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화를 하거나 글을 쓸 때가 되면, 그 동안 여상하게 마음속에서 흐르고 있던 많은 것들이 언어의 형태로 구체화되기 시작한다. 말을 하다보면 자신이 한 말에 소스라치게 놀라는 경우도 종종 있다. 자신이 몰랐던 것들이 갑자기 말로 튀어나오기도 하고, 강력한 공격성이나 집착이 표출되기도 한다. 그 많은 말들이 내 맘속에 있었다는 것이 신기하기도 하다. 아마도 마음 속에 있었던 것들이 언어화되기 전에는 어떻게 존재했는지 알 수 없었던 것 같은 느낌이다.
실제, 대화를 할 때 대화를 하고 있는 자신을 스스로 관찰해보면 할 말이 그냥 떠오르는 것을 종종 보게 된다. 인사말, 하고 싶은 농담이나, 오늘의 토픽 등등 하나하나 갑자기 튀어나온다. 성급한 사람이라면 이렇게 튀어나온 말들을 그대로 입으로 옮겨서 화를 자초하기도 하지만 조금만 신중한 사람이라면 그 말을 우선 속으로 되새겨보면서 큰 화를 불러올 말을 걸러내려고 한다.
사실, 말뿐만 아니라 글도 대부분 자동으로 떠오르는 것이다. 소설 작가들의 창작 이야기를 보면 글이란 써지는 것이지 쓰는 것이 아니다. 이들이 작업하는 양상을 보면 이렇다. 우연히 좋은 소재와 영감이 떠오르면, 바쁘게 그것을 정리하여 글로 적어낸다. 그리고 작가는 첫 번째 독자로서 자신의 글을 읽고 그 글을 통해 새로운 느낌을 얻고 또 영감을 얻어 자신이 쓴 글을 또 발전시킨다. 좋은 점과 나쁜 점을 찾아내고 새롭게 변화시키면서 이를 다듬어 보고 다시 독자가 되어 글을 읽고 다시 다듬는 과정이 반복될 수록 글은 좋아진다. 결국, 좋은 작품은 뛰어난 예술적 창의성과 그것을 다듬고 그로 인하여 다시 영감을 얻는 과정의 수많은 반복에 다름 아니다. 이 때, 소설가는 결국 예술적 창의성이라는 어디선가 튀어나오는 것을 하염없이 기다리거나 영감의 원천을 얻기 위해 다양한 행동을 취하기도 한다.
시나 소설 등의 글은 자리에 앉아서 끈덕지게 스스로와 교류하면서 쓰는 것이지만 대화는 조금 다르다. 시간에 쫓기고 즉각적이다. 이야기할 화제를 고르거나 말을 다듬을 시간이 글에 비해서 절대적으로 부족하다. 따라서 실수할 가능성도 높기 때문에 말이 빙빙 돌면서 상황을 파악하고 서로의 말에서 영감과 유대관계를 구축하면서 조금씩 내밀한 이야기를 하게 된다.
덕분에 대화는 대화 당사자들이 서로 잘 알고 있는 또는 공감하고 있는 항상 주변에 현존하고 있는 것 또는 상황을 위주로 시작되는 경우가 많다. 가볍게는 누구나 느낄 수 있는 날씨로 공감을 하고 같이 겪은 즐겁고 힘든 일에 대한 공감을 표현하면서 공감과 유대관계를 구축하는 것이 대부분의 대화의 역할이다. 물론, 그런 공감 찾기 과정을 뛰어넘어 깊은 이야기를 할 수 있는 사람들도 있겠지만 한두명에 불과할 것이고 대부분의 사람들과 하는 이야기는 소소한 농담 따먹기와 주변에 대한 공감 정도일 것이다. 그리고 서로가 공감할 수 없다면 대화는 없을 것이기 때문에 결국, 일상적인 대화란 대부분 대화 당사자들이 직접 마주치고 있는 현실에 대한 묘사와 공감 정도에 국한된다.
이런 대화들은 자연스럽게 일어난다. 나와 저 친구의 관계가 이 정도에 불과하니 말을 조심하고 공감할 수 있는 것들에 대해서만 이야기해야겠다고 계산하고 판단하면서 말하지 않는다. 실제로는 그냥 본능적으로 자신과 어울릴 수 있는지 없는지를 옳든 틀리든 규정한다. 자신과 어울릴 수 있을 것 같아 산변잡기로 주변의 공감할만한 것들을 던지다 보면 대화 당사자들은 서로 어울릴 수 있는지 없는지 여부가 금방 파악된다. 공감하는 것들이 많으면 서로 잘 통하는 사람들이고 그렇지 않으면 서로 잘 안 통하는 사람일 뿐이다.
직장에서 만난 친구 중에 조금 내향적인 것으로 판단되는 친구가 있었는데, 어쩌다 대화를 해본 결과 그 친구의 대화를 도저히 따라갈 수 없었다. 그 친구가 갑자기, 시카고에서 유행하는 피자를 이야기하면서 웃었는데, 왜 웃었는지 이해할 수 없었고, 내가 멀뚱멀뚱하게 있으니 그 친구는 다급히 자리를 파하고 가버렸다. 아마도 우리는 서로 대화하기 어려운 사람으로 서로를 기억하고 있을 것이다.
