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10 속성(attribute)과 속성 작성방법


속성을 일일이 살펴볼 단계는 아니지만 일단 속성이라는 것이 있고 그것을 어떻게 작성하는지는 알아두어야 추후 속성이 나올 때 당황하지 않을 것 같으므로 미리 정리해두자.

    

다음은 앞에서 배운 <html> 요소에서 속성을 사용한 경우다.

     

<html lang="ko">내용</html>


위의 <html> 요소에서 lang속성명이고 ko는 한국어를 의미하는 속성값이다. <html> 요소에 lang 속성을 부여하여 이 문서가 한국어로 작성된 HTML 문서라는 것을 검색엔진에게 드러내고 있다.

      

우선, 속성(attribute)이란 HTML 요소(element)에 추가 정보를 부여하는 것으로 W3C 재단에서 표준으로 정의해 놓은 것을 사용한다. 개발자가 임의로 속성을 만들지 않는다.

      

속성을 작성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속성들은 반드시 시작태그에 명시한다.

아래와 같이 종료태그에 속성을 명시하는 것은 잘못된 사용례이다.

<html></html lang="ko">

    

2) 속성들은 보통 속성명="속성값" 형태로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lang="ko"

title="header"

src="test.png"

속성명 다음에 공백없이 등호(=)가 오고 그 다음에 공백없이 속성값이 오는 것에 주의해야 한다.

속성명은 대소문자와 상관없지만 소문자(lowercase)로 쓰는 것을 권장한다.

※ 속성값은 큰 따옴표로 묶도록 하자. (큰 따옴표가 없어도 되지만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아 사용하는 것을 권장한다.)

    

3) 하나의 요소가 여러 개의 속성을 가질 수 있다. 속성과 속성 사이는 공백으로 구분한다. 

여러 개의 속성은 원하는 순서로 임의로 배치할 수 있다.

<태그명 속성명1="속성값1" 속성명2="속성값2" 속성명3="속성값3">내용(content)</태그명>


속성이 기입된 다음 사례들을 살펴보자.

    

<html> </html lang="ko">

→ 속성은 시작태그에 작성

    

<html lang=ko>내용</html>

→ 속성값은 큰 따옴표로 묶는 것을 권장함("ko")

    

<html LANG="ko">내용</html>

→ 속성명은 소문자(lowercase)를 권장함(lang)

    

<html lang ="ko">내용</html>

→ 속성명과 등호(=) 사이에 공백이 없어야 함

    

<태그명>내용</태그명 속성명="속성값"

→ 속성은 시작태그에 작성

    

<html lang= "ko">내용</html>

→ 등호(=)와 속성값 사이에 공백이 없어야 함

    

<태그명 속성명1="속성값1"속성명2="속성값2">내용</태그명>

→ 속성들 간은 공백으로 구분되어야 함

    

<html lang = "ko">내용</html>

→ lang과 등호(=) 사이의 공백과 등호(=)와 속성값 사이의 공백이 없어야 함


Anki 파일


아래는 본 포스팅의 내용을 갈무리하기 위한 Anki 파일입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Ankilog 파일:  0010 속성(attribute)과 속성 작성방법.apkg






0009 <html></html> 요소와 속성


HTML 문서의 큰 틀은 다음과 같다. 

      

<!DOCTYPE html>

    

<html>

 <head>웹페이지 관련 정보들</head>

 <body>본문(웹페이지의 내용)</body>

</html>


문서유형선언(document type declaration) 바로 아래에 나오는 <html> 태그에서 HTML 문서가 시작되고 </html> 태그에서 HTML 문서가 끝난다. 즉, HTML 문서는 문서유형선언을 제외하면 하나의 <html> </html> 요소(element)인 셈이다.

     

요소(element) 안에 또 다른 요소를 넣는 것을 ‘중첩(nesting)’이라고 하는데, 하나의 HTML 문서는 <html> </html> 요소 내부에 <head></head> 요소와 <body></body> 요소가 중첩(nesting)되어 만들어진다. 

    

<html></html> 요소가 HTML 문서를 이루는 다른 모든 요소의 뿌리가 되므로 루트 요소(root element)라고도 한다.

