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age Occlusion Enhanced 사용 개요
IOE는 매우 유용한 추가 기능이므로 상세한 내용을 모두 설명하면 좋겠지만 아쉽게도 이 추가 기능은 사용자를 위하여 모든 것을 고려하여 빈틈없이 완성된 그런 소프트웨어는 아닌 것 같다. 실제로 작동하지 않는 메뉴도 있고, 매뉴얼도 없다. 개발자의 위키(Wiki) 페이지를 보아도 건드리지 말라는 설정과 주의할 부분이 많다. 개발자들이 상세한 내용을 파악하여 사용할 수는 있어도 비 개발자들이 이 추가 기능을 상세하게 파악하여 입맛대로 사용하기는 어려워 보이고 딱, 정해진 방식으로 안정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좋을 것 같다. 물론, 그 정해진 방식으로만 사용해도 충분히 쓸만하다. 따라서 이 포스팅도 전형적이고 간단한 사용법 위주로 설명한다.
메인 메뉴에서 추가를 클릭하여 노트 추가창(Note Editor)을 열면 아래의 그림과 같이 각종 메뉴를 모아놓은 곳 가장 우측에
모양의 아이콘이 있다. 이 아이콘을 클릭한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93C9415BA01B0337)
그러면 아래와 같이 작업할 이미지와 간단하게 작업할 수 있는 화면이 나타난다. (작업 이미지가 나타나지 않고 작업할 이미지를 고르기 위한 대화상자가 나타날 수도 있다. 이 부분은 추후 다시 언급한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AEF53C5BA01B4602)
이 작업할 화면으로 할 수 있는 일은 크게 Mask Editor 탭의 이미지 관련 작업과 Fields 탭의 필드 관련 내용으로 나눈다.
Mask Editor 탭에서 이미지 관련 작업하기
1) 작업할 이미지 고르기
위의 경우에는 작업할 이미지가 바로 나타났는데 이는 그 전에 [CTRL]-c로 클립보드에 저장된 이미지가 자동으로 나타나도록 되어 있기 때문이다. 클립보드에 아무런 이미지가 저장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는 작업할 이미지를 선택할 수 있는 창이 별도로 나타난다.
물론, 클립보드에 들어있는 이미지 말고 다른 이미지로 작업해야 하는 경우가 많을 것이다. 이 때에는 아래와 같이 [Change Image] 버튼을 클릭하여 이미지를 교체하면 된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1DB83C5BA01B9A06)
2) 간단한 이미지 편집 및 텍스트 집어넣기
①번은 마우스의 궤적에 따라 선을 그리게 해주는 버튼이다. 해당 버튼을 누르고 마우스 좌클릭을 하면서 움직이는 궤적대로 선이 그려진다.
②번은 직선 그리기 버튼이다. 버튼을 누른 후 시작점에서 마우스를 좌클릭하고 클릭을 유지한 상태에서 선을 끝내고 싶은 지점에서 클릭한 것을 놓으면 시작점과 끝점을 연결하는 선이 그려진다.
③번은 텍스트 상자 버튼이다. 해당 버튼을 누르고 그림 위에 마우스를 좌클릭 하면 텍스트를 키보드로 입력할 수 있는 텍스트 상자가 생긴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9435415BA01BC738)
3) 그림 가리개(Image Occlusion) 사용
가리개는 이미지의 특정 부위를 가려주고 정답을 확인할 때 그 가리개를 제거하여 무엇이 있는지 확인하게 해주는 도구다. 따라서 이미지를 가리는 용도로만 사용되므로 상대적으로 단지 가리개를 어떤 모양과 색으로 할지만 단순하게 결정하면 된다.
①번 버튼은 사각 가리개 버튼이다. 사각형의 가리개를 만들게 해준다.
②번 버튼은 원 가리개 버튼이다. 원 모양의 가리개를 만들게 해준다.
③번 버튼은 다각형 가리개 버튼이다. 아래 사진에서 범퍼를 가린 것처럼 조금 복잡하고 세밀하게 가리개를 만들고 싶을 때 사용한다.
마지막으로 하단에 가리개 옵션이 있다. 가리개의 내부색, 선색, 선의 두께 등을 설정할 수 있게 해준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D8BC405BA01BF001)
4) 카드 만들기
이제 가리개를 아래의 그림과 같이 전부 세팅했으면 이제 카드를 만들어야 한다. 카드를 만들 때는 아래의 그림에서 빨간 박스 안에 들어있는 세 가지 버튼 중에서 골라야 한다.
