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수한자 네글자 039: 豕(돼지 시), 身(몸 신), 辛(매울 신), 言(말씀 언)>



부수한자 214개 전체 자료실 페이지 가기


 (돼지 시)


돼지 주둥이와 몸통, 다리, 꼬리 등의 모양을 형상화하여 돼지를 의미함


부수로써 의미 : 돼지, 짐승


 (몸 신)


임신한 여자의 몸을 형상화


부수로써 의미 : 사람의 몸, 신체


 (매울 신)


얼굴에 죄목을 새기는 날카로운 도구의 모양으로 죄수노예 또는 고통의 의미로 사용되었는데, 의미가 확대되어 '맵다, 쓰다' 등의 뜻으로 사용됨


부수로써 의미 : 죄, 노예, 힘들다, 맵다


 (말씀 언)


혀를 입(口)밖으로 길게 뽑고 있는 모양에다 끝에 가로선을 더해 '말하다' 라는 의미를 나타냄


부수로써 의미 : 말하다, 이야기, 언어



 Anki 학습파일


Anki 학습파일은 아래와 같이 한자와 독음만 간단하게 암기할 수 있는 한자연습글자의 생성원리나 부수의 의미 기타 사항 등을 공부하는 심화학습의 2종류로 나누어 첨부했습니다. 


부수한자연습_039.apkg


부수한자심화학습_039.apkg



부수한자 214개 전체 자료실 페이지 가기



vim 실행하기


vim실행하고자 할 때는 프롬프트에서 vim 이라고 입력하면 된다. 특정 파일을 열면서 실행하고 싶다면 vim [열고 싶은 파일 이름] 형식으로 입력하면 된다


$ vim vim 실행

$ vim test.txt  vim이 test.txt 파일을 열면서 실행



vim 종료하기


vim종료하고 싶다면 명령 모드에서 :q 또는 :quit 라고 입력하면 된다. 그러면 명령 라인에 :q 또는 :quit 명령어가 보이게 되고 [Enter] 키를 눌러 입력하면 종료된다. (:q 로 기억하자)


:q


vim을 종료할 때 아무런 변경 사항이 없다면 아무런 문제 없이 종료되겠지만, 변경 사항이 있다면 저장이 되지 않았다는 내용의 에러 메시지가 나오면서 종료가 되지 않는다. 이 경우 저장하지 않고 종료하려면 느낌표(!)q 뒤에 붙여주면 된다. 


:q!


느낌표(!)vim에서 명령을 강제로 실행하라는 의미이다.



vim 파일 저장하기


강제 종료는 부득이한 상황에 하는 것이고 대부분의 경우 제대로 저장을 하고 종료해야 한다. 윈도우즈에서의 저장은 Save지만 vim 계열은 디스크에 쓴다라는 의미에서 Write 라고 한다. 따라서 명령어는 :write 혹은 :w 이다. (:w 로 기억하자)


:w  → 원래 파일 이름으로 저장

:w test.txt  → test.txt라는 이름으로 저장

:w > file.txt → file.txt 파일에 덧붙여 저장


저장하고 종료가 같이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저장 명령인 w 와 종료 명령인 q를 합쳐서 :wq 로 명령하는 경우가 많다. 혹은 명령 모드에서 ZZ 키를 눌러 바로 저장하고 종료할 수 있다. 


:wq → 원래 파일 이름으로 저장하고 종료

:wq test.txt  → test.txt라는 이름으로 저장하고 종료

ZZ → 원래 파일 이름으로 저장하고 종료(명령라인 모드 명령이 아님, 명령 모드에서 대문자 ZZ)



vim 파일 불러오기


마지막으로 vim에서 원하는 파일을 열고 싶을 때:e [파일명] 형식으로 원하는 파일을 불러온다.