     

<html> 요소는 lang 속성을 가질 수 있다. 이 lang 속성검색엔진이 웹 페이지를 검색할 때 어떤 언어로 작성되어 있는지를 검색엔진이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지정하는 것이다. (lang 속성을 <html> 요소만 가질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만일, <html> </html> 요소가 한국어로 작성되었다고 명시하고 싶다면 시작태그를 아래와 같이 작성하면 된다.

     

<html lang="ko">


lang 속성은 검색을 위해서만 필요하고, 웹 브라우저가 웹 페이지를 게시하는데 어떠한 영향도 미치지 않는다.


Anki 파일


아래는 본 포스팅의 내용을 갈무리하기 위한 Anki 파일입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Ankilog 파일:   0009 html 요소와 속성.apkg








0008 HTML 문서유형선언(document type declaration)


웹 브라우저 간 시장 점유율 싸움으로 HTML은 상당기간 부침이 있었기 때문에, 버전별로 조금씩 상이한 부분이 있고, 표준과 어긋나는 경우도 상당수 있다. 이런 경우 어떤 HTML을 버전을 사용하고 있는 문서인지 웹 브라우저에게 알려주어 웹 페이지가 정확하게 게시될 수 있게 해주어야 한다. 이를 문서유형선언(document type declaration)이라고 한다.

    

표준 HTML 문서는 최상단에 다음과 같은 선언으로 시작한다. (문서의 선언은 HTML 문서 최상단에 있어야 한다.)

     

<!DOCTYPE html>


따라서 실제 HTML 문서는 다음과 같이 작성되는 셈이다. 

    

<!DOCTYPE html>

     

<html>

 <head>웹페이지 관련 정보들</head>

 <body>본문(웹페이지의 내용)</body>

</html>


HTML5로 넘어오기 전에는 복잡하고 다양한 선언을 알아야 했지만 다행스럽게도 HTML5부터는 표준화가 이루어지면서 <!DOCTYPE html> 선언문만 알면 된다. 

    

<!DOCTYPE html> 선언은 표준 HTML을 사용하고 있다는 것을 웹 브라우저에게 제시하는 선언이고 더 이상 버전 번호를 표시하지 않는다. 그리고 앞으로도 HTML의 표준 명세는 하위 버전과 호환성을 갖추면서 새로운 기능을 지원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어 표준이기만 하다면 더 이상 별도의 버전 표시가 필요 없게 되었다.

     

이 문서유형선언이 꺽쇠(<>)로 둘러싸여 있다고 해서 태그로 이루어진 요소(element)로 여길 수 있지만 왼쪽 꺽쇠(<) 다음에 느낌표(!)가 오면 요소(element)가 아니라는 뜻이다. 

     

HTML5 표준의 선언이 얼마나 간단한지는 다음과 같이 표준이 아닌 버전의 HTML 문서유형 선언을 보면 알 수 있다.

      

<!DOCTYPE html PUBLIC "-//W3C//DTD HTML 4.01//EN" "http://www.w3.org/TR/html4/strict.dtd">


Anki 파일


아래는 본 포스팅의 내용을 갈무리하기 위한 Anki 파일입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Ankilog 파일:  0008 HTML 문서유형선언.apkg







그리스 알파벳을 외워 두면 의외로 소소하게 많은 도움이 된다. 


그리스 알파벳을 실생활에 언어에 쓰지는 않지만 표기법, 음성기호, 각종 수식에 사용하는 변수 등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서구권의 학문에서는 수식의 변수나 지표 등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따라서 해당 문자의 대문자와 소문자를 알고 읽는 법을 알아두면 그러한 문서를 읽는 것에 은연중 도움이 많이 되고, 언어학이나 문자 관련 자료를 읽을 때는 거의 필수적으로 알아두어야 한다.


그리스 문자 암기용 Anki 파일은 아래와 같다. 


외우려고 하기 보다는 카드를 보면서 한번씩 인상에 새기면 하루에 5분 정도로 3일이면 금방 익숙해질 것이다. 


그리스문자.apkg



Anki 파일의 구성 내용


Anki에서 내용 구성은 다음과 같다. 


그리스 문자 24개 각 문자별로 대문자와 소문자 그리고 읽는 법을 엮어 1개씩 노트를 만들어 총 24개의 노트를 만든다.


