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과적인 학습을 위하여 지식을 구조화하는 20가지 규칙 원문 링크는 다음과 같다.
https://www.supermemo.com/en/articles/20rules
상당수 의역이 있으니 잘 이해가 가지 않거나 원문이 궁금하신 분은 원문을 참고하시길 바란다.
효과적인 학습을 위하여 지식을 구조화하는 20가지 규칙(4)
(The 20 rules of formulating knowledge in learning)
4. 최소 정보의 원칙을 고수해야 한다.
학습할 내용은 최대한 단순하게 구조화해야 한다.
일단, 단순한 것이 쉽다.
단순한 내용은 기억하기 쉽다. 내용이 단순할수록 두뇌가 학습한 내용을 항상 동일한 방식으로 처리하도록 하는 것이 쉬워지기 때문에 기억하기 쉬워지는 것이다. 미궁을 떠올려 보자. 신경망을 복잡하게 얽힌 경로로 이루어진 미궁으로 볼 수 있다. 어떤 지식의 조각을 반복하여 학습할 때, 두뇌는 미궁을 통과한다. 미궁을 통과하는 동안 두뇌는 그 미궁의 벽에 길을 만든다. 만일 반복 학습을 할 때마다 오직 고유의 길 하나만 뛸 수 있다면, 그 경로는 끊임없이 이어져 쉽게 따라갈 수 있게 된다. 하지만 다양한 경로의 조합이 있다면 매번 다른 방식으로 길을 만들 것이고 그렇게 만들어진 길들은 복잡해져서 출구를 찾기 어렵게 만든다. 복잡한 내용을 반복 학습할 때마다 세포 수준에서도 서로 다른 시냅스 연결이 활성화되면서 동일한 일이 벌어져 기억하기 어려워진다.
간단한 내용을 반복하는 것이 학습 일정을 잡기 훨씬 편하다.
배운 내용을 SuperMemo와 같은 간격 반복 시스템을 이용하여 최적의 간격으로 복습할 것이라는 전제 하에 말한다. 어떤 지식이 두 개의 하위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를 학습하려고 한다고 생각해보자. 아마도 이 복잡한 지식을 기억하는 것이 더 어렵기 때문에 해당 지식의 복잡한 정도에 맞게 충분히 자주 반복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이 복잡한 내용을 두 개의 하위 항목으로 분할하여 각각의 항목을 별개로 학습한다면 각각의 학습 내용이 복잡하지 않으니 각각의 페이스(pace)에 따라서 반복하면 되고 이로 인하여 시간을 절약할 수 있게 된다. 경험이 부족한 학생들은 단순한 하위 항목들로 쉽게 분할될 수 있는 내용들을 하나로 묶어서 하나의 학습 내용으로 만들어내는 경우가 매우 흔하다. 이렇게 복잡한 내용을 단순한 항목들로 분할해서 학습할 사항들을 단순하게 만들면 비록, 학습할 항목 자체는 늘어나게 되지만 오히려 각각의 학습 항목을 반복하는 횟수는 충분히 줄어들어 (1) 복잡한 내용을 반복해서 잊게 되는 경우 (2) 해당 내용을 극단적으로 짧은 주기로 반복하게 되는 경우 (3) 결국 해당 내용을 부분적으로만 기억하게 되는 경우들이 발생하는 것을 생각해보면 훨씬 더 이익이다.
여기에 딱 맞는 사례가 있다. 아래의 질의를 보자.
우선, 너무 복잡하게 구성되어 있는 잘못 구조화된 사례이다.
Q : 사해의 특징은 무엇인가?
A : 이스라엘과 요르단 국경에 위치한 소금 호수. 그 해안선은 평균적으로 해수면 아래 396m로 지표면에서 가장 낮은 지점이다. 길이는 74킬로미터이다. 짠 맛의 정도는 바다보다 7배(부피 농도는 30%) 이고 밀도가 매우 높아 사람이 가라앉지 않고 떠 있게 만든다. 이 짠 물에서는 오직 단순한 유기체만이 살 수 있다.
이 질의를 다음과 같이 단순한 사항으로 분할하여 제대로 지식을 구조화 한다.
Q: 사해의 위치는?
A: 이스라엘과 요르단의 국경에 위치
Q: 지구의 지표면에서 가장 낮은 지점은?
A: 사해의 해안선
Q: 사해가 위치한 평균 높이는 어느 정도입니까?
A: 해수면 아래로 400미터
Q: 사해의 길이는?
A: 70 km
Q: 바다보다 사해가 얼마나 더 소금기가 있는가?
A: 7배
Q: 사해의 소금 함량은 부피 비율로 얼마인가?
A: 30%
Q: 왜 사해에서는 사람이 뜨는가?
A: 고염분 때문에
Q: 사해는 왜 죽은 바다라고 부르는가?
A: 오직 단순한 유기체만이 살 수 있기 때문
Q: 왜 사해에서는 단순한 유기체만 살 수 있나?
A: 고염분 때문에
위의 사례에서 제시한 것과 같은 두 가지 방법을 비교 실험해서 최소 정보의 원칙을 적용할 때 어떤 이점이 있는지 스스로 확인해보고 싶을 수 있다. 이는 특히 장기적인 관점에서 보아야만 그 결과를 볼 수 있다. 즉, 지식을 더 오래 기억해야 할 필요가 있다면 내용을 단순화하는 것이 더 낫다.
위의 사례에서 질문의 길이가 얼마나 짧은지에 주목해서 보길 바란다. 물론 답변이 더 짧다는 점도 마찬가지로 주의해서 보기 바란다. 우리는 한 번의 반복학습에서 최소한의 정보를 기억에서 환기해내고 싶다! 답변도 상상할 수 있는 한 짧기를 원한다!
위에서 제시된 잘못 구조화된 사례에서 배우는 지식과 잘 구조화된 사례에서 배우는 지식이 전적으로 동일한 지식이 아니라는 것을 눈치 챘을 것이다. 예를 들어, 사해에서 사람이 뜨는 이유를 결국 기억해내겠지만, 처음에는 사해가 그런 특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생각하지 못할 것이다! 게다가 396에서 400으로 반올림하거나 74에서 70으로 반올림하면 약간의 정보가 손실된다. 이것들은 더 많은 질문을 추가하거나 현재의 질의를 더 정교하게 만들어서 해결할 수 있다.
이렇게 단답형으로 학습하게 되면 선생님이 칠판 앞으로 불러서 사해에 대해서 읊어 보라고 할 때, 사해에 대한 설명을 유창하게 암송할 수는 없을 것이다. 그러나 수업시간에 학생들 앞에서 빛나는 것이 학습의 궁극적인 목표는 아니다. 암송이나 시 낭송에 대한 대처하는 방법을 확인하려면 열거(enumeration)에 대한 섹션을 참고하길 바란다.
'Anki_매뉴얼' 카테고리의 다른 글
05_효과적인 학습을 위하여 지식을 구조화하는 20가지 규칙_(6~7번) (0) | 2017.10.27 |
---|---|
04_효과적인 학습을 위하여 지식을 구조화하는 20가지 규칙_(5번) (0) | 2017.10.26 |
02_효과적인 학습을 위하여 지식을 구조화하는 20가지 규칙_(1~3번) (0) | 2017.10.24 |
01_효과적인 학습을 위하여 지식을 구조화하는 20가지 규칙_(개요 및 요약) (2) | 2017.10.23 |
108_(Resources)_Resources_및_후기_2.0_유저_매뉴얼 (7) | 2017.10.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