대화를 하면서 모든 말들은 즉석에서 만들어진다. 이전부터 익숙하게 사용해서 입에 붙은 말들도 있겠지만 그렇지 않은 말들은 전부 그 자리에서 만들어진다. 그러다 보니 명사가 잘 사용되지 않는다. 정확하게 말하면 모두가 공감할 수 없는 상황이나 이 자리에 없는 자신만의 무엇을 말하지 않고 눈앞에 있거나 이미 모두에게 중요한 상황에 대해서만 이야기하게 된다. 이런 것들은 너무나 당연한 것이라서 그것을 지칭하는 말들은 대부분 대명사이다. 마치 볼드모트처럼 사람들은 이름을 회피하고 그저 ‘그’라고만 지칭하는 것이다. 표현력이 뛰어난 사람은 설명도 대부분 시연 위주로 한다. “그가 이렇게 했어.”라고 말하면서 몸으로 그의 행동을 보여주거나 표정을 흉내내거나 한다. 사용하는 언어는 대부분 간단하고 바로 얼마 전에 보고 들었거나 지금 눈앞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들을 주로 사용한다.
언어는 그 모든 것에 있어 조금은 부가적이다. 가령, 내가 자주 사용하는 컵이 다른 사람의 컵과 비슷해서 서로 계속 그것을 교환하면서 쓰게 되었다는 이야기를 할 때면 이렇게 이야기할 수도 있다. “이게 A의 컵이야. 이게 내 컵이고, 비슷하지, 알고보니 비슷한 컵을 서로 계속 교환하면서 썼어!”라고 컵을 보여주면서 이야기하는 경우를 떠올려 보자. 우리는 언어를 이용해서 컵 두개로 이야기를 만들어 내고 있다. 이 때, 실제의 컵이 언어에 엮이면서 현실과 분리되지 않고 그것을 끈끈하게 이어서 서로 연관된 현실을 만들어낸다. 그리고 그것은 현실임과 동시에 언어화되어 존재하게 된다.
일상적인 대화를 관찰하다보면, 어떤 사물, 어떤 상황, 어떤 인물들이 분류되면서 언어화되는 것을 본다. 사물은 간단하다. 대부분 다른 것과 구분되는 지점이 명확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상황은 어떨까? 직장 상사가 말도 안되는 이유로 직원들을 트집잡고 군기잡고 소리지르면서 상황을 짜증나게 만들면, 모든 직원들은 휴게실로 몰려가서 그 상사를 씹는다. 이 때, 그 복잡한 상황은 단순히 “그 상황”이라는 말로 하나의 개체로 묶여버린다. 그 상황을 겪은 모든 이들이 그것에 공감하고 있기 때문에 딱히 구체적으로 설명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그리고 우리의 정신세계는 그러한 개체를 간단히 만들어 버린다.
하지만 직장상사의 이야기는 단위를 어떻게 쪼개느냐에 따라서 굉장히 다른 이야기로 변질된다. 직장상사의 분노의 원인으로 이야기가 좁혀지면 화살이 그 분노의 원인을 제공한 다른 사람에게 넘어갈 수 있다. 자신이나 그 직장상사나 내리갈굼의 동일한 피해자로 만들어낼 수도 있고, 그 직장상사의 분노를 유발시킨 다른 직원에게 화살이 날아갈 수도 있다. 이 모든 가능성에도 불구하고 직장상사를 규탄하는 것으로 상황이 묶인 것은 그 직장상사에 대한 기존의 쌓여온 경험을 통해 사람들에게 이 문제는 직장상사가 나쁜 것이라는 인식이 자리를 잡았기 때문일 것이다.
상황이 단위로 쪼개지고 그 단위에 따라서 언어화 되는 것은 너무나 자동적이고 익숙한 일들이다. 다양한 상황과 사물들이 마치 그것이 당연하다는 듯이 단위로 쪼개어져 인식된다. 앞서, 언어가 구사되는 법 01에서 정확히 알지도 못하는 전문 용어를 단순히 몇가지 키워드가 일치하는 영상을 통해서 매칭되고 그것을 그대로 알고 있다고 생각하는 것에 대해서 고민을 하면서 뜬금없이 비약을 하게 되었다. 즉, 언어라는 것이 인간이 인지하는 여러가지가 자연스럽게 반영되어 장전되었다가 자동으로 발사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의심이 그러한 비약이었다. 그렇게 의심하게 된 것의 배경이 이 일반적인 대화에 대한 관찰이었다.
'정리되지 못한 이야기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9년 시작에 대한 주저리주저리... (0) | 2019.02.16 |
---|---|
한자 공부를 하는 이유 (0) | 2019.02.10 |
언어가 구사되는 법 02-대응하는 의미 찾기 과정 (0) | 2018.10.11 |
언어가 구사되는 법 01-자막과 영상 (0) | 2018.10.09 |
실어증 체험 도전기-06-내용 정리 (0) | 2018.10.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