아래는 노트번호-대문자-소문자-읽는 법 순으로 배열했다. 


01 Α α alpha 알파

02 Β β beta 베타

03 Γ γ gamma 감마

04 Δ δ delta 델타

05 Ε ε epsilon 엡실론

06 Ζ ζ zeta 제타

07 Η η eta 에타

08 Θ θ theta 세타

09 Ι ι iota 요타

10 Κ κ kappa 카파

11 Λ λ lambda 람다

12 Μ μ mu 뮤

13 Ν ν nu 뉴

14 Ξ ξ xi 크시

15 Ο ο omicron 오미크론

16 Π π pi 파이

17 Ρ ρ/ς rho 로

18 Σ σ sigma 시그마

19 Τ τ tau 타우

20 Υ υ upsilon 업실론

21 Φ φ phi 피

22 Χ χ chi 키

23 Ψ ψ psi 프시

24 Ω ω omega 오메가



각 문자별로


대문자, 소문자, 읽는 법을 각각 빈칸으로 처리하여 각 노트마다 3개의 카드를 만들어 총 72개의 카드를 만든다.


만들어진 카드는 아래와 같이 나타난다. 


Image Occlusion Enhanced 사용 개요


IOE는 매우 유용한 추가 기능이므로 상세한 내용을 모두 설명하면 좋겠지만 아쉽게도 이 추가 기능은 사용자를 위하여 모든 것을 고려하여 빈틈없이 완성된 그런 소프트웨어는 아닌 것 같다. 실제로 작동하지 않는 메뉴도 있고, 매뉴얼도 없다. 개발자의 위키(Wiki) 페이지를 보아도 건드리지 말라는 설정과 주의할 부분이 많다. 개발자들이 상세한 내용을 파악하여 사용할 수는 있어도 비 개발자들이 이 추가 기능을 상세하게 파악하여 입맛대로 사용하기는 어려워 보이고 딱, 정해진 방식으로 안정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좋을 것 같다. 물론, 그 정해진 방식으로만 사용해도 충분히 쓸만하다. 따라서 이 포스팅도 전형적이고 간단한 사용법 위주로 설명한다.


IOE 들어가기


메인 메뉴에서 추가를 클릭하여 노트 추가창(Note Editor)을 열면 아래의 그림과 같이 각종 메뉴를 모아놓은 곳 가장 우측에  모양의 아이콘이 있다. 이 아이콘을 클릭한다.




그러면 아래와 같이 작업할 이미지와 간단하게 작업할 수 있는 화면이 나타난다. (작업 이미지가 나타나지 않고 작업할 이미지를 고르기 위한 대화상자가 나타날 수도 있다. 이 부분은 추후 다시 언급한다.)



이 작업할 화면으로 할 수 있는 일은 크게 Mask Editor 탭의 이미지 관련 작업Fields 탭의 필드 관련 내용으로 나눈다.



Mask Editor 탭에서 이미지 관련 작업하기


1) 작업할 이미지 고르기


위의 경우에는 작업할 이미지가 바로 나타났는데 이는 그 전에 [CTRL]-c로 클립보드에 저장된 이미지가 자동으로 나타나도록 되어 있기 때문이다. 클립보드에 아무런 이미지가 저장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는 작업할 이미지를 선택할 수 있는 창이 별도로 나타난다. 


물론, 클립보드에 들어있는 이미지 말고 다른 이미지로 작업해야 하는 경우가 많을 것이다. 이 때에는 아래와 같이 [Change Image] 버튼을 클릭하여 이미지를 교체하면 된다. 



2) 간단한 이미지 편집 및 텍스트 집어넣기


①번은 마우스의 궤적에 따라 선을 그리게 해주는 버튼이다. 해당 버튼을 누르고 마우스 좌클릭을 하면서 움직이는 궤적대로 선이 그려진다.


②번은 직선 그리기 버튼이다. 버튼을 누른 후 시작점에서 마우스를 좌클릭하고 클릭을 유지한 상태에서 선을 끝내고 싶은 지점에서 클릭한 것을 놓으면 시작점과 끝점을 연결하는 선이 그려진다. 


③번은 텍스트 상자 버튼이다. 해당 버튼을 누르고 그림 위에 마우스를 좌클릭 하면 텍스트를 키보드로 입력할 수 있는 텍스트 상자가 생긴다.



