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8 유성음 박탈 경험
음성학을 공부하면서 말소리를 자음이니 모음이니 분석하고 나누게 되었다. 덕분에 이론적으로 자음과 모음이 무엇인지 알았지만 그렇다고 손에 잡힐 듯이 와닿는 그런 개념은 아니었다. 하물며, 유성음과 무성음의 차이라는 것은 더더욱 막연한 이야기였다. 영어를 본능적인 수준에서 자연스럽게 사용하기 위해서는 유성음과 무성음을 자연스럽게 구분해서 듣고 말할 수 있어야 한다. 하지만 한국어 원어민으로 살아온 인생이 너무 길어서인지 아무리 들어도 유성음이 무엇이고 무성음이 무엇인지 잘 구별이 가지 않았다. 억지로 나눈다면 약간 연극적인 톤의 목소리가 유성음 같이 들리긴 했지만 확신하기 어려웠다.
유성음을 의식적으로 내는 법을 익혀보려고 내 목의 성대 부분에 손을 대고 진동을 느껴보면서 말하는 연습을 해봤지만 일상적인 수준의 음량에서는 진동이 잘 느껴지지 않는다. 진동을 느끼려면 목소리를 최대한 높여야 하는데 그 정도부터는 이미 일상적인 말하기라기 보다는 무슨 연극 연습같아 어색했다. 이 경우 모음은 성대가 떨리는 것을 잘 느낄 수 있지만 유성 자음은 그렇지 않다. 자음은 워낙 짧게 발음되고 이어서 바로 모음의 진동이 시작되기 때문이다. 결국, 유성음을 내서 성대가 떨리는건지 모음으로 인한 진동인지를 구별하기 어려웠다. 물론, 모음도 유성음이지만 워낙 자연스럽게 나오는 소리라서 익힌다는 개념을 떠올리기 쉽지 않았다. 또, 영어에서 자음들이 무성음과 유성음으로 구분되는 것과 달리 모음은 전부 유성음이기 때문에 이를 별도로 익힐 이유도 없다고 생각했다.
그러던 어느 날 목이 쉬었다. 목이 쉬면 보통 말을 자제하고 따뜻한 차를 마시면서 회복에 집중해왔다. 그런데, 이번엔 조금 달랐다. 음성학 공부로 인하여 내 말소리가 제대로 발음되고 있는지 정확한 입모양과 혀위치를 두고 있는지 관찰하고 있었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평소와 다른 내 말소리를 요모조모 뜯어보았다. 그리고 쉬어버린 내 말소리가 어떻게 만들어지는지 바로 이해할 수 있었다.
말소리가 쉬었는지 아닌지는 누구나 들으면 안다. 그래도 특징들을 한 번 잡아보자. 일단, 목소리에 튜브 공기 빠지는 소리 즉, ‘ㅎ~ㅅ~’ 같은 소리가 마구 섞인다. 또, 소리가 크게 나오지 않는다. 힘을 줘서 강하게 발음하면 바람소리만 더 커지거나 목에 통증이 일어난다. 마지막으로 소리가 명료하지 않다. 이런 말소리는 소리가 작아 듣기도 힘들고 듣더라도 무슨 말인지 구별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성대가 떨리는 원리는 이렇다. 아래의 그림과 같이 성대가 맞물려 성문이 닫혀있는 상태에서 폐 속의 공기가 성문을 비집고 나오면 그 압력으로 성대가 진동하게 된다. 살짝 닫은 입술 사이로 공기를 밀어내면 입술이 부르르하고 떨리는 것과 같다.
그런데 목이 쉬게 되면 아래의 그림처럼 성대가 부어오르고 성대에 작은 결절같은 것이 생긴다. 성대를 떨려면 위의 그림처럼 성대가 잘 맞물려 닫혀야 하는데 결절로 인하여 성문이 벌어지니 공기가 그 사이로 새어나간다. 이것이 작은 구멍으로 바람 빠지는 것 같은 ‘ㅎ~ㅅ~’ 하는 소리가 말소리에 섞이는 이유다. 게다가 성대가 붓고 무거워져서 평소보다 둔해지기 때문에 말을 하는데 힘은 더 들고 소리는 둔탁해진다.
이렇게 목이 쉰 상태에서 제대로 소리를 내려면 결절이 있는 상태에서도 성문이 닫힐 수 있도록 성대를 꽉 조여줘야 하고 부어서 두텁고 무거워진 성대를 움직일 수 있도록 숨을 강하게 내뱉어야 한다. 결국, 통증이 발생하고 무리한 움직임으로 성대의 손상은 더욱 심해질 수밖에 없게 된다.
