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서의 뜬금없는 결론을 상기해보자. 언어라는 것이 인간이 인지하는 여러 가지가 자연스럽게 반영되어 장전되었다가 자동으로 발사되는 것이 아닌가 하고 생각하기 시작했다. 이 뜬금없는 이야기를 조금 신빙성 있는 이야기로 전개해보자. 조금 긴 과정일 것 같다.
우선은 자막과 영상의 대응이라는 것에 주목해보자. 앞서, 어려운 전문용어 자막과 영상의 매치로 그 용어를 이해했다고 스스로 여기게 된 것을 이상하게 생각했다. 왜 그러냐면 마치 이런 것과 같은 느낌이다.
친구랑 길을 걷고 있는데 갑자기 친구가 이렇게 말한다.
“내가 어제 길을 가다가 피젯스피너를 주웠어.”
그런데 나는 “피젯스피너”라는 단어를 처음 들어봤다. 그럼 당연히 이렇게 말할 것이다.
“피젯스피너가 뭐야?”,
그러자 친구가 피젯스피너를 꺼내서 보여주면서 말한다.
“이거야.”
그렇게 나는 “피젯스피너”라는 것을 인식했다.
이 대화는 간단하게 축약하면 이런 상황이다. 대화 도중에 모르는 단어를 들었기 때문에 대화가 중단되고 해당 단어에 대한 일련의 파악이 있었다. 이 경우에는 그 궁금증을 실물을 보면서 해소했다. 물론, 완전히 해소된 것은 아니지만 그것으로 족했다. 하지만 관심이 있는 경우가 아니라면 그냥 실물을 본 순간 그냥 해소가 된다. 이 경우에는 단지 “피젯스피너”는 이것(실물)이라는 일련의 등치만 있을 뿐이다. 그리고 그것으로 끝났다. 만일, 친구가 그 “피젯스피너” 실물을 보여주지 않고 말로 이것을 설명했으면 어떻게 되었을까? 가령, “돌리는 거야.”, “이렇게 꼭지가 3방향으로 나있는 것도 있고, 장난감이야.” 원래 말로 설명하기 어려운 것을 설명할 때마다 새로운 궁금증이 나온다. 말로 전해진 어떤 사물의 외양이나 용도는 추상적이기 때문에 이해하기가 힘들다. 그리고 그것은 자꾸 답답함을 가져온다. 마치 앞에서 “피젯스피너”라는 모르는 단어를 들었을 때와 마찬가지로 새로운 설명은 다시 새로운 답답함을 가져온다. 하지만 실물을 보았을 때, 그 모든 궁금증이 가라앉고 선택의 문제가 된다. 그것을 직접 받아 면밀히 파악해볼 것인가 아니면 그냥 실물을 보고 그 단어에 매칭시키고 넘어갈 것인가로 선택하게 된다. 공이 완전히 나에게로 넘어왔다. 더 이상의 설명은 그저 실물에 부차적인 것이 될 뿐이다.
위의 대화를 언급한 것은 우리가 모르는 단어나 낯선 단어를 마주볼 때 반드시 그것의 내용을 채워야한다는 압력을 받는다는 것이다. 그리고 그 내용은 구체성을 갖추어야만 납득이 된다. 즉, 말로 설명하게 되면 구체적으로 상상하거나 이해할 수 있을 때까지 설명이 반복되어야만 할 것이다. 하지만 구체적인 사물을 보고, 듣고, 맛보고, 만져보게 되면 더 이상의 설명은 필요 없어진다. 이것은 본능처럼 자연스럽게 발생한다. 언어는 그 대응물이 있어야만 내 속에서 작동하는데 대응물이 없으니 언어가 작동하지 않고 대화는 멈추며 대화를 잇기 위해 그 대응물을 찾는 것이다.
이제, 자막과 영상의 대응을 통해 그 용어를 이해했다고 여기는 과정이 무엇인지 감잡을 수 있다.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감염(infection)이라는 자막과 함께 무언가 노란 기류 같은 것들이 세포들 사이로 퍼지는 영상을 봤을 때 자막에서 제시한 몇가지 키워드 '황색', '균', '감염'이라는 키워드와 영상이 일치했다. 따라서 나는 그 노란 기류를 '황색포도상구균'이라고 즉각적으로 인지했고, 그것이 퍼지는 것을 '감염(infection)'이라고 즉각적으로 인지했다. 그렇게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감염(infection)이라는 자막의 대사가 영상과 완전히 일치했기 때문에 자막은 영상을 가리킨 것이 되었고 더 이상의 의문은 발생하지 않았다. 물론, 이것은 영상이 자막을 충실히 구현했고 동시에 그 영상의 진위나 정확성을 따지고 파악할만한 배경지식이 없기 때문에 바로 자막과 영상이 동일하다는 매칭이 이루어진 것이다. 만일, 전문지식과 식견이 있었다면 영상을 비판적으로 봤을 가능성이 높다.
이제까지 언어가 대응물을 찾지 못했을 때 그 대응물을 찾기 위한 일련의 과정이 개시된다고 말해왔다. 그렇다면 굳이 대응물을 찾는 과정이 발생하지 않는 말들은 이미 대응물이 있다는 것이 된다. 그리고 그 대응물은 아마도 많은 사람들이 알고 있는 바로 그 ‘의미’라는 것이 될 것이다. 결국, 지금까지 열심히 써온 내용들이 실은 누구나 아는 “언어와 의미가 어떻게 대응되는가?” 하는 질문을 찾았고 그 대답의 일부를 찾은 상황인 것이다. 즉, 현재까지는 의미 모를 단어를 마주쳤을 때 반드시 그 구체적인 의미를 찾는 과정이 자동적으로 부지불식간에 개시되고 기존에 의미를 모른다면 새로운 의미가 그대로 수용되지만 기존에 의미를 알고 있다면 그것이 비판적으로 수용된다는 점을 파악한 셈이다.
그렇다면 이제부터 언어가 의미와 어떻게 대응되는지 본격적으로 살펴보자.
'정리되지 못한 이야기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자 공부를 하는 이유 (0) | 2019.02.10 |
---|---|
언어가 구사되는 법 03-일상적인 대화의 관찰 (0) | 2018.10.22 |
언어가 구사되는 법 01-자막과 영상 (0) | 2018.10.09 |
실어증 체험 도전기-06-내용 정리 (0) | 2018.10.02 |
실어증 체험 도전기-05-자막과 함께 드라마 보기 (0) | 2018.09.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