3) 그림 가리개(Image Occlusion) 사용


가리개는 이미지의 특정 부위를 가려주고 정답을 확인할 때 그 가리개를 제거하여 무엇이 있는지 확인하게 해주는 도구다. 따라서 이미지를 가리는 용도로만 사용되므로 상대적으로 단지 가리개를 어떤 모양과 색으로 할지만 단순하게 결정하면 된다. 


①번 버튼은 사각 가리개 버튼이다. 사각형의 가리개를 만들게 해준다. 

②번 버튼은 원 가리개 버튼이다. 원 모양의 가리개를 만들게 해준다.

③번 버튼은 다각형 가리개 버튼이다. 아래 사진에서 범퍼를 가린 것처럼 조금 복잡하고 세밀하게 가리개를 만들고 싶을 때 사용한다. 


마지막으로 하단에 가리개 옵션이 있다. 가리개의 내부색, 선색, 선의 두께 등을 설정할 수 있게 해준다.



4) 카드 만들기


이제 가리개를 아래의 그림과 같이 전부 세팅했으면 이제 카드를 만들어야 한다. 카드를 만들 때는 아래의 그림에서 빨간 박스 안에 들어있는 세 가지 버튼 중에서 골라야 한다. 


Hide All, Reveal One

Hide All Reveal All

Hide One, Reveal All


그리고 버튼을 누르면 가리개의 숫자만큼의 카드가 그 자리에서 바로 생성된다.




① Hide All, Reveal One

아래의 그림을 보자 카드의 앞면은 가리개로 가린 모든 부분이 숨어 있고, 카드에서 물어보고자 하는 부분의 가리개만 색깔이 다르게 나타난다. [답보기] 버튼을 클릭하면 아래와 같이 색깔이 다른 부분만 답이 노출된다. (이때, 다른 가려진 부분을 보고 싶으면 Toggel Masks 버튼을 클릭하면 된다.)




즉, Hide All, Reveal One 버튼을 눌러 카드를 만들면, 카드 앞면은 가리개로 가린 모든 부분이 가려져 있게 하고, [답보기] 버튼을 눌렀을 때, 카드에서 물어보는 부문 1개만 가리개를 치워서 답을 확인하게 해주는 형식의 카드를 만든다. 



② Hide All Reveal All

아래의 그림을 보자 카드의 앞면은 가리개로 가린 모든 부분이 숨어 있고, 카드에서 물어보고자 하는 부분의 가리개만 색깔이 다르게 나타나는 것은 위의 경우와 동일하다. 하지만 [답보기] 버튼을 클릭하면 아래와 같이 가리개로 가려져 있던 모든 부분이 전부 노출된다는 점이 위와 다르다. 



즉, Hide All, Reveal All 버튼을 눌러 카드를 만들면, 카드 앞면은 가리개로 가린 모든 부분이 가려져 있게 하고, [답보기] 버튼을 눌렀을 때, 모든 가리개를 치워서 답을 확인하게 해주는 형식의 카드를 만든다. 



③ Hide One, Reveal All


아래의 그림을 보자 이 경우는 앞서 두 가지 버튼과 달리 카드의 앞면에는 오직 1개의 가리개만 있고 다른 가리개로 가렸던 부분은 전부 노출되어 있다. 그리고 [답보기] 버튼을 클릭하면 아래와 같이 가리개로 가려져 있던 노출되면서 결국 가리개로 가려져 있던 모든 부분이 노출된다. 




즉, Hide One, Reveal All 버튼을 눌러 카드를 만들면, 카드 앞면은 카드에서 물어보고자 하는 항목 1개만 가리개로 가려지고 다른 모든 부분은 그대로 노출된다. 그리고 [답보기] 버튼을 눌렀을 때, 모든 가리개를 치워서 답을 확인하게 해주는 형식의 카드를 만든다. 



Fields 탭에서 몇 가지 내용 입력하기


위에서 Hide All, Reveal One, Hide All Reveal All, Hide One, Reveal All의 세 버튼 중 하나를 눌러 카드를 만들기 전에 입력 필드에 필요한 정보를 입력하면 좋다. 물론, 아무것도 입력하지 않아도 아무런 문제없이 카드를 만들 수 있다. 하지만 제목이나 각종 관련 사항들을 정리하고 확인할 수 있도록 필드에 값을 입력하면 보다 충실한 학습이 가능해진다.