요점은 이것이다. 목이 쉬어버리면 성대를 떨 수 없다. 즉, 성대를 떠는 유성음을 전혀 쓸 수 없다는 말이다. 한창 유성음을 듣고 말하려고 발바둥치던 시기였다. 어떤 것을 이해하고 체감하는 방법은 그것과 열심히 접촉하고 이해하기 위해서 노력하는 것도 있지만 반대로 철저히 배제함으로써 그 빈자리를 파악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특히, 파악하기 미묘하고 혼란스러운 것들은 이런 방법이 상당히 잘 먹히는 법이다. 친구나 가족의 빈자리를 느끼고 나서야 자연스러웠던 일상이 어떻게 유지되는지 비로소 알게 되듯이 자연스럽게 나오던 유성음을 박탈되면 이 유성음의 사용에 대해서 어떤 통찰을 얻을 수 있을지도 모른다. 이미 어떻게든 유성음과 친해져보려고 노력했지만 별다른 성과가 없었기에 더 매력적이었다.
그리고 그 기대는 제대로 작동했다.
첫 번째는 한국어에서 유성음이 사용되고 있다는 확신과 체감을 얻었다. 한국어에도 유성음이 많다. 대표적으로 모든 모음이 그렇고, ‘ㄴ, ㄹ, ㅁ’ 등의 자음도 유성음이다. 또, ‘ㄱ, ㄷ, ㅈ’ 같은 자음은 상황에 따라서 무성음일 때도 있고 유성음일 때도 있다. 하지만 이를 유성음으로 자각하고 쓴 것은 아니기 때문에 체감하기 어렵다. 따라서 구분해서 듣지도 말하지도 않는다. 하지만 목이 쉰 상태에서는 이 모든 유성음들 내려고 할 때마다 소리가 제대로 나지 않거나 목이 찢어지는 통증이 오기 때문에 체감하지 않을래야 않을 수가 없었다. 유성음 사용빈도만큼 내 말소리가 이상해지기 때문이다. 이 덕분에 유성음을 어디 이론 속의 소리가 아니라 내가 항상 내고 있는 소리 중 하나라는 친숙함을 느낄 수 있었다.
그렇다면 왜 유성음을 많이 사용하면서 이를 구분해서 듣지도 말하지도 못하는 것일까? 구분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이는 정신적으로 의미를 구분하는 음성적 단위인 '음소'의 개념을 다시 떠올려야 한다. 한국어가 유성음을 '음소'를 구분하는 기준으로 채택하지 않고 있기 때문에 한국어 원어민은 이 유성음을 딱히 구분하지 않는다. 물론, 귀가 예민한 사람들은 이를 구분한다. 하지만 나 같은 막귀는 전혀 그렇지 않다. 뇌가 자연스럽게 유성음 여부를 파악할 수 있도록 따로 훈련을 해줘야 한다. 다행히도 목이 쉬어 유성음이 박탈된 경험은 나같은 막귀도 해볼 수 있는 훈련 방법이 무엇인지 자연스럽게 알게 해주었다.
두 번째로 어떤 훈련을 해야할지 알 수 있었다. 유성음 박탈 경험은 가장 쉬운 연습방법을 보여주었다. 말을 할 때 유성음이 나와야 하는 상황마다 목이 아프거나 기대하지 않던 바람 빠지는 소리가 들려오니 자연스럽게 성대의 움직임을 인지하게 되었다. 그런 상황에서도 어떻게든 평소처럼 소리를 내려고 하다보니 목의 성문이 열리면서 공기가 자연스럽게 유통되는 느낌과 성문을 닫고 소리를 내는 느낌을 구별할 수 있게 되었다. 무의식적으로는 이미 자연스럽게 하고 있는 행위들이었지만 의식적으로 이게 성문을 닫는 것이고 이게 성대를 떠는 것이구나 하는 자각을 얻을 수 있었다. 하지만 문제가 있었다. 이 훈련은 목이 쉬어야만 가능한 훈련이다. 득음할 것도 아닌데 매번 목이 쉬게 만드는 훈련을 하는 것은 지나치게 과한 연습으로 보였다. 일상 생활에도 지장이 있을 수밖에 없었다.
