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수한자 네글자 022: 日(날 일), 爪(손톱 조), 支(지탱할 지), 止(그칠 지)>



부수한자 214개 전체 자료실 페이지 가기



 (날 일)


태양의 모양을 본 뜬 글자


부수로써 의미 : 해, 하루, 낮, 매일매일


 爪(爫) (손톱 조)


아래에 있는 물건을 손가락으로 움켜쥐듯이 잡는 손의 모양을 형상화


부수로써 의미 : 손, 잡다, 긁다, 누르다


 (지탱할 지)


대나무 가지를 손에 쥐고 있는 모양에서 몸을 지탱한다는 의미부호화


부수로써 의미 : 가지, 지탱하다


부수의 활용 : 부수의 의미보다는 발음기호로 사용됨


 止 (그칠 지)


멈춰 서 있는 발과 발가락 모양을 형상화


부수로써 의미 : 머무르다, 서다, 걷다, 움직이다



 Anki 학습파일


Anki 학습파일은 아래와 같이 한자와 독음만 간단하게 암기할 수 있는 한자연습글자의 생성원리나 부수의 의미 기타 사항 등을 공부하는 심화학습의 2종류로 나누어 첨부했습니다. 


부수한자연습_022.apkg


부수한자심화학습_022.apkg



부수한자 214개 전체 자료실 페이지 가기



<부수한자 네글자 021: 歹(앙상한 뼈 알), 曰(가로 왈), 牛(소 우), 月(달 월)>



부수한자 214개 전체 자료실 페이지 가기




 (앙상한 뼈 알)


살이 다 떨어져 앙상해진 뼈의 모양을 형상화


부수로써 의미 : 뼈, 죽음


 (가로 왈)


口(입 구)에 가로선을 그어 입에서 말이 밖으로 나온다는 의미를 부호화


부수로써 의미 : 가로되, 말하다


 (소 우)


뿔이 양쪽으로 솟아난 소의 머리를 정면으로 본 모습을 형상화


부수로써 의미 : 가축, 사육, 물건


 (달 월)


달의 모양을 본 뜬 상형자로 달을 의미하지만 달이 차고 기우는 것으로 시간의 흐름을 파악했기에 세월의 의미도 있음


부수로써 의미 : 달, 시기, 세월



 Anki 학습파일


Anki 학습파일은 아래와 같이 한자와 독음만 간단하게 암기할 수 있는 한자연습글자의 생성원리나 부수의 의미 기타 사항 등을 공부하는 심화학습의 2종류로 나누어 첨부했습니다. 


부수한자연습_021.apkg


부수한자심화학습_021.apkg



부수한자 214개 전체 자료실 페이지 가기



<부수한자 네글자 020: 水(물 수), 心(마음 심), 氏(뿌리 씨, 성 씨), 牙(어금니 아)>



부수한자 214개 전체 자료실 페이지 가기




 水(氵) (물 수)


아래로 흘러내리는 물의 모양을 형상화


부수로써 의미 : 물, 액체, 강


부수의 위치가 변(글자의 왼쪽)이면 氵(삼수 변)으로 변형된다.


 心(忄) (마음 심)


심장 모양을 형상화하여 마음이라는 의미를 나타냄


부수로써 의미 : 마음, 심장, 느낌, 중앙


부수의 위치가 변(글자의 왼쪽)이면 忄(심방변)으로 변형됨


 (뿌리 씨, 성 씨)


땅속으로 뻗어있는 나무 뿌리의 모양 또는 부족을 상징하는 상징물의 모양을 형상화


부수로써 의미 : 부수로써 의미는 없고 글자를 분류하는 기준으로만 사용됨


 (어금니 아)


입의 안쪽에 난 어금니나 코끼리의 상아를 형상화


부수로써 의미 : 어금니, 이빨


 Anki 학습파일


Anki 학습파일은 아래와 같이 한자와 독음만 간단하게 암기할 수 있는 한자연습글자의 생성원리나 부수의 의미 기타 사항 등을 공부하는 심화학습의 2종류로 나누어 첨부했습니다. 


부수한자연습_020.apkg


부수한자심화학습_020.apkg



부수한자 214개 전체 자료실 페이지 가기



<부수한자 네글자 018: 毋(말 무), 文(글월 문), 方(모 방), 攴(칠 복)>



부수한자 214개 전체 자료실 페이지 가기



 (말 무)


女(여자 녀)의 중간에 선을 그어 여자가 부정이나 잘못을 하지 못하게 한다는 의미로 부호화


부수로써 의미 : 금지하다


부수로써의 활용 : 의미보다는 주로 글자를 분류하는 기준으로 활용


  (글월 문)


가슴에 새겨진 무늬를 형상화하여 ‘문양’이나 ‘무늬’라는 의미로 사용되다가 '글자'나 '문장'이란 의미까지 확대됨


부수로써 의미 : 문양, 글자, 문장


 (모 방)


농사를 짓는 수단인 쟁기의 날을 형상화하거나 깃발을 형상화한 것으로 보아 '방법'과 '방향', '깃발' 등으로 활용


부수로써 의미 : 방법, 방향, 깃발


부수로써 활용 : 의미보다는 주로 발음부호로 활용


 攴(攵) (칠 복)


