千字文 051 堅持雅操 好爵自縻


주의 : 아래에 포스팅된 천자문은 한학 초보가 공부하기 위하여 여러 책들을 보고 자의적으로 정리한 내용에 불과하므로 오류가 있을 수 있습니다.


천자문 전체 자료실 페이지 바로가기


1) 개별 한자 

堅 - 굳을 견(굳다, 굳세다)

持 - 가질 지(가지다, 지키다, 守)

雅 - 바를 아(바르다, 우아하다)

操 - 지조 조(지조, 절조, 잡다)

好 - 좋을 호

爵 - 벼슬 작(벼슬, 작위, 술잔)

自 - 스스로 자(스스로, 저절로)

縻 - 고삐 미(고삐, 얽어매다)


2) 한자어

堅持 - 굳게 지킨다.

雅操 - 바른 지조

好爵 - 좋은 벼슬

自縻 - 저절로 얽힌다.


3) 4자 풀이

堅持雅操 - 바른 지조를 굳게 지킨다.

好爵自縻 - 좋은 벼슬이 저절로 얽혀든다.


4) 8자 풀이

堅持雅操 好爵自縻

바른 지조를 굳게 지키면 좋은 벼슬이 저절로 얽혀든다.


5) 이전 구문

守眞志滿 逐物意移

堅持雅操 好爵自縻



Ankilog 학습파일


千字文 학습용 Anki 파일은 아래와 같습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Ankilog 파일: 千字文 051.apkg


수정: 2019-04-23 오전 4:27 카드 수 줄임(26개), 상단에 주의문 첨가



천자문 전체 자료실 페이지 바로가기



千字文 050 守眞志滿 逐物意移


주의 : 아래에 포스팅된 천자문은 한학 초보가 공부하기 위하여 여러 책들을 보고 자의적으로 정리한 내용에 불과하므로 오류가 있을 수 있습니다.


천자문 전체 자료실 페이지 바로가기


1) 개별 한자 

守 - 지킬 수

眞 - 참될 진(참됨, 올바름)

志 - 뜻 지

滿 - 가득찰 만(가득차다, 盈, 족하다)

逐 - 쫓을 축(쫓다, 從)

物 - 물건 물

意 - 뜻 의

移 - 옮길 이(옮기다, 움직이다. 動)


2) 한자어

守眞 - 참됨을 지키다.

志滿 - 뜻이 충만하다.

逐物 - 물건(물욕)을 쫓다.

意移 - 뜻이 움직인다.


3) 4자 풀이

守眞志滿 - 참됨을 지키면 뜻이 충만해진다.

逐物意移 - 물건(물욕)을 쫓으면 뜻이 움직인다.


4) 8자 풀이

守眞志滿 逐物意移 

참됨을 지키면 뜻이 충만해지고, 물건(물욕)을 쫓으면 뜻이 움직인다.


5) 이전 구문

性靜情逸 心動神疲

守眞志滿 逐物意移



Ankilog 학습파일


千字文 학습용 Anki 파일은 아래와 같습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Ankilog 파일: 千字文 050.apkg



수정: 2019-04-17 오후 1:36  "眞 - 참될 진"을 "올바른 이치"라고 해석하지 않고 참됨으로 수정함. 또, 자연의 이치라는 해석은 확장된 해석이고 글자의 본의와는 조금 거리가 있다고 판단하여 삭제함. Ankilog도 수정함(수정된 Ankilog를 다운받아 가져오기를 하면 수정된 내용으로 자동으로 업데이트 됨)


수정: 2019-04-23 오전 4:25 카드 수 줄임(26개), 상단에 주의문 첨가



천자문 전체 자료실 페이지 바로가기



千字文 049 性靜情逸 心動神疲


주의 : 아래에 포스팅된 천자문은 한학 초보가 공부하기 위하여 여러 책들을 보고 자의적으로 정리한 내용에 불과하므로 오류가 있을 수 있습니다.


천자문 전체 자료실 페이지 바로가기



1) 개별 한자 

性 - 성품 성(본성, 성질, 속성)

靜 - 고요할 정

情 - 뜻 정(뜻, 정, 감정)

逸 - 편안할 일(편안, 安, 달아나다)

心 - 마음 심

動 - 움직일 동

神 - 정신 신(정신, 귀신, 마음의 신령한 부분)

疲 - 지칠 피(지치다, 피곤하다)


2) 한자어

性靜 - 성품이 고요하다.

情逸 - 감정이 편안하다.

心動 - 마음이 움직이다.

神疲 - 정신이 지친다.


3) 4자 풀이

性靜情逸 - 성품이 고요하면 감정이 편안하다.

