가루로 만들거나 흙을 다질 때 사용하는 ‘공이’의 모양을 형상화한 글자


부수로써 일하다, 만들다 라는 뜻을 가짐


형성자에서 음('', '', '')을 나타내는 성부(聲符)로 사용되는 경우도 많음


 (받들 공)


두 손을 모아 무엇을 받들고 있는 형상이거나 두 손을 맞잡은 모양을 형상화한 글자


부수로써 떠받들다, 두 손을 잡다 라는 뜻을 가짐


卄(스물 입)과 유사하여 밑스물이라고도 불림


 (입 구)


벌어진 입의 모양을 형상화한 글자


부수로써 입, 소리, 말하다, 그릇, 출입구 라는 뜻을 가짐


임의의 물건이나 지역, 추상적인 어떤 것을 나타낼 때 사용한 둥근 모양이 네모난 모양으로 변하여 이 글자로 나타나는 경우도 많다


(에워쌀 위)


사방을 빙 두른 모양을 형상화한 글자


부수로써 에우다, 지역, 울타리 라는 뜻을 가짐


國(나라 국)의 옛날 글자, '큰입구몸', '에운담'이라고도 부른다. 


 Anki 학습파일


Anki 학습파일은 아래와 같이 한자와 독음만 간단하게 암기할 수 있는 한자연습글자의 생성원리나 부수의 의미 기타 사항 등을 공부하는 심화학습의 2종류로 나누어 첨부했습니다.  


부수한자연습_009.apkg


부수한자심화학습_009.apkg



부수한자 214개 전체 자료실 페이지 가기



<형성자(形聲字)> Ankilog


의미를 나타내는 부분(형부, 形符)음을 나타내는 부분(성부, 聲符)이 합쳐진 글자

 

 味(맛 미) : (입 구 : ) + (아닐 미 : )

 城(성 성) : (흙 토 : ) + (이룰 성 : )

 淸(맑을 청) : (물 수 : ) + (푸를 청 : )

 梨(배나무 리) : (나무 목 : ) + (날카로울 리 : )

  

글자들을 엮어서 새로운 글자를 만들 때 새로운 뜻과 음을 갖도록 결합된 글자인지 아니면 뜻과 음이 구별되어 합쳐진 글자인지 확실하게 판단하기 어려워 회의(會意)와 형성(形聲)의 원리가 완전히 구별되지 않는 경우도 많다.

 

새로운 글자를 만들기 가장 효율적인 방법이기 때문에 한자에서 형성자가 차지하는 비중은 압도적으로 높다.

 


Anki 학습파일 :  


0004_형성자(形聲字)_육서(六書).apkg



한자의 분류 육서(六書) 개요 페이지 가기




<상형자(象形字)와 지사자(指事字)> Ankilog


설문해자에서는 상형자(象形字)와 지사자(指事字)를 더 이상 쪼갤 수 없는 기본적인 글자를 만드는 원리로 설명하고 있다


따라서 한자란 것이 상형(象形)과 지사(指事)의 원리로 만들어진 기본 글자를 결합하고 새로이 응용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상형자(象形字)구체적인 물체의 모양을 본 떠 만든 글자


    (입 구) : 벌리고 있는 입의 모양을 본 뜬 상형자


    (달 월) : 반달 혹은 초승달의 모양을 본 뜬 상형자



 지사자(指事字)상형으로 드러내기 어려운 추상적 개념을 부호화한 글자



    (한 일) : 하나라는 숫자를 표현한 지사자


    (두 이) : 둘이라는 숫자를 표현한 지사자


    (위 상) : 어떤 기준선의 윗부분을 표현한 지사자


    (아래 하) : 어떤 기준선의 아랫부분을 표현한 지사자






Anki 학습파일 : 0002_상형자(象形字)와 지사자(指事字)_육서(六書).apkg




한자의 분류 육서(六書) 개요 페이지 가기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