아래의 그림과 같이 Fields 탭을 눌러 이동한다.



그러면 아래와 같이 입력 필드들이 나타난다. 


① Header

학습할 이미지의 제목이나 이름를 나타내는 필드다. 카드 앞면에서부터 나타나고 이미지의 상단에 배치된다.


② Footer

학습할 이미지를 학습할 때 참고할만한 힌트나 유의사항 등을 표시하는 필드다. 카드 앞면에서부터 나타나고 이미지의 하단에 배치된다.


③ Remarks

이미지에서 가려진 부분을 속으로 생각하고 나서 [답보기] 버튼을 눌렀을 때, 알아두면 좋은 추가적인 정보나 디테일한 내용 등을 적어놓는 필드다. 카드 뒷면에 노출된다. 


④ Sources

학습하고 있는 이미지의 출처가 되는 책이나 자료, 웹 사이트 등을 적는 필드다. 카드 뒷면에 노출된다.


⑤ Extra

Extra 1과 Extra 2의 두 개의 필드가 있다. 카드 뒷면에 노출되는 필드인데, 기타 필요 사항이 있을 때 적는다. 



Anki에서 입력 필드를 설정하는 것은 보통 노트 유형에서 결정된다. 하지만 IOE의 경우 Anki의 노트 추가창이나 탐색기를 이용하여 필드를 편집하면 오작동이 일어나게 되므로 설정을 변경하지 않는 것이 좋다. 


각 필드별로 필요한 내용을 기입하면 아래의 사진과 같이 카드가 나타난다. 카드 앞면 부분이 먼저 나타나고 [답보기]를 클릭하면 카드 뒷면 부분이 추가적으로 나타난다.




관련 포스팅들...


간단하게 그림 파일을 삽입하여 카드 만들기 

IOE 01 Image Occlusion Enhanced 소개

IOE 02 Image Occlusion Enhanced 설치하기

IOE 03 Image Occlusion Enhanced 사용하기  ☜ 현재 포스팅

IOE(Image Occlusion Enhanced) 설치하기


우선, IOE를 설치해보자. 


Anki를 실행하고 메인 메뉴에서 도구→추가 기능(A)→둘러보고 설치하기... 를 클릭한다. 




그러면 아래와 같이 설치 코드를 기입할 수 있는 대화창이 나타난다. 이 코드 옆의 입력 필드에 설치 코드를 기입하고 [확인] 버튼을 누르면 추가 기능이 설치된다. 


지금은 설치 코드를 모르므로 [탐색] 버튼을 눌러 추가 기능을 볼 수 있는 웹 페이지로 이동한다. 




이 웹 페이지에서 아래와 같이 Image Occlusion Enhanced를 눌러 해당 추가 기능을 소개하고 있는 IOE에 대한 상세 페이지로 이동한다.




IOE에 대한 상세 페이지에 들어가서 하단으로 스크롤하여 이동하면 Download 아래쪽에 설치 코드 1111933094가 나타난다. 이 코드를 복사한다. 




복사한 설치 코드를 설치 코드를 기입할 수 있는 대화상자에 아래처럼 붙여넣고 확인을 클릭하면 Image Occlusion Enhanced 추가 기능이 다운로드 된다.



추가 기능 다운로드가 완료되면 아래와 같이 Anki를 다시 시작하라는 메시지 상자가 나타난다.


 


Anki를 다시 시작하고 메인 메뉴에서 도구를 클릭해서 확인하면 아래와 같이 IOE(Image Occlusion Enhanced)가 설치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관련 포스팅들...


간단하게 그림 파일을 삽입하여 카드 만들기 

IOE 01 Image Occlusion Enhanced 소개

IOE 02 Image Occlusion Enhanced 설치하기  ☜ 현재 포스팅

IOE 03 Image Occlusion Enhanced 사용하기

앞에서 포스팅한 간단하게 그림 파일을 삽입하여 카드 만들기에서 이미지를 카드에 삽입하는 방법을 배웠다. 하지만 동시에 이러한 작업 방식으로는 품이 너무 많이 들어서 다량의 이미지를 학습에 사용하기 어렵다. 이번에는 그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추가 기능(add-on)인 Image Occlusion Enhanced(이하 IOE로 지칭)를 소개하고자 한다.