心動神疲 - 마음이 움직이면 정신이 지친다. 


4) 8자 풀이

性靜情逸 心動神疲

성품이 고요하면 감정이 편안하고, 마음이 움직이면 정신이 지친다. 


5) 이전 구문

節義廉退 顚沛匪虧

性靜情逸 心動神疲



Ankilog 학습파일


千字文 학습용 Anki 파일은 아래와 같습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Ankilog 파일: 千字文 049.apkg


수정: 2019-04-23 오전 4:24 Anki카드 노트 유형 변경 및 카드 수 줄임(26개), 상단에 주의문 첨가



천자문 전체 자료실 페이지 바로가기



千字文 048 節義廉退 顚沛匪虧


주의 : 아래에 포스팅된 천자문은 한학 초보가 공부하기 위하여 여러 책들을 보고 자의적으로 정리한 내용에 불과하므로 오류가 있을 수 있습니다.


천자문 전체 자료실 페이지 바로가기


1) 개별 한자 

節 - 마디 절(마디, 절조, 절개, 지조)

義 - 옳을 의(옳다, 의리, 뜻)

廉 - 청렴할 렴

退 - 물러날 퇴(물러나다, 양보, 겸손)

顚 - 엎어질 전(엎어지다, 정수리)

沛 - 자빠질 패(넘어지다, 자빠지다)

匪 - 아닐 비, 금지하는 말

虧 - 이지러질 휴(이지러지다, 어그러지다)


2) 한자어

節義 - 절개와 의리

廉退 - 청렴과 겸손

顚沛 - 엎어지고 자빠지다.(다급하고 위급한 상황)

匪虧 - 어그러뜨리지 말아야 한다.


3) 4자 풀이

節義廉退 - 절개와 의리와 청렴과 겸손

顚沛匪虧 - 위급한 상황에서도 어그러뜨리지 말아야 한다.


4) 8자 풀이

節義廉退 顚沛匪虧

절개와 의리와 청렴과 겸손을 위급한 상황에서도 어그러뜨리지 말아야 한다.


5) 이전 구문

仁慈隱惻 造次弗離

節義廉退 顚沛匪虧



Ankilog 학습파일


千字文 학습용 Anki 파일은 아래와 같습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Ankilog 파일: 千字文 048.apkg



수정: 2019-04-23 오전 4:24 Anki카드 노트 유형 변경 및 카드 수 줄임(26개), 상단에 주의문 첨가




천자문 전체 자료실 페이지 바로가기



千字文 020 恭惟鞠養 豈敢毁傷


주의 : 아래에 포스팅된 천자문은 한학 초보가 공부하기 위하여 여러 책들을 보고 자의적으로 정리한 내용에 불과하므로 오류가 있을 수 있습니다.


천자문 전체 자료실 페이지 바로가기




1) 개별 한자

恭 - 공손할 공

惟 - 생각할 유(생각하다, 오직)

鞠 - 기를 국(기르다, 축구공 농구공 등의 공)

養 - 기를 양(기르다)

豈 - 어찌 기

敢 - 감히 감(감히, 감행하다)

毁 - 헐 훼(헐다, 훼손하다)

傷 - 상처 상(상처, 손상하다)


2) 한자어

恭惟 - 공손히 생각하다.

鞠養 - 키우고 기르다.

豈敢 - 어찌 감히

毁傷 - 훼손시키고 상하게 하다.


3) 4자 풀이

恭惟鞠養 - 키우고 길러준 것을 공손히 생각하다.

豈敢毁傷 - 어찌 감히 훼손시키고 상하게 하겠는가.


4) 8자 풀이

恭惟鞠養 豈敢毁傷

키우고 길러준 것을 공손히 생각하니, 어찌 감히 훼손시키고 상하게 하겠는가.


5) 이전 구문

蓋此身髮 四大五常

恭惟鞠養 豈敢毁傷

    

앞의 구문에서 “대개 이 몸과 머리털은 사대와 오상이다.”에 이어서 해석된다. 그래서 이어서 해석해보면 “사대와 오상인 이 몸과 머리털을 길러주신 것은 부모님이니 함부로 훼손시키고 상하게 해선 아니 된다.”라는 의미로 풀이할 수 있다.



Ankilog 학습파일


千字文 학습용 Anki 파일은 아래와 같습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Ankilog 파일: 千字文 020.apkg

수정: 2019-04-23 오전 3:30 Anki카드 노트 유형 변경 및 카드 수 줄임(26개), 상단에 주의문 첨가




천자문 전체 자료실 페이지 바로가기



千字文 019 蓋此身髮 四大五常


주의 : 아래에 포스팅된 천자문은 한학 초보가 공부하기 위하여 여러 책들을 보고 자의적으로 정리한 내용에 불과하므로 오류가 있을 수 있습니다.