손에 나뭇가지 등을 잡고 치거나 때리는 형상


부수로써 의미 : 때리다, 억지로 하다


攴(칠 복)이 한자의 오른쪽(방)에 쓰일 때는 攵(칠 복)의 형태로 변형되어 사용됨


攵(칠 복)은 文(글월 문)과 비슷한 형태인 관계로 '等글월 문' 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Anki 학습파일


Anki 학습파일은 아래와 같이 한자와 독음만 간단하게 암기할 수 있는 한자연습글자의 생성원리나 부수의 의미 기타 사항 등을 공부하는 심화학습의 2종류로 나누어 첨부했습니다. 


부수한자연습_018.apkg


부수한자심화학습_018.apkg



부수한자 214개 전체 자료실 페이지 가기



<부수한자 네글자 017: 斗(말 두), 毛(털 모), 木(나무 목), 无(없을 무)>


부수한자 214개 전체 자료실 페이지 가기



 (말 두)


곡식이나 액체 등을 담은 손잡이 달린 그릇, 즉 국자의 모양을 형상화하였고 국자를 닮은 북두칠성의 '별이름'으로 사용됨


부수로써 의미 : 담다, 국자, 용량


 (털 모)


짐승의 털이나 새의 깃털의 모양을 형상화하였고 후에 식물의 풀이나 미세하다 등의 의미까지 확대됨


부수로써 의미 : 털, 터럭, 풀


 (나무 목)


나무의 가지와 줄기, 그리고 뿌리를 형상화


부수로써 의미 : 나무, 수목


 (없을 무)


天(하늘 천)에서 오른쪽을 굽혀서 부족함을 표시해 '없다'는 뜻을 나타낸 것으로 본다.


부수로써 의미 : 없다


부수의 의미를 활용하는 경우는 거의 없고 형성자에서 음을 나타내는 성부(聲符)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음



 Anki 학습파일


Anki 학습파일은 아래와 같이 한자와 독음만 간단하게 암기할 수 있는 한자연습글자의 생성원리나 부수의 의미 기타 사항 등을 공부하는 심화학습의 2종류로 나누어 첨부했습니다. 


부수한자연습_017.apkg


부수한자심화학습_017.apkg



부수한자 214개 전체 자료실 페이지 가기



<부수한자 네글자 014: 子(아이 자), 彳(걸을 척), 巛(내 천), 寸(마디 촌)>


부수한자 214개 전체 자료실 페이지 가기



  (아이 자)


머리에 비해 아직 덜 자란 손과 발을 가진 어린애의 모양을 형상화


부수로써 의미 : 어린아이, 자식, 아들


 (걸을 척)


네거리를 나타낸 行에서 왼쪽 길만을 그려 '걷는다'는 의미를 부호화


부수로써 의미 : 걷다, 움직이다


두인변이라고도 부른다.


 巛(川) (내 천)


도랑 등에서 물이 흘러내리는 모양을 형상화


부수로써 의미 : 개울, 고을


 (마디 촌)


마디란 손가락 하나의 폭 정도의 길이를 의미한다.


본래 맥박이 뛰는 부분을 표시한 것으로 손목에서 마디하나 정도의 거리에 해당하므로 마디라는 의미를 갖게 됨


부수로써 의미 : 작다, 마디, 법도



 Anki 학습파일


Anki 학습파일은 아래와 같이 한자와 독음만 간단하게 암기할 수 있는 한자연습글자의 생성원리나 부수의 의미 기타 사항 등을 공부하는 심화학습의 2종류로 나누어 첨부했습니다. 필요에 따라서 다운로드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부수한자연습_014.apkg


부수한자심화학습_014.apkg



부수한자 214개 전체 자료실 페이지 가기



<부수한자 네글자 013: 尢(절름발이 왕), 幺(작을 요), 弋(화살 익), 廴(길게 걸을 인)>


부수한자 214개 전체 자료실 페이지 가기



 尢(兀) (절름발이 왕)


한쪽 다리가 굽은 사람의 모양을 형상화


부수로써 의미 : 절름발이, 곤란함


  (작을 요)


태아가 어머니 몸 속에서 갓 태어난 모양을 형상화


부수로써 의미 : 미세하다, 작다, 어리다


  (화살 익)


옆으로 튀어 나온 가지에 물건이 걸려있는 말뚝 모양을 형상화한 글자인데 후에 줄달린 창이나 화살로 가차되어 사용됨


부수로써 의미 : 말뚝, 화살


 (길게 걸을 인)


彳(걸을 척)의 모양을 길게 늘여서 천천히 걷는다는 의미를 부호화


부수로써 의미 : 도로, 걷다


통칭 '민책받침' 이라고 불리기도 함



 Anki 학습파일


Anki 학습파일은 아래와 같이 한자와 독음만 간단하게 암기할 수 있는 한자연습글자의 생성원리나 부수의 의미 기타 사항 등을 공부하는 심화학습의 2종류로 나누어 첨부했습니다. 필요에 따라서 다운로드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부수한자연습_013.apkg