아래의 이미지처럼 자동차의 부위별로 선을 그어 해당 부위의 명칭을 설명해주는 방식의 도판은 학습용으로 자주 사용되는 방식이다. 한 그림 안에 다량의 지식을 집약할 수 있고 서로의 관련성이 이미지에서 유기적으로 통합되어 있기 때문에 종합적이고 방대한 지식을 이미지 하나로 축약해서 전달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우리는 이러한 이미지를 어떠한 방식으로 학습했을까?



뭔가 특이하고 혁신적인 공부방법이 있지는 않았던 것 같다. 그저 해당 화살표가 가리키는 부위를 확인하면서 그 부위의 명칭을 입으로 발음해보고 속으로 되새겨보고 어느 정도 익혔다고 생각하면 각각의 명칭을 손가락으로 가리거나 포스트잇 같은 것으로 살짝 가리고 제대로 기억하는지 답을 떠올려보면서 가린 것을 치우고 제대로 기억했는지 확인하는 방식으로 공부했을 것이다. 


우리가 위와 같은 이미지 도판을 이용하여 학습할 때 사용하던 방식을 그대로 쓸 수 있도록 효과적으로 도와주는 Anki추가 기능(add-on)이 바로 IOE(Image Occlusion Enhanced)이다. 이 이름을 한국어로 번역하면 “이미지 가리개 개선판” 정도로 번역되는 것인데 말 그대로 이미지에서 특정 부위를 가려서 그 부위의 모양이나 내용을 떠올리면서 공부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다. 


그럼 이건 어떻게 사용될까? 실제로 사용되는 경우를 봐야 바로 감이 올 것이므로 실제로 위의 이미지로 그림 가리개 카드를 만든 것을 살펴보자. 


아래는 IOE로 만든 카드를 학습하는 모습니다. 카드 앞면을 보면 위의 이미지에서 car door, tire, Front bumper 등 각 부위별 명칭이 네모난 사각형 박스로 가려져서 나타난다. 이 카드는 사각형 박스 중 빨간색으로 되어 있는 박스 속에 어떤 단어가 있는지 묻고 있다. 그리고 [답 보기] 버튼을 클릭하면 빨간 사각형 박스가 사라지면서 그 내부에 어떤 단어가 있었는지 드러난다.



총 6개의 사각형이 있으므로 1개의 사각형 박스당 1개의 카드가 만들어져 우리가 공부할 그림이 6개의 카드가 되어 나타난다. 이 때 우리가 한 일이라곤 추가 기능인 IOE로 이미지 내부에 6개의 사각형을 그린 것뿐이다. 그러면 Anki는 자동적으로 6개의 학습용 카드를 만들어서 이 이미지를 완전히 숙지하게 도와주게 된다. 만일, 이 추가 기능이 없었다면 우리는 6개의 조금씩 상이한 버전의 그림을 그려서 일일이 카드를 만드는 수고를 했어야만 할 것이고 학습 이전에 해야할 노동으로 학습 의욕의 저하를 겪었을 것이다. 이 추가 기능이 수많은 해부학 도판을 외워야 하는 의대생들의 전폭적인 지지를 받는 까닭이다.


이제 다음부터는 Image Occlusion Enhanced를 실제로 설치하고 간단하게 사용해보자. 



관련 포스팅들...


간단하게 그림 파일을 삽입하여 카드 만들기 

IOE 01 Image Occlusion Enhanced 소개  ☜ 현재 포스팅

IOE 02 Image Occlusion Enhanced 설치하기

IOE 03 Image Occlusion Enhanced 사용하기

 

그림 파일 삽입의 필요성

 

정보에는 다양한 형식이 있다. 그리고 그 정보는 자신과 어울리는 형식을 취할 때 가장 효과적으로 전달된다. 만일 소리와 언어는 글이나 오디오 형식이 적합할 것이고 풍경이나 인물은 이미지 형식이 적합할 것이다. 그리고 형식을 잘 지킨다면 굉장히 효율적인 학습이 가능해진다. 효과적인 학습을 위하여 지식을 구조화하는 20가지 규칙에서 6번 규칙

이 이러한 이미지 사용을 적극 권장하고 있으니 참고하기 바란다. 