이렇게 관찰을 통해 이것저것 체감하다가 불현듯 알게 되었다. 목이 쉬어서 유성음을 내지 못해야 하는데 어떻게든 모음이 발음되고 있었다. 통증 때문에 목구멍을 열심히 열고 소리를 내고 있었지만 여하간 성대의 떨림없이 모음 비스무레한 것이 발음되고 있었다. 성대가 떨리지 않는 모음이니 무성 모음이었다. 목이 쉬었을 때, 한 번 감각을 잡았더니 무성 모음을 내는 것은 어렵지 않았다. 내 경우에는 귓속말을 하듯 목소리를 낮추겠다고 마음 먹거나 목이 쉬었을 때를 떠올리면서 흉내내면 자연스럽게 무성 모음이 나왔다. 그 감각을 최대한 살리면서 유성 모음과 무성 모음을 번갈아가면서 연습하니 성대의 움직임과 들리는 소리가 조금씩 어우러지면서 유성음과 무성음이 조금씩 감이 잡히기 시작했다.
우리가 흔히 만들어내는 모음은 유성음이고 무성 모음은 매우 예외적이다. 그러다 보니 이 방법은 안 쓰는 말소리를 끌어들여 연습하는 것이기 때문에 불필요한 연습으로 느껴질 수 있다. 실제로 이런 방법을 제시하는 경우는 본 적이 없다. 하지만 영어를 사용하기 위해서 조음기관을 다시 훈련시켜야 하는 입장에서는 매우 효과적인 훈련 방법이 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이 무성 모음과 유성 모음은 확연히 구별된다. 그렇다는 것은 유성음과 무성음을 구별해서 듣기도 힘들어하고 구별해서 소리를 내기도 힘들어하는 나같은 한국어 원어민이 유성음과 무성음을 대조하면서 듣고 말하기를 처음 익히기에 가장 알맞은 연습이 바로 이 유성 모음과 무성 모음을 번갈아가면서 발음하고 듣는 연습이 아닐까 하고 추측해본다.
마지막으로 덧붙이자면 몇몇 학자들은 음소 /h/를 무성 모음이라고 부른다. 이 말을 처음엔 이해하지 못했다. 어째서 자음을 모음이라고 말하는 지 납득하기 어려웠기 때문이다. 하지만 음성학을 공부할 수록 음소 /h/가 무성 모음이라는 점이 납득이 되었고 한국어와 영어 음성체계가 가지는 본질적인 차이점이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하지 않을 수 없게 되었다. 음소 /h/가 다른 음에 섞이면 그 말소리는 유기음이 된다. 그리고 그 유기음은 항상 무성음이다. 음소 /h/가 유성음을 철저히 배제하는 듯한 느낌이다. 또, 영어와 한국어의 음성체계는 유성 여부에 따라서 음소를 나누는가 아니면 유기 여부에 따라서 음소를 나누는가로 서로 다른 기준을 선택한다. 마지막으로 영어에서 음소 /h/는 퇴조하고 사라져가는 소리다. 방언에 따라서는 전혀 발음하지 않는 경우도 있을 정도다. 이를 종합하면 한국어는 음소 /h/를 주요한 기준으로 선택하면서 음성체계에서 유성 여부는 기준으로 잡지 않았고, 영어는 유성 여부를 주요한 기준으로 선택하면서 음소 /h/를 버리는 것 같다는 인상이다.
사실, 이런 개인적인 생각과 상관없이 한국어 원어민이 영어의 음성체계를 정확히 이해하려면 유기음과 유성음을 정확히 구분하고 인지해야 한다. 따라서 유성음을 구별하여 듣고 말하는 연습으로 무성 모음을 익혀서 유성음과 대조하면서 익히는 것이 효과적이고 동시에 앞으로 제시할 유기음들을 제대로 다루기 위해서라도 음소 /h/를 자음 중에서 가장 먼저 다루는 것이 맞다고 생각했다.
Ankilog 학습파일
학습용 Anki 파일은 아래와 같습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Ankilog 파일: 경험담이므로 Ankilog는 없음
'Anki로 공부하기 > Study English just for fun(영어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010 영어 원어민은 자음만 발음하는데 내 귀에는 자음과 모음으로 들리는 이유 (0) | 2020.04.03 |
---|---|
009 무성 모음으로 유성음에 대해 감을 잡아보자 (0) | 2020.03.22 |
007 음소 /h/와 유기음 소개 (0) | 2020.02.01 |
006 음소 /h/와 성대 (0) | 2019.12.14 |
005 음소와 이음과 음성체계에 대한 간단한 이야기 (0) | 2019.11.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