부수한자심화학습_013.apkg



부수한자 214개 전체 자료실 페이지 가기



<부수한자 네글자 007: 入(들 입), 卩(병부 절), 八(여덟 팔), 勹(쌀 포)>


부수한자 214개 전체 자료실 페이지 가기



 (들 입)


땅으로 파고 들어가는 식물의 뿌리 형태, 움집으로 들어가기 위해 상체를 숙인 사람의 모양을 형상화하여 '들어가다' 라는 의미가 생김


부수로써 들어가다 라는 뜻을 가지지만 글자를 분류하기 위한 기준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아 크게 중요하지 않음


 (병부 절)


병부(兵符)란 왕이 병권을 나누어준 장수에게 부여하는 신표를 의미하는데 후에는 남녀 사이의 사랑의 정표로도 사용되었다. 


명령을 받고 있거나 식사를 하기 위해 무릎을 꿇고 있는 사람의 모양을 형상화


부수는 주로 병부(兵符)의 의미로 사용됨


 (여덟 팔)


어떤 물건을 반으로 꺾거나 잘라서 둘로 나뉜 형태 또는 서로 구분해서 등지고 있는 상태를 형상화하여 '등지다', '분별하다' 라는 의미를 생성했는데, 후에 역학 등에 의하여 숫자 8로 부호화됨.


부수로써 등지다, 분별하다 라는 의미를 가지지만 글자를 분류하기 위한 기준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아 크게 중요하지 않음


 (쌀 포)


사람이 몸을 굽히고 있는 모양 또는 팔을 길게 펴서 감싼 모양을 형상화하여 '감싸다'는 의미를 나타냄


부수로써 감싸다 라는 뜻을 가지지만 형성자에서 음을 나타내는 성부(聲符)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음



 Anki 학습파일


Anki 학습파일은 아래와 같이 한자와 독음만 간단하게 암기할 수 있는 한자연습글자의 생성원리나 부수의 의미 기타 사항 등을 공부하는 심화학습의 2종류로 나누어 첨부했습니다. 


부수한자연습_007.apkg


부수한자심화학습_007.apkg



부수한자 214개 전체 자료실 페이지 가기



<부수한자 네글자 005:  冫(얼음 빙), 厶(사사로울 사), 十(열 십), 厂(기슭 엄, 언덕 한)>


부수한자 214개 전체 자료실 페이지 가기



 (얼음 빙)


얼음의 결 모양을 형상화한 글자


부수로써 얼다, 차갑다 라는 뜻을 가지고 이수변, 두점변이라고 불리기도 함


 (사사로울 사)


땅을 파는 쟁기와 그 끝에 붙은 보습의 형상인데 개인의 노력을 통하여 자신의 이익을 챙기는 모습에서 사사롭다는 의미로 부호화한 글자


부수로써 사사롭다 라는 뜻을 가지지만 글자를 분류하기 위한 기준의 부수로 쓰일 때가 많아 부수의 의미가 크게 중요하지 않음


마늘모 라고 불리기도 한다. 


 (열 십)


숫자 10이라는 추상적인 의미를 부호화한 글자


부수로써 10, 완전하다, 많다 라는 뜻을 가지지만 글자를 분류하기 위한 기준의 부수로 쓰일 때가 많아 부수의 의미가 크게 중요하지 않음


 (기슭 엄, 언덕 한)


한쪽이 절벽처럼 된 언덕의 모양을 형상화한 글자


부수로써 언덕, 낭떠러지 라는 뜻을 가지고 민엄호 라고 불리기도 함



 Anki 학습파일


 Anki 학습파일은 아래와 같이 한자와 독음만 간단하게 암기할 수 있는 한자연습글자의 생성원리나 부수의 의미 기타 사항 등을 공부하는 심화학습의 2종류로 나누어 첨부했습니다. 필요에 따라서 다운로드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부수한자연습_005.apkg


부수한자심화학습_005.apkg



부수한자 214개 전체 자료실 페이지 가기




<의자(會意字)> Ankilog


이미 있는 글자들이 결합되어 새로운 뜻과을 갖게 되는 글자


글자가 결합한 방식에 따라서 아래의 3종류로 나눈다.



 동체회의자(同體會意字)같은 글자끼리 결합된 회의자


(수풀 림)(나무 목) + (나무 목)

(빽빽한 수풀 삼)(나무 목) + (나무 목) + (나무 목)

(물건 품)(입 구) + (입 구) + (입 구)

 


이체회의자(異體會意字)다른 글자끼리 결합된 회의자


(좋을 호)(여자 녀) + (아들 자)

(밝을 명) =(날 일) + (달 월)

(쉴 휴) = (사람 인) + (나무 목)


 

생체회의자(省體會意字)원 글자의 일부분이 생략된 채 결합된 회의자


(효도할 효)(늙을 로) + (아들 자)

(일할 노)(경영할 영) + (힘 력)




Anki 학습파일 :  0003_회의자(會意字)_육서(六書).apkg




한자의 분류 육서(六書) 개요 페이지 가기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