 


가령, 영어단어를 예로 들어보자. car라는 단어를 백날 설명하는 것보다 그림으로 보여주는 것이 훨씬 효과적이다. 그렇다면 Anki에서 앞면에는 car의 그림을 보여주면서 뒷면에는 이것을 영어로 'car'라고 한다는 것을 알려주는 영어단어 공부 카드를 만들면 좋을 것 같다. 만들어보자. 

 

 

기본 카드 유형으로 영어단어 공부 카드 만들기

 

보통 매뉴얼에서 미디어(Media) 삽입에 대해서 간략하게 설명을 하지만, 매뉴얼이 상당히 간접적으로만 설명하고 있어서 우선, 아무런 추가 기능(add-on)이 없을 때 어떻게 이미지나 그림 파일을 삽입해서 카드를 만드는지 알아보자.

 

우선, 사진을 찍든 인터넷에서 다운을 받든 자동차 관련 그림 파일을 준비한다. 그리고 원하는 카드뭉치를 만들고 노트 추가창(Note Editor)로 들어가서 노트 유형은 기본 카드 유형인 Basic 으로 고른다. Front 필드에 자동차 사진 파일을 집어넣는다. 

 

 

Front 필드에 사진 파일을 넣는 방법은 간단하다. 해당 파일을 [CTRL]-c 키로 복사해서 프론트 필드에 [CTRL]-v 키로 붙여넣으면 된다. 즉, 복사붙여넣기를 하면 된다. 

 

 

 

 

 

이제 Back 필드에 'car'라고 적고 [추가] 버튼을 클릭하면 카드가 만들어진다.

 

 

 

완성된 카드를 열어보니 우선 처음에는 자동차 그림만 나타나고 아래의 [답 보기] 버튼을 클릭해보니 해당 카드의 영어단어인 'car'가 답으로 나타난다. 상당히 쓸만한 것 같다.

 

 

 

 

그런데 이 방식에는 문제점이 있는 것 같다. 가령, 다음과 같은 그림이 있을 때 과연 어떻게 카드를 만들어야 할까?

 

 

위의 그림은 우리가 각종 단어집 등에서 흔히 보는 그림으로 하나의 사물에 각 부위별 명칭을 표시하고 있다. 이 모든 부위를 위에서 설명한 기본 형식의 카드로만 만들게 되면 일단, 위의 그림에서 단어와 화살표를 지우고 필요한 화살표만 남겨야 한다. 즉, 이 그림의 약간 변형된 버전이 6개가 필요한 것이다. 열심히, 포토샵이나 그림판 등으로 부위별 사진을 잘 만들어서 카드를 일일이 만들 수는 있다. 그런데 그렇게 일일이 작업 하려고 하면 너무나 많은 시간과 노력이 들어간다. 지금이야 사진 한 장에 불과하니 어찌어찌 해볼 수 있지만 당장 수십개의 그림만 처리하려고 해도 하루 종일 작업량이 훌쩍 늘어난다. 해결책이 필요하다.

 

당연한 이야기지만 이런 경우를 위하여 만들어진 추가 기능(add-on)이 있다. 바로 Image Occlusion Enhanced 이다. 

다음에는 이 추가 기능(add-on) Image Occlusion Enhanced에 대해서 알아보자. 

 

 

관련 포스팅들...

 

 

간단하게 그림 파일을 삽입하여 카드 만들기  ☜ 현재 포스팅

 

IOE 01 Image Occlusion Enhanced 소개

 

IOE 02 Image Occlusion Enhanced 설치하기

 

IOE 03 Image Occlusion Enhanced 사용하기

 

 

기초 사용법 마무리



이제껏 vim에 대해서 기초적인 것들은 대부분 언급한 것 같다. 이 다음 단계는 vim의 각종 플러그인을 사용해보고vim 프로그래밍 스크립트를 작성하는 것이다.