Hide All, Reveal One
Hide All Reveal All
Hide One, Reveal All
그리고 버튼을 누르면 가리개의 숫자만큼의 카드가 그 자리에서 바로 생성된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3FF6415BA01C1103)
① Hide All, Reveal One
아래의 그림을 보자 카드의 앞면은 가리개로 가린 모든 부분이 숨어 있고, 카드에서 물어보고자 하는 부분의 가리개만 색깔이 다르게 나타난다. [답보기] 버튼을 클릭하면 아래와 같이 색깔이 다른 부분만 답이 노출된다. (이때, 다른 가려진 부분을 보고 싶으면 Toggel Masks 버튼을 클릭하면 된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A6A6395BA01C4C36)
즉, Hide All, Reveal One 버튼을 눌러 카드를 만들면, 카드 앞면은 가리개로 가린 모든 부분이 가려져 있게 하고, [답보기] 버튼을 눌렀을 때, 카드에서 물어보는 부문 1개만 가리개를 치워서 답을 확인하게 해주는 형식의 카드를 만든다.
② Hide All Reveal All
아래의 그림을 보자 카드의 앞면은 가리개로 가린 모든 부분이 숨어 있고, 카드에서 물어보고자 하는 부분의 가리개만 색깔이 다르게 나타나는 것은 위의 경우와 동일하다. 하지만 [답보기] 버튼을 클릭하면 아래와 같이 가리개로 가려져 있던 모든 부분이 전부 노출된다는 점이 위와 다르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D5C53F5BA01C7501)
즉, Hide All, Reveal All 버튼을 눌러 카드를 만들면, 카드 앞면은 가리개로 가린 모든 부분이 가려져 있게 하고, [답보기] 버튼을 눌렀을 때, 모든 가리개를 치워서 답을 확인하게 해주는 형식의 카드를 만든다.
③ Hide One, Reveal All
아래의 그림을 보자 이 경우는 앞서 두 가지 버튼과 달리 카드의 앞면에는 오직 1개의 가리개만 있고 다른 가리개로 가렸던 부분은 전부 노출되어 있다. 그리고 [답보기] 버튼을 클릭하면 아래와 같이 가리개로 가려져 있던 노출되면서 결국 가리개로 가려져 있던 모든 부분이 노출된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FD4E435BA01C9836)
즉, Hide One, Reveal All 버튼을 눌러 카드를 만들면, 카드 앞면은 카드에서 물어보고자 하는 항목 1개만 가리개로 가려지고 다른 모든 부분은 그대로 노출된다. 그리고 [답보기] 버튼을 눌렀을 때, 모든 가리개를 치워서 답을 확인하게 해주는 형식의 카드를 만든다.
위에서 Hide All, Reveal One, Hide All Reveal All, Hide One, Reveal All의 세 버튼 중 하나를 눌러 카드를 만들기 전에 입력 필드에 필요한 정보를 입력하면 좋다. 물론, 아무것도 입력하지 않아도 아무런 문제없이 카드를 만들 수 있다. 하지만 제목이나 각종 관련 사항들을 정리하고 확인할 수 있도록 필드에 값을 입력하면 보다 충실한 학습이 가능해진다.
아래의 그림과 같이 Fields 탭을 눌러 이동한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E44C455BA01CE601)
그러면 아래와 같이 입력 필드들이 나타난다.
① Header
학습할 이미지의 제목이나 이름를 나타내는 필드다. 카드 앞면에서부터 나타나고 이미지의 상단에 배치된다.
② Footer
학습할 이미지를 학습할 때 참고할만한 힌트나 유의사항 등을 표시하는 필드다. 카드 앞면에서부터 나타나고 이미지의 하단에 배치된다.
③ Remarks
이미지에서 가려진 부분을 속으로 생각하고 나서 [답보기] 버튼을 눌렀을 때, 알아두면 좋은 추가적인 정보나 디테일한 내용 등을 적어놓는 필드다. 카드 뒷면에 노출된다.
④ Sources
학습하고 있는 이미지의 출처가 되는 책이나 자료, 웹 사이트 등을 적는 필드다. 카드 뒷면에 노출된다.
⑤ Extra
Extra 1과 Extra 2의 두 개의 필드가 있다. 카드 뒷면에 노출되는 필드인데, 기타 필요 사항이 있을 때 적는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C2AC475BA01D0034)
Anki에서 입력 필드를 설정하는 것은 보통 노트 유형에서 결정된다. 하지만 IOE의 경우 Anki의 노트 추가창이나 탐색기를 이용하여 필드를 편집하면 오작동이 일어나게 되므로 설정을 변경하지 않는 것이 좋다.
각 필드별로 필요한 내용을 기입하면 아래의 사진과 같이 카드가 나타난다. 카드 앞면 부분이 먼저 나타나고 [답보기]를 클릭하면 카드 뒷면 부분이 추가적으로 나타난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3718495BA01D1F02)
간단하게 그림 파일을 삽입하여 카드 만들기
IOE 01 Image Occlusion Enhanced 소개
IOE 02 Image Occlusion Enhanced 설치하기
IOE 03 Image Occlusion Enhanced 사용하기 ☜ 현재 포스팅