:e file.txt file.txt 파일을 불러옴

 


Anki 파일


아래는 본 포스팅의 내용을 갈무리하기 위한 Anki 파일입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004 vim의 실행과 종료 및 파일 불러오기와 저장.apkg


<부수한자 네글자 038: 谷(골 곡), 豆(콩 두), 里(마을 리), 釆(분별할 변)>



부수한자 214개 전체 자료실 페이지 가기


 (골 곡)


샘물이 구멍(口)에서 나와 아래로 흐르는 모양으로 골짜기를 의미함


부수로써 의미 : 계곡


 (콩 두)


주로 제사 때 사용하던 뚜껑과 발이 달린 그릇의 모양을 형상화한 것인데 후에 가차되어 ''이라는 의미로도 사용됨


부수로써 의미 : 콩, 제기


 (마을 리)


田(밭 전)土(흙 토)가 결합되어 개간한 밭이 있는 마을을 의미함


부수로써 의미 : 사람들이 사는 마을, 사람의 노력


 (분별할 변)


발자국을 형상화한 글자로 발자국으로 동물을 분별했기 때문에 '분별하다'라는 의미로 사용됨


부수로써 의미 : 분별하다, 발자국



 Anki 학습파일


Anki 학습파일은 아래와 같이 한자와 독음만 간단하게 암기할 수 있는 한자연습글자의 생성원리나 부수의 의미 기타 사항 등을 공부하는 심화학습의 2종류로 나누어 첨부했습니다. 


부수한자연습_038.apkg


부수한자심화학습_038.apkg



부수한자 214개 전체 자료실 페이지 가기



vim에서 기준이 되는 모드는 명령(command) 모드이다. vim은 명령 모드에서 단축키로 빠르게 대부분의 일을 처리하지만 단축키로는 복잡한 명령을 내리는데 한계가 있기 때문에 복잡한 명령을 내릴 방법이 별도의 방법이 필요하다. 그 방법으로 vim명령 라인에 복잡한 명령을 직접 입력하는 방식을 선택했다.


명령 모드에서 콜론(:), 슬래쉬(/), 물음표(?) 키를 누르면 아래의 명령 라인에 명령어를 입력할 수 있게 된다아래의 사진은 명령 모드에서 콜론(:) 키를 누른 것으로 가장 하단에 콜론(:)이 입력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후에 눌려지는 키는 계속 그 줄에 입력이 되므로 명령 라인에 명령어를 입력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콜론(:)이 입력된 행(Row)을 명령 라인이라고 부른다. 명령 라인을 사용할 수 있는 상태를 명령라인 모드, Ex 모드 등으로 부르기도 한다.

 



앞서 본 vim  종료 명령도 이 명령 라인에 :q!를 입력한 것이다. 


:q!


슬래쉬(/) 키나 물음표(?) 키를 누르면 콜론(:)키와 마찬가지로 명령 라인에 슬래쉬(/) 키나 물음표(?) 키가 입력되면서 명령 라인을 사용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슬래쉬(/) 키나 물음표(?) 키를 누른 후 찾으려는 패턴을 입력하면 패턴이 나오는 곳으로 커서가 이동하는데 슬래쉬(/) 키는 정방향(문서의 아래 방향) 탐색, 물음표(?) 키는 역방향(문서의 위 방향) 탐색이다슬래쉬(/) 키와 물음표(?)에 의한 탐색은 후에 패턴을 지정하는 정규 표현식(Regular Expression)과 함께 다시 논의하기로 한다.

 

명령 라인은 대부분 콜론(:) 키를 이용하여 vim 설정 명령, 파일 관련 명령편집기 명령 등 다양하고 복잡한 명령을 입력하는데 사용한다. 

 

명령 라인에서 다시 명령 모드로 돌아오려면 Esc 키를 누르면 된다. 물론, 명령어를 명령 라인에 입력하고 Enter를 치면 명령을 실행하고 명령 모드로 돌아온다.


팁: Esc 키는 키보드에서 조금 누르기 힘든 위치에 있다. 그래서 이것을 대체하는 키가 있는데 그것이 바로 <Ctrl+[> 키다. (< >로 묶인 키는 동시에 누른다. , Ctrl 키를 누른 상태에서 [ 키를 누른다.)