천자문 전체 자료실 페이지 바로가기



1) 개별 한자

蓋 - 대개 개(말을 시작하는 말), 덮을 개

此 - 이 차

身 - 몸 신

髮 - 터럭 발(머리털)

四 - 넉 사(숫자 4)

大 - 큰 대

五 - 다섯 오(숫자 5)

常 - 항상 상


2) 한자어

蓋此 - "대개 이 몸과 머리털이다."에서 "대개 이" 부분

身髮 - 몸과 머리털

四大 - 4가지 물질(불교는 물질을 물, 불, 바람, 땅의 4가지 요소로 나눈다.)

五常 - 사람의 다섯 가지 도리(인의예지신)


3) 4자 풀이

蓋此身髮 - 대개 이 몸과 머리털이다.

四大五常 - 사대와 오상이다.


4) 8자 풀이

蓋此身髮 四大五常

대개 이 몸과 머리털은 사대와 오상이다.

    

이 몸과 머리털은 불교의 4대라는 물질로 이루어져 있고, 유교의 사람의 다섯 가지 도리인 인의예지신에 따라서 다루어야 한다는 취지로 이야기를 시작하고 있는 구절이다. 다음의 구절과 연동되어야만 적절하게 해석될 수 있다.


5) 이전 구문

化被草木 賴及萬方

蓋此身髮 四大五常



Ankilog 학습파일


千字文 학습용 Anki 파일은 아래와 같습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Ankilog 파일: 千字文 019.apkg

수정 2019-03-05 오전 12:50 문구 수정, 사대와 8자 풀이 하단의 설명에서 문구를 다듬었고 해당 사항에 따라 Ankilog 수정

수정: 2019-04-23 오전 2:54 Anki카드 노트 유형 변경 및 카드 수 줄임(26개), 상단에 주의문 첨가




천자문 전체 자료실 페이지 바로가기



千字文 018 化被草木 賴及萬方


주의 : 아래에 포스팅된 천자문은 한학 초보가 공부하기 위하여 여러 책들을 보고 자의적으로 정리한 내용에 불과하므로 오류가 있을 수 있습니다.


천자문 전체 자료실 페이지 바로가기



1) 개별 한자

化 - 될 화(임금의 덕으로 인한 변화(덕화)라는 의미로 쓰임)

被 - 이불 피(이불, 입다, 미치다)

草 - 풀 초

木 - 나무 목

賴 - 힘입을 뢰(의뢰, 의지, 신뢰)

及 - 미칠 급(미치다, 이르다)

萬 - 일만 만(모든)

方 - 모 방(장소, 방위)


2) 한자어

化被 - 임금의 덕(덕화)이 미치다.

草木 - 풀과 나무

賴及 - 신뢰가 미치다.

萬方 - 만방(모든 장소, 모든 방향)


3) 4자 풀이

化被草木 - 임금의 덕(덕화)이 풀과 나무에 미치다.

賴及萬方 - 신뢰가 만방에 미치다.


4) 8자 풀이

化被草木 賴及萬方

임금의 덕(덕화)이 풀과 나무에까지 미치니, 신뢰가 만방에 미치게 된다.


5) 이전 구문

鳴鳳在樹 白駒食場

化被草木 賴及萬方



Ankilog 학습파일


千字文 학습용 Anki 파일은 아래와 같습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Ankilog 파일: 千字文 018.apkg

수정: 2019-03-01 오후 4:58 중복으로 올라간 컨텐츠 삭제 및 오타 수정

수정: 2019-04-23 오전 3:28 Anki카드 노트 유형 변경 및 카드 수 줄임(26개), 상단에 주의문 첨가



천자문 전체 자료실 페이지 바로가기



千字文 017 鳴鳳在樹 白駒食場


주의 : 아래에 포스팅된 천자문은 한학 초보가 공부하기 위하여 여러 책들을 보고 자의적으로 정리한 내용에 불과하므로 오류가 있을 수 있습니다.


천자문 전체 자료실 페이지 바로가기




1) 개별 한자

    

鳴 - 울 명(울다)

鳳 - 봉새 봉(봉황)

在 - 있을 재

樹 - 나무 수

白 - 흰 백

駒 - 망아지 구

食 - 먹을 식

場 - 마당 장


2) 한자어

鳴鳳 - 우는 봉황

在樹 - 나무에 있다.

白駒 - 흰 망아지

食場 - 마당에서 먹는다.


3) 4자 풀이

鳴鳳在樹 - 우는 봉황이 나무에 있다.

白駒食場 - 흰 망아지는 마당에서 먹는다.