 

스스로의 공부를 위해서 공부할 내용을 짧고 간결하게 제시하고 이를 앙키(Anki)로 정리하여 첨부한 것이 Ankilog. 그리고 vim을 익히려면 우선적으로 어느 정도 수준으로는 사용할 수 있게 만들어놓아야 그 때부터 실제 작업에 vim을 사용하면서 시행착오를 겪고 발전해나갈 수 있게 될 것이라고 판단했다. 그래서 잘 모르는 부분이라도 일단, 기초적인 사용법을 숙지하는 것에 초점을 두고 Ankilog를 작성해왔다.

 

그런데 해보니 역시 IT에 대한 기초가 없이 많이 부족한 자신과 마주치게 되었다. 간단한 텍스트 에디터의 사용법을 파악하는데도 이해하기 어려운 맥락이 많이 보이고, 원문 기술서들은 영어는 알아먹겠는데 그 내용이 전혀 이해가 되지 않는 이상한 현상을 자주 겪었다. 아마도 내 무지로 인하여 vim에 대해서 그 동안 올린 것들도 일부 틀린 것이 존재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래서 원래, 계획은 플러그인이나 스크립트에 대해서도 공부를 할 생각이었지만 지금의 내 실력으로는 도저히 역부족으로 보여서 이제는 잠깐 접고 내공을 기르기 위하여 다른 공부를 하려고 한다. 오히려 다른 IT 공부를 하면서 지금까지 배운 vim을 적극 활용해서 개발도 해보고 프로그래밍도 공부하면서 시행착오를 겪어가면서 vim을 직접 사용하는 것에 중점을 두어야 할 시기라는 생각이다.

 

그리고 이제껏 공부했던 vimAnki를 하나로 모아서 아래에 첨부하니 필요한 분은 사용하시기 바란다. 



Anki 파일


아래는 그 동안 올렸던  vim의 Anki를 하나로 모아놓은 Anki 파일입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탭 끼워넣기


작업을 하다보면 들여쓰기 때문에 행의 맨앞에 탭을 삽입해야할 경우가 많이 생긴다. 물론, 그럴 때마다 일일이 행의 처음으로 이동해서 편집 모드로 들어가 탭을 집어넣고 다시 나와서 작업을 해야 한다면 무척 번거로울 것이다.


이런 경우를 위해서 vim에서는 행 앞에 탭을 쉽게 삽입하거나 제거할 수 있게 만들어 놓았다


명령 모드 >>(오른쪽 꺽쇠 2회 누름)

 

현재 커서가 위치한 행의 맨 앞에 탭 하나를 삽입한다.


명령 모드 <<(왼쪽 꺽쇠 2회 누름)

 

현재 커서가 위치한 행의 맨 앞에 있는 탭 하나를 제거한다


위에 소개된 명령은 여러 개의 행에 동시에 적용할 수 있다.

 

명령 모드 [#]>> 

 

현재 커서 위치를 1행으로 해서 아래로 #행까지 행의 맨 앞에 탭 하나를 삽입한다


명령 모드 [#]<< 

 

현재 커서 위치를 1행으로 해서 아래로 #행까지 행의 맨 앞에 탭 하나를 제거한다



들여쓰기 자동정렬


소스코드의 들여쓰기가 잘못되었거나 잘못되었을 경우 이를 제대로 정렬할 수 있는 손쉬운 방법이 있다.

 

비주얼 모드로 들여쓰기를 정렬할 영역을 지정한 후 등호(=) 를 누르면 들여쓰기가 깔끔하게 정렬된다.

 

, 별도로 블록을 지정하지 않고 그냥 소스코드 전체의 들여쓰기를 정렬하려면 명령 모드에서 gg=G라고입력하면 된다.

 


자동완성 기능 사용하기


어떤 변수나 함수를 타이핑할 때 너무 복잡한 이름이거나 잘 모르는 이름일 경우에는 자동 완성 기능을 사용하여 손쉽게 이를 해결할 수 있다.

 

편집 모드 <Ctrl-p>


커서 위치에서부터 위로 자동 완성이 가능한 단어가 있는지 찾아서 제시함


편집 모드 <Ctrl-n>


커서 위치에서부터 아래로 자동 완성이 가능한 단어가 있는지 찾아서 제시함


자동완성 기능을 사용하는 모습은 다음과 같다. 



Anki 파일


아래는 본 포스팅의 내용을 갈무리하기 위한 Anki 파일입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