본 포스팅의 내용을 갈무리 하기 위한 Anki 파일입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003 명령 라인(명령줄).apkg


<부수한자 네글자 037: 艸(풀 초), 行(다닐 행), 角(뿔 각), 見(볼 견)>



부수한자 214개 전체 자료실 페이지 가기


 艸(艹) (풀 초)


풀들이 여기저기 돋아나 있는 모양을 형상화


부수로써 의미 : 식물, 풀


艹(초두머리)라고 불리기도 함


 (다닐 행)


사방으로 갈라진 사거리를 형상화하여 사거리를 다닌다라는 의미를 나타냄


부수로써 의미 : 사거리, 움직이다


 (뿔 각)


뾰족하게 튀어나온 소의 뿔과 그 무늬를 형상화


부수로써 의미 : 모서리, 뿔


 (볼 견)


눈을 의미하는 目(눈 목)과 사람이 무릎 꿇고 앉아 있는 儿(어진 사람 인)이 결합되어 '본다' 라는 의미를 나타냄


부수로써 의미 : 보다, 의견



 Anki 학습파일


Anki 학습파일은 아래와 같이 한자와 독음만 간단하게 암기할 수 있는 한자연습글자의 생성원리나 부수의 의미 기타 사항 등을 공부하는 심화학습의 2종류로 나누어 첨부했습니다. 


부수한자연습_037.apkg


부수한자심화학습_037.apkg



부수한자 214개 전체 자료실 페이지 가기



<부수한자 네글자 036: 舟(배 주), 竹(대 죽), 至(이를 지), 舛(어그러질 천)>



부수한자 214개 전체 자료실 페이지 가기


 (배 주)


통나무 가운데를 파내 만든 조그마한 나룻배의 모양을 형상화


부수로써 의미 : 배나 비행기 관련


 (대 죽)


길게 자란 대줄기이파리의 모양을 형상화


부수로써 의미 : 대나무의 종류, 대나무로 만든 용구(서류, 종이, 책, 피리)


 (이를 지)


화살이 하늘에서 날아와 땅에 박힌 모양을 형상화


부수로써 의미 : 장소, 이르다


 (어그러질 천)


서로 반대로 등지고 있는 양쪽 발의 모양을 형상화하여 '반대하다', '어긋나다', '배반하다' 등의 뜻으로 쓰임


부수로써 의미 : 발, 걷다, 춤추다



 Anki 학습파일


Anki 학습파일은 아래와 같이 한자와 독음만 간단하게 암기할 수 있는 한자연습글자의 생성원리나 부수의 의미 기타 사항 등을 공부하는 심화학습의 2종류로 나누어 첨부했습니다. 


부수한자연습_036.apkg


부수한자심화학습_036.apkg



부수한자 214개 전체 자료실 페이지 가기

<부수한자 네글자 035: 衣(옷 의), 而(말 이을 이), 耳(귀 이), 自(스스로 자)>



부수한자 214개 전체 자료실 페이지 가기


 衣(衤) (옷 의)


옷깃과 소매를 가진 윗도리를 형상화


부수로써 의미 :


 (말 이을 이)


콧수염이나 턱수염을 형상화한 글자로 후대에 가차(假借)되어 인칭대명사인 '' 또는 말을 잇는 접속사로 사용됨


부수로써 의미 : 글자를 분류하는 기준으로 주로 사용됨


 (귀 이)


사람의 귀를 형상화한 글자이고 가차(假借)되어 '~뿐이다' 라는 한정의 의미로도 사용됨


부수로써 의미 : 귀, 듣는 것


 (스스로 자)


사람의 코를 형상화하였고 의미가 확대되어 '자신, 스스로'라는 의미로 변화됨


부수로써 의미 : 코, 냄새, 자기


 Anki 학습파일


Anki 학습파일은 아래와 같이 한자와 독음만 간단하게 암기할 수 있는 한자연습글자의 생성원리나 부수의 의미 기타 사항 등을 공부하는 심화학습의 2종류로 나누어 첨부했습니다. 


부수한자연습_035.apkg


부수한자심화학습_035.apkg



부수한자 214개 전체 자료실 페이지 가기

<부수한자 네글자 034: 羊(양 양), 羽(깃 우), 肉(고기 육), 聿(붓 율)>



부수한자 214개 전체 자료실 페이지 가기


 (양 양)


굽은 뿔을 가진 양의 모습을 형상화


부수로써 의미 : 좋다, 유익하다, 훌륭하다


 (깃 우)


새의 양 날개나 긴 깃털의 모양을 형상화


부수로써 의미 : 새, 깃털, 날아가다, 익히다


 肉(月) (고기 육)


고기를 칼로 잘라놓으면 안에 힘줄이 고기의 결을 형성하고 있는 모양을 형상화


부수로써 의미 : 신체, 장기, 먹을 것


 (붓 율)


붓과 같은 필기구를 잡고 있는 손의 모양을 형상화


부수로써 의미 : 건축, 길, 법령



 Anki 학습파일


Anki 학습파일은 아래와 같이 한자와 독음만 간단하게 암기할 수 있는 한자연습글자의 생성원리나 부수의 의미 기타 사항 등을 공부하는 심화학습의 2종류로 나누어 첨부했습니다. 