4) 8자 풀이

鳴鳳在樹 白駒食場

우는 봉황이 나무에 있고, 흰 망아지는 마당에서 먹는다.


5) 이전 구문

遐邇壹體 率賓歸王

鳴鳳在樹 白駒食場



Ankilog 학습파일


千字文 학습용 Anki 파일은 아래와 같습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Ankilog 파일: 千字文 017.apkg

수정: 2019-04-23 오전 3:26 Anki카드 노트 유형 변경 및 카드 수 줄임(26개), 상단에 주의문 첨가




천자문 전체 자료실 페이지 바로가기



千字文 016 遐邇壹體 率賓歸王


주의 : 아래에 포스팅된 천자문은 한학 초보가 공부하기 위하여 여러 책들을 보고 자의적으로 정리한 내용에 불과하므로 오류가 있을 수 있습니다.


천자문 전체 자료실 페이지 바로가기



1) 개별 한자

    

遐 - 멀 하(멀다)

邇 - 가까울 이(가깝다)

壹 - 한 일(숫자 일)

體 - 몸 체(몸)

率 - 거느릴 솔(거느리다, 함께)

賓 - 손님 빈(손님)

歸 - 돌아갈 귀(돌아가다, 시집가다)

王 - 임금 왕(임금)


2) 한자어

遐邇 - 멀고 가까운(먼 곳과 가까운 곳)

壹體 - 한 몸

率賓 - 손님과 함께(손님을 거느리다)

歸王 - 왕에게 돌아가다(귀의하다.).

돌아간다 함은 자신의 본거지 고향, 의지할 곳 등으로 돌아가는 것이므로 왕에게 돌아간다 함은 왕이 의지할 곳이 되었다는 뜻이 된다. 그래서 귀의하다로 풀이한다.


3) 4자 풀이

遐邇壹體 - 멀고 가까운 이들이 한 몸이 된다.

率賓歸王 - 손님과 함께 왕에게 귀의하다.


4) 8자 풀이

遐邇壹體 率賓歸王

멀고 가까운 이들이 한 몸이 되어, 손님과 함께 왕에게 귀의하다.

    

멀리 있는 이는 이전 구문에서 신하가 된 오랑캐 융강(戎羌)을 의미하고 가까운 이는 백성인 려수(黎首)를 의미한다.


5) 이전 구문

愛育黎首 臣伏戎羌

遐邇壹體 率賓歸王



Ankilog 학습파일


千字文 학습용 Anki 파일은 아래와 같습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Ankilog 파일: 千字文 016.apkg


수정: 2019-04-23 오전 3:24 Anki카드 노트 유형 변경 및 카드 수 줄임(26개), 상단에 주의문 첨가




천자문 전체 자료실 페이지 바로가기



千字文 015 愛育黎首 臣伏戎羌


주의 : 아래에 포스팅된 천자문은 한학 초보가 공부하기 위하여 여러 책들을 보고 자의적으로 정리한 내용에 불과하므로 오류가 있을 수 있습니다.


천자문 전체 자료실 페이지 바로가기




1) 개별 한자

     

愛 - 사랑 애

育 - 기를 육

黎 - 검을 려

首 - 머리 수

臣 - 신하 신

伏 - 엎드릴 복

戎 - 오랭캐 융(서쪽의 오랭캐를 지칭하는 서융(西戎)을 의미)

羌 - 오랑캐 강(현재의 티베트족인 강족을 의미)


2) 한자어

愛育 - 사랑하고 기르다.

黎首 - 검은 머리(백성)

            사람의 머리가 검기 때문에 백성을 여수(黎首)라고 지칭함

臣伏 - 복종시켜 신하로 삼다.

戎羌 - 서쪽의 오랭캐인 강족


3) 4자 풀이

愛育黎首 - 백성을 사랑하고 기르다.

臣伏戎羌 - 서쪽의 오랑캐인 강족을 복종시켜 신하로 삼다.


4) 8자 풀이

愛育黎首 臣伏戎羌

백성을 사랑하고 기르며, 서쪽의 오랑캐인 강족을 복종시켜 신하로 삼다.


5) 이전 구문

坐朝問道 垂拱平章

愛育黎首 臣伏戎羌



Ankilog 학습파일


千字文 학습용 Anki 파일은 아래와 같습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Ankilog 파일: 千字文 015.apkg


수정: 2019-02-26 오후 3:42 Ankilog 내의 오타 수정 및 재업로드

수정: 2019-04-23 오전 3:19 Anki카드 노트 유형 변경 및 카드 수 줄임(26개), 상단에 주의문 첨가




천자문 전체 자료실 페이지 바로가기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