부수한자연습_034.apkg


부수한자심화학습_034.apkg



부수한자 214개 전체 자료실 페이지 가기

<부수한자 네글자 033: 色(빛 색), 舌(혀 설), 臣(신하 신), 襾(덮을 아)>



부수한자 214개 전체 자료실 페이지 가기


 (빛 색)


아래에 무릎을 꿇은 사람이 있고 위에도 사람이 있는 모양으로 남녀 사이의 애정이란 뜻을 가졌고, 후에 '색깔, 얼굴색'으로 의미가 확대됨


부수로써 의미 : 색깔, 빛, 안색


 (혀 설)


뱀의 입에서 혀가 길게 뽑혀 나온 모양을 형상화 


부수로써 의미 : 혀, 핥는다, 맛보다, 말하다


 (신하 신)


사람이 머리를 숙이고 있을 때 옆에서 본 눈의 모양에서 고개를 숙이고 복종하는 ''이나 '신하'라는 의미를 부호화


부수로써 의미 : 보는 것, 감독하는 것


 (덮을 아)


천이나 보자기 등으로 귀한 물건을 담고 다시 싸맨 모양을 형상화


부수로써 의미 : 덮다



 Anki 학습파일


Anki 학습파일은 아래와 같이 한자와 독음만 간단하게 암기할 수 있는 한자연습글자의 생성원리나 부수의 의미 기타 사항 등을 공부하는 심화학습의 2종류로 나누어 첨부했습니다. 


부수한자연습_033.apkg


부수한자심화학습_033.apkg



부수한자 214개 전체 자료실 페이지 가기

vim이 좋다는 사실에 동의하지만, 시간도 부족하고 그걸 다시 익히는 지난한 과정을 생각하면 선뜻 손이 가지 않는 사람들이 많을 것이다. 


바쁘게 사는 현대인들 중에 vim을 붙잡고 단축키를 외울 여유가 있는 사람이 얼마나 되겠는가?


그런데, 약간 오해가 있는 것 같다.


vim일반적인 텍스트 에디터처럼 글을 작성하고 편집하는 수준에 오르는데는 그리 많은 시간이 필요하지 않다


이 부분에서는 마치 vim의 모든 단축키를 외우고 이를 활용할 수 있어야만 vim이 사용가능하다는 식의 오해가 있는 것 같다. 


물론, 수많은 단축키와 명령어들을 알면 알수록 vim을 보다 빠르고 효율적인 작업이 가능하다. 


하지만 그런 단축키와 명령어들을 모른다고 해서 보통 사람들이 처음 텍스트 에디터를 더듬거리면서 조작하는 초보적인 수준의 에디터 사용이 불가능한 것은 아니다. 


이런 초보적인 수준의 vim 사용이 가능해지는데 도움을 주는 것이 바로 vim 튜토리얼이다. 


보통, vim을 설치하면 vimtutor라는 프로그램이 같이 설치되는데, 바로 이 vimtutorvim튜토리얼이다. 


프롬프트에서 다음과 같이 명령어를 작성하고 [Enter]를 친다.


$ vimtutor


그러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온다. 




vim 튜토리얼은 어떤 키를 누르고 어떤 행위를 할 것이지 하나하나 친절하게 가르쳐주고 있어서 그대로 읽고 따라하다 보면 25~30분 정도 후 vim일반적인 텍스트 에디터 수준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본인도 vim을 사용하면서 처음 한번은 포기했는데, 이미 익숙한 방식과 vim의 방식이 서로 혼동되면서 불편해졌기 때문이다. 그리고 단순히 단축키를 외우는 것 만으로는 vim에 익숙해지는 것이 매우 어려웠다. 


하지만 vimtutor를 통해 실습을 하면서 몸에 익게되면서 어느 정도 사용이 가능해지게 되면서 조금 편안해지게 되었다. 


역시, 뭐든지 우선 몸이 익숙해지는 과정이 반드시 필요한 것 같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